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도움 되는 약초/타박상

참취(동풍채 東風菜) 효능

by 고산마루(다올) 2023. 2. 22.
SMALL

 

참취(동풍채 東風菜)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국화과 (Asteraceae) 참취속(Aster) 여러해살이풀
학명(Aster scaber Thunb.)
영문명(Edible aster)
 
별명(이명) 취나물,나물취,암취,나물채,취
 
한약명/생약명 동풍채(東風菜),동풍채근(東風菜根)/산백채(山白菜),백운초(白云草),마제초(馬蹄草),향소(香蔬)
 
분포지 전국 산이나 들의 초원  
꽃피는 시기 8~10월(꽃은 흰색,노란색, 산방꽃차례,설상화(舌狀花)는 6∼8개이며 관상화(管狀花)는 노란색)  
수확기(결실기) 9~11월(수과-여윈 열매)  
용도 식용,약용,염료용  
약용 (효능) 진통,해독,활혈,항산화,이담
(적용질환) 두통,현기증,근골통증,장염으로 인한 복통,인후염,타박상,독사교상,노폐물(나트륨) 배출,황달,간염,기침,소화장애,심자영,고혈압,신장병,동맥경화
 
사용부위 뿌리,전초

 
채취 및 조제 늦가을 또는 이른 봄에 굴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잘게 썰어서 사용
 
성분

 
약효 및 용법 궁합음식정보 : 참기름,들깨 (참취에 풍부한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도우며 향긋한 향에 고소함을 더하여 식욕을 돋운다.)

♣말린 약재를 1회에 5~10g씩 200ml 정도의 물로 뭉근하게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타박상이나 뱀에 물렸을 때에는 생뿌리를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말린 약재를 가루로 빻아 기름에 개어서 바른다.

 
     
