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괴불주머니(국화황련 菊花黃連)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현호색과 (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두해살이풀 관화식물 유독식물 학명(Corydalis pallida (Thunb.) Pers.) 영문명(Pale-yellow corydalis) |
|
별명(이명) | 산해주머니,똥풀 |
|
한약명/생약명 | 국화황련(菊花黃連) |
|
분포지 | 산 중턱, 길가 | |
꽃피는 시기 | 4~7월(노란색,총상꽃차례) | |
수확기(결실기) | 8~9월(삭과, 염주 모양) | |
용도 | 약용 | |
약용 | (효능) 淸熱(청열), 拔毒(발독), 消腫(소종) (적용질환) 癰瘡(옹창), 熱節(열절), 無名腫毒(무명종독), 風火眼痛(풍화안통-급성결막염) |
|
사용부위 | 뿌리 |
|
채취 및 조제 | 봄에 캐어 지상부위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
|
성분 | ||
약효 및 용법 | ♣ |
|
출처 | ||
해설 | ♣ 괴불주머니는 어린아이가 주머니끈 끝에 차는 노리개이다. 열매가 괴불주머니와 닮아서 붙은 이름이다. ~~~~~~~~~~~~~~~~~~~~~~~~~~~~~~~~~~~~~~~~~ ♣ 괴불주머니는 아이나 여자들 주머니 끝에 매달던 작은 노리개다. 꽃이 괴불주머니를 닮아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특유의 냄새가 나서 똥풀이라고 하는 곳도 있다. 연한 잎을 데쳐서 우려내고 먹는 곳도 있지만, 괴불주머니나 산괴불주머니, 염주괴불주머니 모두 독이 있어 나물로 먹으면 안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괴불주머니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010. 3. 1., 이영득) ~~~~~~~~~~~~~~~~~~~~~~~~~~~~~~~~~~~~~~~~~ ♣ 특징 잎 잎은 엽병이 있고 달걀모양이며 1~2회 우상복엽이다. 꽃 꽃은 4~7월에 피고 꽃차례는 길이가 3~10cm이며 꽃은 노란색이고 길이가 약 2cm가량이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서 선형이고 길이 20~30mm이며 염주모양으로서 8~9월에 익는다. 줄기 높이 20~50cm이며 연약하고 전체가 분록색이다. 이용방안 • 관상용 • 괴불주머니, 눈괴불주머니의 근(根)을 菊花黃連(국화황련)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 봄에 캐어 지상부위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괴불주머니에는 pallidine, kikemanine (l-corydalmine), l-tetrahydropalmatine, protopin, capaurimine, capaurine, sinoacutine, isoboldine, corydaline, cryptopine, dl-stylopine을 함유하고 잎에는 pallidine, kikemanine이 함유되어 있다. 개화기의 전초에는 sanguinarine, dihydrosanguinarin, oxysanguinarin, protopine, l-tetrahydropalmatine, d-corydaline, dehydrocorydaline, d-tetrahydrocorysamine, capaurimine, l-scoulerine, capaurine, capauridine, corysamine, coptisine, trans-3~etylidene-2~pyrrolidone, kikemarine 등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또 10~nonacosanol, hentriacontan-l-ol도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淸熱(청열), 拔毒(발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癰瘡(옹창), 熱節(열절), 無名腫毒(무명종독), 風火眼痛(풍화안통-급성결막염)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짓찧어서 붙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괴불주머니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 개요 산중턱이나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연약하며,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를 치고, 높이 15-50cm이다. 잎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2-8개가 모여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의 한쪽은 입술 모양으로 아랫입술이 더 작다. 수술은 6개로 3개씩 뭉쳐 있다. 열매는 삭과, 선형이다. 씨는 검고 겉에 원추상 돌기가 있다. 우리나라 함경남도와 중부 및 남부지방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다른 학명 Fumaria pallida Thunb. 국내분포 함경남도, 경기도, 강원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해외분포 러시아(극동, 시베리아), 일본, 중국(동북부) 서식지/생육지 산중턱, 길가 형태 줄기는 연약하며,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를 치고, 높이 15-50cm이다. 잎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줄기 끝에서 2-8개가 모여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의 한쪽은 입술 모양으로 아랫입술이 더 작다. 