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글모음/참고정보

[스크랩] 한탄기맥산줄기이야기-1개지맥 3개단맥

by 고산마루(다올) 2011. 6. 18.
SMALL

우리산줄기이야기(한탄기맥)


□. 우리산줄기의 이름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아래에 나오는 산줄기 명칭은 백두대간과 정맥은 산경표에서 정의한대로 일치를 시켰으며 19기맥은 100km 이상되는 산줄기와 특별한 의미를 부여한 산줄기로 산경표의 원리대로 온전한 강줄기의 울타리를 치고 있으면 강줄기의 이름을 사용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대표적인 산이나 지명을 차용하여 내 나름대로 원칙에 충실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이름을 지었다


대간이나 각 정맥 기맥에서 분기된 30km이상 100km미만인 산줄기인 지맥과 10km 이상 30km미만인 단맥은 어느 하나의 물줄기 가름이 정확하지 않고 여러개의 물줄기를 거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그 흐름도 산줄기의 이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미미한 경우나 인지도가 현저히 낮아 주로 대표산의 이름을 차용해 지었으며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차용하여 지었다


10km 미만인 여맥은 그 이름을 일일이 나열하기가 너무 번거로워 생략을 하거나 특별한 경우만 00여맥이라고 표현을 하였다


□. 산줄기의 격


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산줄기에 격을 둠은 모든 산줄기를 단순히 기맥이라고 한다든지 지맥이라고 한다든지 할 경우 산줄기 이름만 들어서는 과연 그 산줄기가 어디에서 분기하였으며 어느 정도의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 도저히 짐작을 할 방법이 없다


산경표에서도 대간 정간 정맥으로 그 산줄기의 부모형제의 관계를 설명하려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보다 더욱 복잡하고 천태만상인 기맥 이하의 산줄기를 단순히 하나의 항열로 부른다면 많은 혼란을 초래할 것 같아 그 뿌리를 밝히고 항열을 밝히고자 함이다


그래서 백두대간이나 정맥을 제외한 100km 이상의 산줄기나 어떠한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줄기를 기맥으로 정의를 하고 그 대간이나 정맥 기맥을 주맥으로 보고 그 주맥에서 분기된 지맥을 표현할 경우 그 조상의 이름을 앞에다 놓아 그 산줄기가 어디서 왔는지 표현하려 했다


예를 들면 경북 문경시에 운달산이라는 그 지방 명산이 있는데 그 산이 속한 산줄기 이름을 지을 경우 우선 백두대간에서 분기가 되었으니 우리산줄기의 조종인 “백두”를 가져오고 그 다음으로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산이 운달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운달”을 가져와 연결해서 부르면 “백두운달지맥”이 되는 원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백두대간 대미산에서 운달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정맥과 기맥에서 분기된 지맥은 백두대간과 정맥과 기맥을 조상으로 생각을 하고 우선 그 백두나 정맥이나 기맥 이름을 앞에다 가져오고 그 다음 그 산줄기에서 가장 유명한 산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예를 들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천마산 줄기를 이름 짓는다면 우선 조상격인 한북정맥에서 분기했으니 “한북”을 가져오고 다음에 그 산줄기중 가장 유명한 이름이나 특수한 경우 그 지방 이름을 가져온다


그래서 그 산줄기 중 가장 유명한 산이 천마산으로 추정이 되므로 “천마”를 가져와 이름이 “한북천마지맥”이 되는 것이다


즉 “한북정맥에서 천마산으로 연결된 30km 이상 100km 미만인 산줄기구나”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수한 경우를 예를 든다면


한강영월지맥

한강정맥(기맥)이 서진하면서 계방산 가기 전 도면상 1462봉어깨에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니 시종일관 남진하면서 강원도 영월읍에서 동강과 서강이 만나 남한강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낙동안동지맥

낙동정맥이 칠보산을 거쳐 남하하면서 쇠재에서 깃재(귀재)로 가던중 무명 헬기장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영양의 진산 일월산을 지나 산줄기의 대부분이 안동땅을 지나가며 대한민국의 유수한 바다와 같이 너른 안동호와 임하호를 가르며 안동땅에서 낙동강물이 되는 특별한 의미를 줄 수 있는 산줄기


그 외 호남화원지맥, 호남여수지맥 등이 있다

    