출처    
해설 참취
취나물 종류 가운데 맛과 향이 빼어나고,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어서 으뜸 나물이라고 참취다.
~~~~~~~~~~~~~~~~~~~~~~~~~~~~~~~~~~~~~~~~~

♣ 산이나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높이 1∼1.5m로 윗부분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진다. 뿌리잎은 자루가 길고 심장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굵은 톱니가 있으며 꽃필 때쯤 되면 없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뿌리잎과 비슷하며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지고, 꽃이삭 밑의 잎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다. 잎에 무성아 비슷한 것이 생기는 것은 벌레집이다.

꽃은 8∼10월에 피고 흰색이며 두화는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포는 3줄로 배열하고 설상화(舌狀花)는 6∼8개이며 관상화(管狀花)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로 11월에 익는다. 어린순을 취나물이라고 하며 식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취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분포
한국, 일본(북해도, 시코쿠, 큐슈), 중국(만주)

특징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9-24cm, 나비 6-18cm로서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 또는 겹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날개가 있는 짧은 엽병과 더불어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예저로서 점차 작아지고 꽃차례의 잎은 길이 3-5cm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지름 18-24mm로서 백색이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의 편평꽃차례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9-30mm이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길이 4-5mm, 나비 7-9mm이며 포는 3줄로 배열되고 외포는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1.5mm 정도며 내포는 좁고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4-5mm이다. 혀꽃은 길이 11-15mm, 나비 3mm 정도이다.

열매
수과는 길이 3-3.5mm, 지름 1mm로서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관모는 흑백색으로서 길이 3.5-4mm이다. 11월에 결실한다.

줄기
높이 1-1.5m이고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뿌리
근경이 굵고 짧다.

생육환경
자생지를 참작하여 산간의 들판이나 보수력이 있는 양지 또는 반그늘진 곳이 이상적이다. 공중습도가 높은 곳에서 연하고 큰 것이 생산된다. 토질은 부식질이 많은 비옥한 땅이 좋으며 보수력이 있으면서도 배수가 잘 되는 땅이 좋다.

번식방법
• 실생과 분주로 번식한다.
① 실생: 가을에 씨가 익으면 날아가버리므로 날아가기 전에 채종하여 비비면 관모가 떨어지므로 털을 없앤 후 직파한다. 씨는 발아력이 좋고 쉽게 활착이 잘되므로 파종상에 흩뿌림 하든가 줄뿌림한다. 씨가 작으므로 모래와 섞어서 뿌린 다.
② 분주: 가을이나 이른 봄 싹트기 전에 포기를 캐내어 싹을 2-3개를 붙여서 쪼개어 심는다.

재배특성
1) 재배기술

번식종자번식 - 파종시기는 3-4월경이 적기이며 파종방법은 120cm의 넓은 이랑에 흩어뿌리고 갈귀로 긁어주어 종자가 얕게 덮이게 하고 낙엽이나 짚을 얇게 덮어준 다음 충분한 물을 뿌려준다. 파종상은 10a당 1a정도 필요하며 본엽이 4-6배 때 본포에 옮겨 심으면 된다.
포기나누기 - 자연 분주 또는 잎을 2-3매 붙혀 칼로 인위적으로 나누어도 된다. 시기는 4월 하순경이나 잎이 떨어진 11월 하순 어느때나 해도 좋다.
삽목 - 잎자루를 15cm정도 붙여 절단하여 삽상에 꽂는다. 삽상의 관리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고 차광막을 씌워 강광을 막아주면 삽목 후 15일경이면 카루스가 형성되고 30일이 지나면 발근이 시작된다.


시비 - 토양에 유기물 함량이 많아야 배수와 보습력이 좋아 질 좋은 취나물을 증산할 수 있다.


단경기 재배 - 하우스재배는 서리를 맞히고 휴면기간을 준 후 땅이 얼기전에 비닐하우스를 설치하고 외피를 씌운 후 1월 상순경 내피를 씌우고 보온을 해주면 2월중순경부터 수확할 수 있다. 터널재배는 60cm간격으로 할죽을 꽂고 2월 하순부터 비닐을 씌워주면 30일경이 지난 3월 하순경에 10cm정도 자라 수확이 가능하다.

2)관리
대체로 10-30cm정도가 되도록 솎음질을 한다. 김매기 작업은 발아 후 30일이 지나면 시작하고 2차 김매기는 6월 하순경 잡초가 무성하기 직전에 하고 3차 김매기는 장마가 끝난 후에 한다.파종 후 2년차부터는 여름철 한두번 정도로 충분하다. 가뭄에 약하므로 가뭄시에는 관수를 해야한다. 7월 초가 되면 꽃대가 나오는데 종자가 필요하지 않으면 낫으로 잘라주어 뿌리의 발육을 좋게 해야 다음해 나물수량이 많아지고 포기 벌어짐이 잘된다. 가을철에는 마른 잎과 줄기는 깨끗이 치우고 짚이나 퇴비 등을 10a당 1,000-1,500kg정도 덮어주면 겨울 추위를 잘 견딜뿐 아니라 봄철 새순 돋는데 도움이 된다.

3) 수확
파종 또는 아주 심은 후 1년차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수확적기는 10cm정도 자랐을때 한다.수확 후 새싹이 잘려진 근처에서 나오므로 1차 수확 후 2차수확까지가 길다. 10a당 수량은 1년차에는 1,000kg,2년차부터는 2,000-4,000kg정도의 생나물을 수확할 수 있다. 건조는 끓는 물에 데쳐서 건조기에는 건조하거나 음건한 후 저장한다.포장은 생나물을 4kg 상자에 넣고, 마른나물은 비닐로 소포장하여 출하한다.

이용방안
• 취나물에는 비타민의 함량이 많아 대표적인 식품적 가치를 갖는 채소이다.
•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가는 줄기와 잎을 잘게 썰어 믹서에 간 다음 끓여서 염액을 추출하였다. 염액의 색에 비해 옅게 물드는 편으로 반복 염색하여 밝고 독특한 색상을 얻을 수 있었다.
全草는 東風菜(동풍채), 根은 東風菜根(동풍채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1) 東風菜(동풍채)
① 성분: 뿌리는 squalene, friedelin, friedelan-3β-ol 및 α-spinasterol을 함유하며 지상부분은 다량의 coumarins을 함유한다.
② 약효: 타박상, 毒蛇咬傷(독사교상)을 치료한다.

(2) 東風菜根(동풍채근)
① 약효: 疏風(소풍), 行氣(행기), 活血(활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腸炎(장염)에 의한 腹痛(복통), 骨節疼痛(골절동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② 용법/용량: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가루를 만들어가 술에 담가서 사용한다. <외용> 가루를 만들어 살포하거나 짓찧어서 바른다.

유사종
개미취, 갯쑥부쟁이 등이 있다.

병충해 및 방제방법
병충해

병해충은 거의 없으며 때로 진딧물이 발생하나 진딧물 구제약으로 쉽게 막을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취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 흔히 취나물, 나물취라고 한다. 취나물 종류 가운데 맛과 향이 빼어나고,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어서 으뜸 나물이라고 참취다. 부드러운 잎과 어린순을 무치거나 쌈으로 먹는다. 데쳐서 간장이나 된장에 무치기도 하고, 된장국도 끓인다. 썰어서 부침개를 해도 맛있다. 묵나물로 먹어도 맛과 향이 좋다.

- 나물 할 때 : 봄
- 나물 하는 방법 : 부드러운 잎과 어린순을 뜯는다.
- 추천 음식 : 쌈, 생으로나 데쳐서 무침, 된장국, 부침개, 묵나물볶음
[네이버 지식백과] 참취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010. 3. 1., 이영득)
~~~~~~~~~~~~~~~~~~~~~~~~~~~~~~~~~~~~~~~~~

