고산마루(다올) 2019. 12. 19. 18:04
SMALL

치자나무 (梔子)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꼭두서니과

 
별명

(치자), (목단), (월도), 선지(鮮) 꽃은 (담복)이라고 한다.

 
생약명

치자(梔子) (치자나무 치, 아들)

 

분포지 남부지방  
꽃피는 시기 6~7월  
수확기(결실기)

9월

 
용도

약용,조경수,천연 염료

 
약용

타박상,소염,가슴통증,두드러기,구내염,위장염,진정,불면증,황달,간염,지혈,이뇨,담즙 분비 촉진,소갈증,열독
암세포 증식 억제,간열이 심하게 나타나는 목의 통증 치료

옛날에는 군량미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치자물에 담갔다가 쪄서 저장

 
사용부위

열매

 
채취 및 조제

열매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

 

 

성분

후라보노이드의 가르데닌,펙틴,탄닌,크로신,크로세틴,베타시테스테롤,가르데노시드,코린,우르솔산 함유

 

약효

진정작용,
담낭 자극으로 담즙분비 증가이담작용:간장질환,황달 치료에 효과
청열,양혈,당뇨,불면증,황달,토혈,혈뇨 등 치료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본경)>: 체내에 침범한 (사기), (위)의 (열기)를 제거하며 얼굴이 붉은 것과 딸기코를 치료한다. (나병)과 부스럼병을 치료한다.
<(별록)>: 눈이 충혈되고 열감이 있으며 아픈 증상을 치료하며, 가슴과 (대소장)에 (열)이 나는 증상, 가슴이 번잡하고 답답한 증상을 치료한다.
<(견권)>: (열독)과 (풍사)를 제거하고 유행성 열성질환을 치료하며 (황달)을 치료한다. (임증)을 치료하여 소변을 시원하게 하고 갈증을 새소하며 눈을 밝게 한다. 나쁜 기운에 감염된 것을 치료하고 벌레에 쏘인 증상을 없앤다.
<(도홍경)>: (옥지, 철쭉)의 독을 푼다.
<(맹선)>: 목이 잠기는 증상과 (자색) 어루러기를 치료한다.
<(장원소)>: 마음이 번잡하고 답답하며 가슴이 뛰어 잠을 못자는 증상을 치료하고 배꼽 아래에 (혈)이 (응체)되어 소변이 시원하지 않은 증상을 치료한다.
<(주진형)>: (삼초)의 (화)를 제거하고 (위열)을 제거하여 명치 부위의 (열)로 인한 통증을 치료하고 (열울)을 제거하고 (기)가 뭉쳐진 것을 통하게 한다.
<(이시진)>: 피를 토하는 증상, 코피, (혈변)을 동반한 이질, (하혈), 혈뇨를 동반한 (임증)을 치료하고 외상으로 인한 (어혈)과 (상한)이 과로로 재발한 증상, (열)이 심하여 두통이 있는 경우와 하복부의 극심한 통증 및 (화상)을 치료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치자 [梔子]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용법

치자 5~10g을 500~600ml의 물에 넣고 중불에서 절반이 되도록 달인 후 하루 2~3회 복용한다.

 

     
출처

질병으로 분류한 약초백과사전(한국생약연구소 엮음, 2007년)

 
해설

성질은 차며 맛은 쓰고 독이 없다. 추위에 약하며 반그늘에서 잘 자란다.
음식물을 물들이는 물감으로 사용(빈대떡,튀김,단무지 등)

비슷한 식물:산치자
☞구별법: 열매의 모양에 따라 구형이나 계란형의 것을 산치자,
                                          긴 계란형의 것을 수치자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수치자를 재배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