수술은 6개로 3개씩 뭉쳐 있다. 열매는 삭과, 선형이다. 씨는 검고 겉에 원추상 돌기가 있다. 생태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해설 산괴불주머니(C. speciosa Maxim.)에 비해 화관의 끝이 짧게 뾰족하고 흰빛이 도는 노란색으로 구분된다. 한편, 오(1999)는 남한에서 본 종이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괴불주머니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 식물) ~~~~~~~~~~~~~~~~~~~~~~~~~~~~~~~~~~~~~~~~~ ♣ 일반적특징 2년초로 줄기는 총생하며 높이 30~50㎝이고 다소 분백색을 띠며 연약하다. 잎은 대생하고 엷은 질이며 2회 우상으로 세열하고 소엽은 넓은 난형으로 깊이 갈라지며 다시 약간 결각이 있다.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많은 꽃이 달린다. 포는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 종종 결각이 있고 소화경은 5~12㎜이며 화통은 한쪽으로 거가 있고 과실은 삭과로 선형이며 약간 만곡하고 현저한 염주 모양으로 되고 종자는 흑색이며 원추상의 돌기가 밀포한다. 본종은 산괴불주머니에 비해 종자 표면에 원추상의 돌기가 밀생한다. 생태적특징 산지에 난다. 제주, 경남(지리산), 전북(장성), 경기, 강원(해금강), 함남(혜산진)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괴불주머니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1996. 11. 15., 이우철) ~~~~~~~~~~~~~~~~~~~~~~~~~~~~~~~~~~~~~~~~~ ♣ 요약 괴불주머니는 어린아이가 주머니끈 끝에 차는 노리개이다. 열매가 괴불주머니와 닮아서 붙은 이름이다. 형태 꽃은 흰색에 가까운 연노란색으로, 노란색의 산괴불주머니와 구분된다. 열매는 삭과로 달리며, 그 속에 들어이는 검정색 씨앗에는 당분체(엘라이오솜)이 붙어있다. 생태/서식지 산지 계곡 및 가장자리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주요서식국립공원 지리산, 경주, 한려해상, 설악산, 속리산, 내장산, 덕유산, 주왕산, 북한산, 변산반도, 무등산 네이버 지식백과] 괴불주머니 (국립공원공단 생물종정보 : 식물) ~~~~~~~~~~~~~~~~~~~~~~~~~~~~~~~~~~~~~~~~~ |
|
(종류 및 유사종) ▶가는괴불주머니(Corydalis raddeana Regel): 열매의 너비가 2~2.5mm로 눈괴불주머니에 비해 좁은 것이 특징이다. ▶갯괴불주머니(Corydalis platycarpa (Maxim. ex Palib.) Makino): 삭과의 길이가 2cm정도이고 지름이 3-4mm로서 거의 염주모양으로 되지 않으며 종자가 2줄 또는 거의 2줄로 배열된다. 바닷가의 모래땅에 서식한다. 원산지는 한국이다.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Thunb.) Pers.): 산괴불주머니(C. speciosa Maxim.)에 비해 화관의 끝이 짧게 뾰족하고 흰빛이 도는 노란색으로 구분된다. 산괴불주머니에 비해 종자 표면에 원추상의 돌기가 밀생한다. ▶눈괴불주머니(Corydalis ochotensis Turcz.): 북방계식물로 삭과의 나비가 3.5~4.5mm이다. 한국산 괴불주머니속 중에서 가을에 개화하는 유일한 종이다. ▶둥근빗살괴불주머니(Fumaria officinalis L.): ▶산괴불주머니(Corydalis speciosa Maxim.): 두해살이풀 식물이지만 개화기간이 4-6월로 길고 황색 꽃이 화려하게 피어 조경용 소재로 유망하다. 이른 봄 줄기 끝에서 노란색 꽃이 피었다가 여름이면 시든다. 어린 싹은 겨울에도 시들지 않고 지면에 바짝 붙어 지내는 강인한 식물이다. ▶선괴불주머니(Corydalis pauciovulata Ohwi): 곧게 선 채로 자라고 괴불주머니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염주괴불주머니와 비교할 때, 개화가 늦고 작은잎이 잘게 갈라지지 않아 거의 매끈한 점이 다르다. 한때 눈괴불주머니로 잘못 동정되었던 종이다. ▶염주괴불주머니(Corydalis heterocarpa Siebold & Zucc.): 전체가 분백색, 자르면 불쾌한 냄새가 남. 바닷가 모래밭에 서식. 갯괴불주머니(C. platycarpa (Maxim. ex Palib.) Makino)에 비해서 줄기는 녹색이고, 씨방은 선형이고 밑씨는 1줄로 배열하며, 열매는 중간 중간 잘록해진 불규칙적인 염주 모양으로 된다.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 (Thunb.) Pers.): 꽃은 4∼5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총상으로 달리며 밑에 꿀주머니가 있고 한쪽은 입술 모양으로 퍼진다. ▶큰괴불주머니(Corydalis gigantea Trautv. & C.A.Mey.): 함경남도 부전고원 이북(부전고원, 노봉, 동백산)에서 자란다. ▶흰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 f. albiflora Y.N.Lee): 자주괴불주머니와 비슷하나 흰 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왜현호색(Corydalis ambigua Cham. & Schltdl.): 땅속줄기는 1개로 둥근 점에서 여러 개의 둥근 줄기가 있는 들현호색, 선괴불주머니를 비롯하여 둥근 줄기가 없는 종들과 구별된다. ▶현호색(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속명은 희랍어 korydallis(종달새)에서 기인한 것으로 긴 거(距)가 달린 꽃의 형태에서 연상한 것.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