1.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온몸이 껄껄하다.

줄기는 곧게 서서 1.5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약간의 가지를 친다.

잎은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심장 꼴 또는 길쭉한 심장 꼴로 가장자리에는 고르지 않은 톱니를 가지고 있다. 줄기의 아래쪽에 자리한 잎은 날개와 같은 조직이 달린 긴 잎자루를 가진다. 위쪽에 나는 잎은 긴 계란 꼴 또는 피침 꼴로 잎자루는 아주 짧다. 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우산 모양으로 모여 핀다. 꽃은 6~7장의 흰 피침 모양의 꽃잎으로 이루어지며 지름은 1.8~2.4cm이다.

2. 분포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산록지대의 양지쪽 풀밭에 난다.

3. 약용법

생약명
동풍채근(東風菜根). 산백채(山白菜), 백운초(白云草)라고도 부른다.

사용부위
뿌리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늦가을 또는 이른봄에 굴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잘게 썬다.

성분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별로 밝혀진 것이 없다.

약효
진통, 해독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적용질환은 근골통증, 요통, 두통, 장염으로 인한 복통, 인후염 등이다. 타박상이나 뱀에 물렸을 때에도 치료약으로 쓴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5~10g씩 200cc 정도의 물로 뭉근하게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타박상이나 뱀에 물렸을 때에는 생뿌리를 짓찧어서 환부에 붙이거나 말린 약재를 가루로 빻아 기름에 개어서 바른다.

4. 식용법
흔히 말하는 취나물로 대표적인 산나물이다. 어린잎을 나물이나 쌈으로 해서 먹는다. 쓴맛은 없고 다소 매운맛이 있어 가볍게 데쳐 찬물에 담갔다가 사용한다. 데쳐서 말려두었다가 수시로 나물로 무쳐 먹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쓰이는 것을 묵나물(陳菜)이라고 한다. 정월 대보름날에 먹는 취나물이 바로 이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취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이른 봄에 포기나누기를 하거나 11월에 받은 종자를 바로 화분에 뿌려 싹을 키운 후 봄에 화단으로 옮겨 심거나 냉장보관 후 이듬해 봄에 뿌린다.

