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치통8

구릿대(백지 白芷) 효능 구릿대(백지 白芷)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산형과 당귀속 두해 내지 세해살이풀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 Hook.f. ex Franch. & Sav.) 별명(이명) 대활(大活),흥안백지,독활,구리대,구릿때,굼배지,백초, 두약(杜若), 향백지(香白芷) 한약명/생약명 백지(白芷)/ 분포지 전국 산골짜기 냇가 꽃피는 시기 6~8월(흰색) 수확기(결실기) 8~9월(분과-갈래열매) 용도 식용,약용(방향성을 띠며 맛은 맵고 약간 쓰다) 약용 발한,진정,진통,정혈,감기,두통,통경,치통,소종,냉,편두통,각종 신경통,복통,대장염,대하증,치루(痔漏),악성종기,항균,소염,지혈 사용부위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개구릿대(Angelica anomala LALLEM.)의.. 2022. 3. 23.
향부자(香附子) 효능 향부자(香附子)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사초과 방동사니속 여러해살이풀 (Cyperus rotundus L.) 별명 갯뿌리방동사니,뇌공두(雷公頭),향부미(香附米),苦羌頭(고강두), 夫須(부수), 莎結(사결), 莎草根(사초근), 三稜草根(삼릉초근), 續根草(속근초), 水莎(수사), 水巴戟(수파극), 水香棱(수향릉), 雀頭香(작두향), 地毛(지모), 地荸薺(지발제), 地藾根(지뢰근), 草附子(초부자), 侯莎(후사) [네이버 지식백과] 향부자 [香附子]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한약명/생약명 향부자(香附子),사초(莎草)/ 분포지 남부 해안(바삿가 모래땅이나 물가의 원야,추위에 약함),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 7~8월(붉은색) 수확기(결실기) 여름~가을 용.. 2021. 12. 28.
[치통]향부자(香附) 향부자(香附)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사초과 별명 뇌공두(雷公頭),향부미(香附米) 생약명 향부(香附),사초(莎草) 분포지 남부 해안 꽃피는 시기 7~8월 수확기(결실기) 여름~가을 용도 약용 약용 치통,발산(해소),구어혈,진경(경련억제),월경불순,월경곤란,거풍,옹종,진통,향균,향진균,수족냉증 사용부위 뿌리줄기 채취 및 조제 뿌리줄기를 가을에 채취하여 말려 사용 성분 구루코스(glucose),과당,베타-피넨(β-pinene),캄펜(camphene),전분,리모넨(limonene),싸이페렌(cyperenene),싸이페롤(cyperol),코파디엔(copadiene),코부손(kobusone) 등의 함유 약효 진통,치통,향균,생리통,월경불순,진경,어혈,옹종,향진균,거풍 등이 치료, 수족냉증 용법 뿌리줄기 10g에 물.. 2020. 11. 10.
[치통]벽오동나무 벽오동나무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벽오동과 별명 생약명 오동자(梧桐子) 분포지 중부 이남에서 재식 꽃피는 시기 6~7월 수확기(결실기) 9월 용도 관상용,식용 약용 치통,류머티즘에 의한 동통,마비,고혈압,월경불순,생리통,진통 사용부위 종자,수피 채취 및 조제 종자는 여름과 가을에 잎은 여름에 채취하여 말려서 사용 성분 지방유,카페인(caffeine),펜토산(pentosan),펜토스(pentose),갈락탄(galactan) 등이 함유 약효 종자(오동자): 산기,위통잎(오동잎):류머티즘에 의한 동통,마비,고혈압나무껍질(梧桐白皮):거풍,진통,타박상,월경불순,생리통,치통,탈모증 치료제 용법 탈모증에는 생나무 껍질을 갈아 으깨어 즙을 낸 후 두피에 바르고 마사지를 하면 좋다. 출처 질병으로 분류한 약초백과사전(한국.. 2020. 11. 10.
[치통]가지(茄子) 가지(茄子)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가지과 별명 까지 생약명 가자(茄子)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6~9월 수확기(결실기) 8~9월 용도 식용,약용 약용 치통,타박상,종창,하혈,딸꾹질,해열,동상 사용부위 열매,잎,뿌리,꽃,열매꼭지 채취 및 조제 가을에 채취하여 적당한 크기로 자른 후 햇볕에 말려서 사용 성분 탄수화물 중에서는 환원당(환원성이 있는 당류)이 많고 그밖에 자당(사탕수수,사탕무 따위의 식물에 들어 있는 이당류)과 수량의 떫은 맛이 나는데 약 39%가 수분이다. 약효 혈관을 강하게 하고 열을 낮추며 잇몸이나 구강 내 염증에 효과가 있고, 치통,진통,열독,종기 등을 치료한다. 그밖에 다른 피부염증,동상 등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용법 건조시킨 껍질을 달인 액으로 환부를 여러 번 씻는다. 달인 액을.. 2020. 11. 10.
[치통]회양목(黃楊木) 회양목(黃楊木) 구분 설명 참고 과명 회양목과 별명 화양목,도장나무 생약명 황양목(黃楊木) 분포지 중부 이남에 많고 석회암 지대에 분포 꽃피는 시기 4~5월 수확기(결실기) 가을 용도 약용,관상용 약용 신경통,치통,통풍,류머티스 사용부위 잔가지,잎 채취 및 조제 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잘게 잘라서 사용 성분 북신(buxin),파라북신(parabuxin),북시니딘(buxinidin)등 함유 약효 류머티즘,치통,풍과 습기로 인한 통증,백일해,통풍이나 류머티스,매독의 치료약 용법 줄기 25g에 물 900ml를 넣고 중불에서 200~300ml 정도가 되게 달인 액을 아침저녁 나누어서 식후에 장기간 복용하면 좋다. 그런데 너무 자주 진하게 공복에 복용하면 구토,설사,현기증 등의 증세가 일어난다. 출처 질병으.. 2020. 11. 9.
[치통] 냉초 냉초(冷草) 구분 설명 참고 과명 현삼과 별명 숨위나물,민위령선풀,초본위령선 낭미파화(狼尾巴花), 산편초(山鞭草), 구개초(九蓋草), 윤엽파파납(輪葉婆坡納) 생약명 냉초(冷草) (찰 냉, 풀 초) 참룡검(斬龍劍) (벨 참, 용 룡, 칼 검) 분포지 전국의 산(제주도 제외) 꽃피는 시기 7월 수확기(결실기) 9월 용도 약용,식용(어린 순) 약용 근육통,유행성감기,변비,방광염,해독,독사교상,독충,진통,치통 대하증,각기,류머티즘,관절염,건위,거담,편두통,수종,이뇨,통경,중풍,제습,폐결핵해수,독충에 의한 자상,(지상부):해열,해독작용,관절염,근육통에 유효 사용부위 전초 채취 및 조제 9~10월에 채취하여 깨끗하게 손질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 (뿌리줄기가 굵고 뿌리가 적은 것 사용) 성분 루데올린-7-글로코시드,.. 2020. 11. 9.
[감기/몸살] 파 (총백(蔥白)) 파 (총백(蔥白))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백합과 별명 총백두(蔥白頭),채백(采白),화총(火蔥) (캘 채) 생약명 총백(蔥白) (파 총, 흰 백) 분포지 전국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 꽃피는 시기 6~7월 수확기(결실기) 8~10월 용도 식용(잎),약용(뿌리,줄기) 약용 감기,몸살,치통,강장제,흥분제,거담.. 2012. 2. 22.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