단맥이라 함은 마찬가지로 대간 정간 정맥 기맥 지맥 모두에서 분기하여 10km이상 30km 미만인 산줄기를 말하며


위와같은 논리로 한북천마지맥 주금산에서 분기하여 축령산으로 뻗은 산줄기를 한북천마축령단맥이라고 이름지을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한북천마지맥에서 축령산으로 연결된 10km이상 30km 미만의 산줄기구나” 하고 해석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맥이라 함은 모든 산줄기에서 분기한 10km 미만인 산줄기를 나타내며 아주 짧은 경우 생략을 하고 분기된 그 산줄기에 있다고 설명을 하였으며 그 산을 특별히 나타내고자 할 경우에 한해 예를 들어 한북천마지맥에서 동쪽으로 분기된 운길산을 위와같은 논리로 이름을 짓는다면 한북천마운길여맥이라 부를 수가 있는 것이다 

    

□. 산줄기의 순서

   

정맥과 기맥이 대간에서 북에서 남으로 분기된 순서대로 “편”으로 분리하여 이야기를 하고 거기에서 분기된 지맥 분맥 단맥등을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하고 또한 정맥에서 분기된 기맥은 그 분기된 정맥 다음으로 분기점에서 순서대로 기술을 한다


01)백두대간

02)한북정맥

03)한탄기맥

04)한북기맥

05)소양기맥

06)한강정맥(기맥)

07)홍천기맥

08)치악기맥

09)낙동정맥

10)팔공기맥

11)위천기맥

12)비슬기맥

13)형남기맥

14)내성기맥

15)한남금북정맥

16)한남정맥

17)금북정맥

18)금북기맥

19)가야기맥

20)진양기맥

21)금남호남정맥

22)금남정맥

23)금남기맥

24)호남정맥

25)영산기맥

26)땅끝기맥

27)고흥기맥

28)낙남정맥


단 위의 산줄기의 분류는 아직은 공식적인 잣대가 없으니 내 나름대로의 원칙을 가지고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려고 최대한 노력한 분류방법임을 밝힌다 물론 앞으로 공식적인 기관에서 산줄기 이름을 짓는다면 추후 그 이름을 따를 것이며 이보다 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 있다면 그에 따를 것이다 


산림청 선정 100대명산 높이는 한국의산하에 올라온 자료에 의해 그 높이를 기록했으며 그 외의 산들은 기타 문헌이나 5만분의1지형도에 표기된 높이로 기록했다


산높이가 표시되지 않은 산들은 역시 5만분의1지형도 등고선 평균 높이를 기록하였으므로 다른 문헌이나 인터넷 정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말씀드리고자 한다


또한 산줄기의 분기점은 변하지 않으나 그 끝나는 지점은 원칙적으로 제일 긴 산줄기를 따라 갔으나 어느 유명한 산이나 천이나 강의 울타리 또는 합수점을 찾아가기 위해서 짧은 줄기를 택한 경우도 있고 고만고만한 산줄기가 여럿 있을 경우 제일 큰 동네로 갔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내 임의대로 선택을 하였다


□. 참고사항


여기서 산의 격을 구분짓는 00km란 거리는 5만분의1지형도를 맵자로 잰 거리이므로 재는 방법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100km, 30km, 10km와 같은 기맥 지맥 단맥 여맥의 경계선상의 수치는 어느 정도 오차가 발생해 추후 산줄기의 격이 틀려질 수 있다


“00산(◬000, 00/00)”이라함은

00산(삼각점◬높이m, 거리km/거리누계km)를 나타내는 것이다


“00).” 이라는 산줄기 앞의 숫자는 직접 정맥에서 분기한 순서이며 “(00)”이라는 산줄기 뒤의 숫자는 지맥급이나 단맥급 산줄기의 갯수를 나타내는 것임




03편)한탄북기맥의 산줄기들


한탄북기맥이란?


백두대간이 남하하다 원산 분수령 지금의 추가령지구대 부근에서 대간은 남진을 하고 서남방향으로 한줄기를 떨구니 바로 임진강의 남쪽 울타리요 한강의 북쪽 울타리인 한북정맥이라


이 정맥이 서남진하며 평강북60리에 있는 천산에서 정맥은 대성산 백운산으로 흐르고 서진하는 산줄기 하나를 다시 분기하여 한탄강의 북쪽 울타리를 치며 평강땅을 지나 철원평야를 가로지른다


철원 이북은 도면을 구할 수가 없어 마루금이나 거리 등을 알 수가 없으나철원 이남지역은 도면을 구할 수가 있으니 우선 남한 지역만 논하고자 한다


너른 철원평야 비산비야 한가운데 어느 지점에서 임진강으로 흘러드는 역곡천과 연천읍내를 가로지르며 한탄강으로 흘러드는 차탄천과 철원읍을 가로르며 한탄강으로 흘러드는 대교천으로 3개의 물길을 구분지어주는 2개의 산줄기로 분기가 된다 그 정확한 지점은 5만분의1 지형도 도면으로는 마루금을 긋기가 심히 어렵다 