관리법 : 반드시 반그늘의 유기물 함량이 높은 화단에 심어야 한다. 광을 많이 받는 곳의 잎은 질기기 때문에 나물로 먹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잎끝이 타기 때문에 생육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물은 2~3일 간격으로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취 (야생화도감(가을), 2009. 9. 15., 정연옥, 박노복, 곽준수, 정숙진)
~~~~~~~~~~~~~~~~~~~~~~~~~~~~~~~~~~~~~~~~~
 

형태분류
줄기: 여러해살이로 바로 서서 자라며, 거친 털이 있다.

: 뿌리에서 난 잎(根生葉)은 꽃이 필 때면 거의 고사하고, 줄기에서 난 잎(莖生葉)은 어긋나며(互生), 가장자리에 겹톱니(複鋸齒)가 있다. 뒷면은 흰빛을 띠고, 양면은 약간 거칠며 털이 있다.

: 8~10월에 줄기 윗부분에 백색 설상화(舌狀花)가 피고, 고른꽃차례(繖房花序)다. 가운데 관상화(管狀花)는 황색이며, 꽃싼잎(苞葉)은 3열로 배열된다.

열매: 여윈열매(瘦果)로 엷은 갈색의 깃털(冠毛)이 있고, 풍산포(風散布)한다.

염색체수: 2n=18

생태분류
서식처: 산지 밝은 숲속, 숲 가장자리, 초지, 양지~반음지, 적습(適濕)~약건(弱乾)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산지대 이하
식생지리: 냉온대~난온대, 만주, 중국(동부, 북부, 남부), 아무르, 우수리, 일본 등
식생형: 산지 삼림식생(이차림), 이차초원식생
종보존등급: [V] 비감시대상종

참취는 키가 크고 잎이 넓은 풀(高莖廣葉草本)로 분류되며, 벌채한 곳이나 조림지의 햇빛이 지면에 직접 도달하는 입지에서 주로 산다. 산불을 경험한 적이 있는 밝은 이차림에서도 흔하게 관찰된다. 자연림처럼 어두운 숲속에서는 살지 않는다. 숲속에 참취가 한 포기라도 살고 있으면, 그 숲은 진정한 자연림, 즉 일차림(primary forest)이 아니다. 어떤 원인에 의해 한 번 이상 훼손된 적이 있는 이차림(secondary forest)이고, 최근까지도 인간간섭에 의해 숲 바닥이 교란된 적이 있다는 증거가 된다.

참취는 잎이나 줄기에 억센 털이 있어서 거칠다. 종소명 스카베르(scaber)는 면이 거칠다는 의미의 라틴어다. 한여름에 잎이 다 성장하면, 잎에 곤충 애벌레가 들어 있는 혹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참취는 구절초나 쑥부쟁이 종류처럼 주로 늦여름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고, 다발로 키워보면 가장 한국적인 가을 정취를 연출한다.

참취의 속명 아스터(Aster)는 꽃의 아름다움을 두고 붙인 이름으로, 두상화(頭狀花)가 방사상으로 핀 것이 별(star)과 같다는 의미의 희랍어에서 유래한다. 곤충들이 분주하게 방문하는

충매화(蟲媒花)다. 종자는 바람을 이용해서 퍼져나간다. 늘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 참취가 흔한 이유다. 바람이 통하지 않는 곳이나 습한 곳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중국 한자명 동풍채(東風菜)를 글자대로 해석하면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쐬는 곳에서 나는 나물’이 된다. 하지만 봄바람(東風)이 불 때 어린잎을 채취해서 나물로 해먹는 습속에서 유래하는 명칭으로 우리에게서 생겨난 이름이다.

중국 고전에서 한자 ‘東(동)’은 방향을 뜻하기도 하지만, 바로 우리를 지칭하는 한자이기 때문이다(참고: 동학(東學), 동인(東人), 동의보감(東醫寶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의 ‘동’은 모두 한국(Korea) 또는 한국인(Korean)을 뜻하지, 동쪽(east)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동해는 곧 한국인의 바다, 즉 ‘Sea of Korea’이지 ‘East Sea’가 아니다. 후자를 사용하려면 적어도 ‘Korean East Sea’란 표기가 옳다.).

한글명 참취는 취 가운데 으뜸으로 유용한 나물이란 뜻이며, 20세기 초에 ?로 기재된 바 있다. 이것은 15세기 우리말 고어 ?에서 유래한다. 여기에서 ?는 취(醉)하다의 어근으로 어떤 기운으로 정신이 흐려지고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게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그래서 취나물처럼 취(醉)라는 단어가 들어간 고전 속의 식물명이라면, 모두 약초이거나 채소로 이용되었을 개연성이 높다. 참취가 현기증에 도움이 되는 약초라는 것도 그런 사실을 뒷받침한다. 16세기 『신증유합(新增類合)』 「소채(蔬菜)」편에는 ‘취 소(蔬)’란 기록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말 취는 푸성귀 채소를 의미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자 채소(菜蔬)의 채와 우리말 취는 서로 잇닿은 동원어인 것이다.

참취라는 한글명이 19세기 『물명고(物名考)』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단지 동풍채(東風菜)라는 한자명만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볼 때, 참취라는 이름은 아주 오래된 옛 이름처럼 보이지만, 기실은 20세기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기재된 아주 젊은 이름임에 틀림없다. 고래로 참취를 식용이나 약용했다는 기록이 눈에 띄지 않는 것도 그런 사실을 뒷받침한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는 참취는 ‘참’이란 글자를 포함하는 야생초이지만, 이름에 비해 그 유용성은 아주 미약했던 모양이다.

북한과 만주에서는 참취를 암취, 나물취, 나물채 따위로 부른다. 일본명 시라야마기꾸(白山菊)는 ‘산에 나는 꽃이 흰 국화’라는 의미에서 유래한다. 그러나 이 이름은 만주지역에서 부르는 한자 명칭 가운데 하나다. 백산(白山; 높은 산, 깊은 산의 의미도 있음) 지역에서 나는 국화란 뜻이며, 백두산의 또 다른 이름이 백산(白山)이기도 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취 [Rough aster, シラヤマギク, 东风菜]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김종원)
~~~~~~~~~~~~~~~~~~~~~~~~~~~~~~~~~~~~~~~~~

동풍채[ 東風菜 ]
국화과 식물인 참취 Aster scaber Thunb.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널리 자란다. 여름철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린다. 전초에 flavonoid · saponin · 향기름이 있고 뿌리에 쿠마린 · saponin · 알칼로이드가 있다. 약리 실험에서 동풍채는 뚜렷한 이담(利膽) 작용, 진통 작용을 나타낸다. 민간에서 동풍채를 황달, 간염, 기침, 소화 장애, 타박상, 뱀에 물린 상처(snakebite) 등에 쓴다. 어린 잎은 산나물로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동풍채 [東風菜]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동풍채시호약[ 東風菜柴胡藥 ]
동풍채(東風菜) 7g, 시호(柴胡) 1g, 감초(甘草) 1g. [《동의처방집(東醫處方集)》]

유행성 간염, 만성 간염이 도지는 시기에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1~3살 어린아이에게는 1.5~2g, 4~8살은 2.5~3g, 9~14살은 3.5~4g을 하루 양으로 하여 2~3번에 나누어 식후에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동풍채시호약 [東風菜柴胡藥]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 참취는 칼슘과 철분이 풍부하다. 특히 참취는 칼륨 함량이 높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해 취나물을 많이 먹으면 심장병, 고혈압, 신장병, 동맥경화에 좋다. 참취의 약용성분으로는 옹근풀에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사포닌(saponin) 등이 있고, 꽃 이삭과 줄기에 정유가 있으며 뿌리에는 쿠마린(coumarin), 사포닌(saponin), 알칼로이드(alkaloid)가 있다. 참취에 들어있는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β-carotenoid)과 같은 항산화 비타민류가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좋은 콜로레스테롤인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취쌈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취나물볶음
요약 데친 취나물을 갖은 양념에 골고루 무친 후에 기름에 볶아 먹는 숙채.

취나물은 봄철에는 새로 나오는 연한 취나물을 쓰고 제철이 아닐 때에는 데쳐서 말려두었던 것을 쓴다. 말려두었던 산나물들은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볶으면 나물이 맛이 있고, 신선한 산나물은 초고추장에 무치면 맛이 있다. 특히 잎이 넓은 취나물이나 아주까리의 잎으로 밥을 얹어 쌈을 사서 먹으면 맛이 별미이다.

참취는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야지에 흔히 자생하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하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참취는 흔히 취나물이라고도 불리는데, 향긋한 냄새 때문에 ‘향소(香蔬)’라고도 부르기도 하였다. 그리고 옛날부터 복을 가져온다고 여겨 정월대보름이면 김과 함께 오곡밥을 싸먹는 복쌈의 재료가 된다. 참취는 주로 식용이나 관상용으로 이용되며, 해수, 이뇨, 방광염, 두통, 현기증 등에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참취는 칼슘과 철분이 풍부하며 베타카로틴의 함량도 높은 편이다.

특히 참취는 칼륨 함량이 높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을 해 취나물을 많이 먹으면 심장병, 고혈압, 신장병, 동맥경화에 좋다. 취나물은 대개 뜯어서 말려두었다가 먹는 이유가 있는데, 취나물에는 수산(oxalic acid)이 많아 생것으로 먹으면 몸속의 칼슘과 결합하여 결석을 유발하기 때문으로 수산은 열에 약하므로 끓는 물에 살짝 데치면 분해된다. 그러나 우리가 취나물을 통해 섭취하는 수산의 양은 적기 때문에 참취의 어린잎은 생채로 먹을 수 있다.