단지 여기서 논할일은 한탄강의 온전한 북쪽울타리를 치며 야월산 천덕산 326번 지방도로 군자산 연천군 군남면 황지리 구석동 남계리 도감포에서 한탄강이 임진강을 만나 임진강물이 되는 산줄기를 한탄북기맥이라고 이름을 짓는 것이 산경표의 원리상 타당하나 웬일인지 산경표에선 그 줄기를 외면하고 차탄천과 한탄강을 구분지어 주는 보개산(지장봉)으로 산줄기의 흐름을 틀어버린 것이다


고로 온전한 한탄강의 북쪽 울타리가 아니라 차탄천이 한탄강과 만나 한탄강이 되어 흐르다 임진강과 만나는 도감포 까지의 약5km 구간을 간과해 버린 산줄기가 되어버린 것이다


한탄북기맥에 대한 고찰


지금까지 한탄북기맥을 산경표에 의해서 보개산 오봉산 금장산으로 종으로 연결된 산줄기를 따라 전곡읍에서 북진을 하며 답사를 하였으나 위에서 설명했듯이 진정한 한탄북기맥은 아닌 것이다


다시 한번 산경표를 들여다보면 연천동북20리 보개산에서 다시 횡으로 연천남5리 진명산을 분기를 하는 부분이 있다


여기서 현재의 5만분의1 지형도를 가지고 유추를 해보면 연천동북20리에 있는 보개산은 어느 정도 맞고 있으나 연천남쪽5리에 있는 진명산이 과연 지금의 어느산이냐 하는 점이다


연천읍과 군남면의 경계를 이루며 임진강과 차탄천을 나누는 산줄기상 연천읍에서 서남방향으로 2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도면상 327.8봉인 군자산이 진명산이라고 유추를 하고 그 산줄기를 따라 북진을 해본다


천덕산 야월산을 지나 율이리에서 북진을 하며 철원읍 주을포와 외촌리 근방 어디서 보개산에서 올라온 산줄기와 만나게 된다


위에서 설명을 했듯이 바로 이 산줄기가 한탄강과 임진강을 온전히 구분지어 주는 진정한 한탄북기맥이 되는 것이다


그리되면 금학산 보개산 성산 오봉산 산줄기는 한탄북기맥과는 다른 차탄천과 대교천을 구분지어주는 지맥으로 나의 산줄기체계로 분류를 해보면 한탄북보개지맥이 될 것이다


즉 산경표에서 언급한 보개산에서 진명산이 분기가 될 수가 없는 것이다


다시 한번 확인하는 의미에서 대동여지도를 확인한 결과 지금의 천덕산 야월산으로 연결이 되는 뚜렷한 산줄기가 있으며 진명산은 연천읍 바로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산줄기와 보개산으로 연결되는 보개지맥과 만나는 산이 소이산으로 표시되어 있다


즉 보개산에서 진명산이 갈라지는 것이 아니라 소이산에서 진명산줄기와 보개산줄기로 갈라지는 것이다


대동여지도와 산경표가 일치가 안되는 부분이지만 큰 울타리 안에서 일어나는 작은 일이므로 자손들이 이해를 하고 바로 잡아 나가면 되는 일일 것이다


진정한 한탄북기맥을 따라 연천군 군남면 남계리 임진강과 한탄강이 만나는 도감포에서부터 북쪽으로 마루금을 따라가본다


도감포(10m)-구석동(40m, 5km)-154.1봉(3.7/8.7km)-

부처고개(150m, 3.2/11.9km)-군자산(327.8m, 2.1/14km)-

읍내고개(170m, 1/15km)-샘고개(150m, 1.3/16.3km)-

324번지방도로 78번국지도 상리고개(70m, 3.1/19.4km)-

326번지방도로(130m, 3.2/22.6km)-336번지방도로(150m, 3.5/26.1km)-


현저고개(270m, 5/31.1km)-임도(270m, 3.2/34.3km)-

임도(250m, 1.5/35.8km)-천덕산(476.6m, 1.2/37km)-

야월산(487m, 2.5/39.5km)-갈마동도로(270m, 1.2/40.7km)-

일원동도로(270m, 4/44.7km)-3번국도(190m, 2.6/47.3km)-


463번지방도로(190m, 1/48.3km)까지가 도면으로 추정해본 진정한 한탄북기맥의 끝부분이며 이후는 한탄북보개지맥과 만나서 전술한

서방산(717m, 21.5/67.8km)-오리산(453m, 9.3/77.1km)-

신성산(458m, 10/87.1km)-평강군 다대리(5/92.1km) 그리고 한북정맥 천산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한탄북기맥에서 분기한 산줄기는 단1개의 지맥 산줄기가 직접분기하고 있으며 그 지맥에서 다시 3개의 단맥을 분기하는 지극히 단순한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은 산줄기의 대부분이 북한땅을 아우르고 있어 남한쪽만 검토를 하다보니 그리된 것뿐으로 실지로는 많은 산줄기들이 분기하고 있을 것이다