봄에 나는 취나물은 센 줄기를 다듬어 내고 깨끗한 물에 씻어서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데쳐내어 찬물을 갈아주면서 한나절 정도 불린다. 파와 마늘은 곱게 다진다. 물에 담가 떫은맛을 우려낸 취나물은 건져서 물기를 꼭 짠 후에 큰 잎은 짧게 끊어서 간장, 설탕  다진 파, 다진 마늘,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 등을 넣고 고루 무친다. 프라이팬을 달구어 기름을 넉넉히 두르고 중불에서 서서히 볶는다. 취나물에 기름이 고루 돌면 물을 3큰술 정도 넣고 뚜껑을 덮어서 익힌다. 취나물이 부드럽게 익으면 참기름과 깨소금을 넣고 골고루 섞어준 다음 그릇에 담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취나물볶음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참취장아찌
요약 참취를 간장 달인 물에 부어 삭힌 후에 먹는 장아찌.
국가 한국 강원도
구분 장아찌
주재료 참나물

강원도의 향토 음식으로 참취를 간장 달인 물에 부어 삭힌 후에 먹는 장아찌이다.

장아찌와 같은 채소류를 이용한 발효식품은 저장 과정에서 조직이 쉽게 물러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채소의 펙틴질이 폴리갈라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채소에는 펙틴에스테라아제(pectinesterase)와 폴리갈라투로나아제(polygalacturonase)가 있는데, 이중 폴리갈락투로나아제는 펙틴질을 분해하여 갈락투론산을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 효소의 활성은 장아찌를 담그는 과정에서 공기와의 접촉을 억제하면 억제할 수 있는데, 장아찌를 담글 때에 돌로 잘 눌러 공기가 있을 만한 공간을 없애주거나 공기와의 접촉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취를 손질한 후에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다. 다시마를 넣고 끓인 물에 간장, 식초, 설탕 등을 넣고 팔팔 끓인 다음 식힌다. 참취를 병이나 항아리에 담아 간장 달인 물을 부어준 다음 돌로 눌러준다. 3일이 지난 후에 간장 물에 담가 놓은 참취를 꺼내어 간장 달인 물을 다시 한번 끓여 식힌 다음 부어 준다. 이러한 과정을 3일 간격으로 3회정도 반복한 후에 꺼내어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참취장아찌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종류 및 유사종)
▶개미취
(Aster tataricus L.f.):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자생의 개체는 개화시기가 10월 중순-11월 중순으로 상대적으로 늦으며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중부 및 경기도 일원에서 생육하는 개체는 초장이 2m에 이르는 대형이며 개화시기는 9월말-10월초로 일반적인 개체들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늦게 개화하고 야화성이며 줄기가 강건하여 도복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갯쑥부쟁이(Aster hispidus Thunb.): 해변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섬쑥부쟁이(Aster pseudoglehnii Y.S.Lim, Hyun & H.Shin):
▶쑥부쟁이(Aster yomena (Kitam.) Honda): 세포학적으로는 가새쑥부쟁이와 남원쑥부쟁이 사이에서 생긴 잡종이라고 한다. 원래 들국화라는 이름은 식물학상에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들에서 자라는 쑥부쟁이류, 산국, 감국, 구절초 등을 통틀어서 들국화라고 부근다. 봄에 싹이 돋아날 때 자주색을 띠어 쉽게 찾을 수 있는데 그래서 `자채(紫菜)`라고도 하며, 뿌리 주위까지 자색을 띠고 있어 이 부위가 특이 더 맛이 있으므로 뿌리채 채취하여 이용하는 향기롭고 맛있는 봄나물이다.
▶옹굿나물(Aster fastigiatus Fisch.): 해안지역 풀밭에 자라며, 자생지는 많으나 개체수가 적다.
▶참취(Aster scaber Thunb.):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한라참취(Aster scaber var. minor Yabe ex Nakai): 제주도


 


♣영양성분

 
니아신
0.70mg
나트륨
16.00mg
단백질
3.30g
당질
5.40g
레티놀
0.00㎍
베타카로틴
3,564.00㎍
비타민 A
549.00㎍RE
비타민 B1
0.04mg
비타민 B2
0.10mg
비타민 B6
0.14mg
비타민 C
14.00mg
비타민 E
0.48mg
식이섬유
4.40g
아연
0.33mg
엽산
16.10㎍

61.00mg
지질
0.40g
철분
2.30mg
칼륨
469.00mg
칼슘
124.00mg
콜레스테롤
0.00mg
회분
1.70g
   

영양성분 : 31kcal/100g 기준
[네이버 지식백과] 참취 (쿡쿡TV)
<>

참취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