우리산줄기樹體系圖(族譜式)로 살펴보면

소계 5

1

3

113.5

한북정맥

장바위산

한탄기맥

31.1

철원

야월산 동측

한탄보개지맥

40

철원

금학산

한탄보개고남단맥

14.1

철원

보개봉

한탄보개고대단맥

18.3

철원

북대

한탄종자단맥

10

철원

성산

연천

연천군 전곡리

차탄천과 한탄강

합수점 終

40km

연천

군자산

연천

연천군 군남면남계리 도감포 한탄강 임진강 합수점 終

31.1km

연천

 

□. 산줄기별 개관


01). 한탄북보개지맥(지맥-01)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금화 내문 철원


비록 산경표에는 산줄기 이름이 없지만 산경표상 그  흐름을 살펴보면 분수령-천산에서 한북정맥은 쌍령으로 가고 다른 한줄기가 분기하여 “평강북50리 장암산-평강북30리 장망산-평강치재남10리 신성산-상현-철원치재남5리 소이산-철원서남17리 보개산-연천동15리 오봉산-금장산”으로 표기가 되어 있는데 현재 지형도에 나와있는 봉우리로는 신성산과 보개산이 있다


도면에 의해 남한쪽만 그 흐름을 살펴보면


신성산 금학산 보개산에서 서북쪽으로 고대산을 떨구고 화인봉 북대에서 오른쪽 동남쪽으로 삼형제봉 향로봉 종자산 가는 산줄기를 떨구고 서남으로 뻗어내려 수리봉 성산을 거쳐 전곡읍내를 가로질러 한탄강이 동두천을 가로질러 오는 신천과 만나는 한여울철교에서 그 소임을 다하는 남한쪽만 약40km의 산줄기가 흐르고 있다


여기서 그 끝을 차탄천이 한탄강과 만나는 지점으로 마루금을 그어도 무방하다


북한쪽을 추정하기가 어려우므로 5만분의1 지형도를 가지고 남한쪽 한여울철교부터 북쪽으로 그 흐름을 따라가 보기로 한다


한여울철교(3번국도 다리 고도 10m)-전곡역(70m, 2.5km)-고포리-남배이고개(110m, 6/8.5km)-359.4봉(2.5/11km)-북대(710m, 8.5/19.5km)에서 동남방향으로 종자산 능선을 내주고 화인봉-보개산 지장봉(877.2m, 2.5/22km)에서 동쪽으로 관인봉 능선을 내주고 기맥은 북진하여 고대산과 금학산 갈림봉인 도면상 752봉(5.5/27.5km)에 이른다 서북쪽으로 진행하면 고대산으로 가게되고 기맥은 동쪽 금학산쪽으로 내려간다 


금학산(947.3m, 2.3/29.8km)-498.9봉(5.5/35.3km)-

463번지방도로(210m, 4.7/40km)-서방산(717m, 21.5/61.5km)-

오리산(453m, 9.3/70.8km)-신성산(458m, 10/80.8km)-

평강군 다대리(5/85.8km)까지가 도면으로 추정해본 한탄북보개지맥의 흐름이다


물론 도면상 추정해 본 산줄기이며 실제적으로는 민통선의 한계점인 금학산까지의 30km 정도가 답사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이 된다     


여기서 또 한가지 고찰해 볼일이 있는데 보개산의 정상이 어디냐 하는 점이다 유일하게 한국400산행기에 “보개산은 예부터 28개의 봉우리가 있으며 그 대표적인 봉우리를 환희봉이라고 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이러한 정보를 주신 저자인 대선배님에게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


보개산군이라고 추정이 되는 봉우리들을 한국400산행기와 지형도를 보고 유추하여 열거해보면


수리봉 가마봉 남봉 오봉 성산 안장봉 토토봉, 석봉 보개산환희봉(지장봉) 또 다른 가마봉 고대산, 금학산 고남산 또 다른 수리봉, 화인봉 북대 삼형제바위봉 향로봉 관인봉(상봉) 북봉 종자산, 양금재봉 또 또 다른 수리봉 감투봉 등이 되겠으며 보개산 개관난에 지도에는 없는 불견산 대광산 용정산이 더 추가된다     


여기서 남봉과 오봉은 전곡에서 성산으로 가던 중간에 있는 고개이름이므로 그 근방의 산이름을 따서 고개이름을 지은 것이라고 추정을 하고 봉우리의 개념에 넣은 것일 뿐이므로 사실이 아닐 수도 있음을 미리 밝힌다


여기서 대충 주봉이라고 추정할 수 있는 봉우리로 금학산과 보개산 2개로 압축을 해볼 수가 있다


학이 내려앉은 형상을 하고 있는 금학산은 그 높이는 보개산보다 더 높지만 한개의 산군을 형성하는 주된 봉우리로 보기는 그 산세가 보개산에 비해 월등히 약하다


그래서 뚜렷한 산줄기의 세와 흐름과 그 길이에 있어  단연 으뜸인 보개산 산줄기상에 있는 봉우리가 한국400산행기의 내용과 같이  지장봉이 환희봉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조심스럽게 해본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다른 책들을 보면 보개산의 정상을 무슨 연유에선지 지장봉이라고 명명을 해버리고 말았다

 

만약 이같은 내용이 사실이라면 지장봉을 환희봉(歡喜峰)이라고 수정을 하고 그 멋진 이름을 만천하에 알릴 일이다


한탄북보개고남단맥1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철원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한탄보개지맥 금학산(947.3m)에서 남쪽으로 분기하여 27번군도(230. 5.2)-오금동임도-들재고개-고남산(644.2, 2.6/7.8)-486.1봉(2.4/10.2)-새재고개-수리봉(370, 1.3/11.5)를 지나 포천시 관인면 중리 건지천이 한탄강을 만나는 곳(110, 2.6/14.1)에서 끝이나는 약14.1km의 산줄기를 말한다


한탄북보개고대단맥2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철원


한북정맥 이북 평강 천산에서 분기된 한탄강의 온전한 북쪽 울타리를 치고 있는 한탄북기맥이 서남방향으로 흐르다 소이산에서 다시 남쪽으로 한줄기를 분기하여 보개산으로 가는 보개지맥을 만들어 철원 대교천의 서쪽 줄기를 이루며 흐르다


철원의 진산 금학산에서 머리를 서쪽으로 돌려 내렸다 오른 무명 752봉에서 보개지맥은 남쪽 보개산(환희봉 지장봉)으로 가고 다른 한줄기가 서북으로 분기하여 고대산(◬832.1m, 2km) 으로 올라 강원도와 경기도의 경계선은 북쪽으로 간다


다른 한줄기가 연천군 신서면을 동서로 나누며 서남방향으로 흘러 삼각봉에서 서쪽으로 대광봉을 떨구고 서남진하여

대소라치고개임도(530m, 1.3km/3.3km)-석봉(644, 1/4.3)-

내산리임도(430, 1/5.3)-541.3봉(◬1.2/6.5)-

광대골임도(270, 1.3/7.8)-349.9봉(◬0.7/8.5)-불현(310, 3.3/11.8)-

감투봉(510, 1.3/13.1)-수리봉(◬477.9, 1.2/14.3)-418봉(1/15.3)-


양금재봉(310, 1.2/16>5)-233.2봉(◬0.6/17.1)-동막골개울 아미천과 차탄천이 만나 차탄천물이 되는 곳(50, 1.2/18.3)에서 끝이 나는 약18.3km정도의 산줄기를 말한다


한탄북보개종자단맥3


종주에 필요한 5만분의1 지형도 도엽명 : 철원


한탄보개지맥이 금학산 보개산 환희봉을 지나 연천군 신서면, 연천읍, 포천시 관인면의 삼면봉인 북대(710m)에서 보개지맥은 서남측으로 달려가고 한줄기를 동남방향으로 분기하여 연천읍과 관인면의 경계를 따라 삼형제봉-향로봉(590, 2.5)-신흥동임도(290, 0.8/3.3)-종자산(642.8, 3/6.3)-문암동 농로(110, 3.2/9.5)를 지나 논두렁을 진행해 부곡천이 한탄강을 만나는 곳(110, 0.5/10)에서 끝이나는 약10km의 산줄기를 말한다


한탄기맥산줄기이야기 完






출처 : 우리산줄기이야기
글쓴이 : 신경수(산신령) 원글보기
메모 : 한탄강 북쪽 산줄기에 대해서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