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쇠무릎(우슬 牛膝)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비름과 (Amaranthaceae) 쇠무릎속(Achyranthes) 여러해살이풀 학명(Achyranthes bidentata Blume var. japonica Miq.) 영문명(Oriental chaff flower) |
|
별명(이명) | 쇄무릎풀 ,산현채(山見菜)·대절채(對節菜)·쇠물팍·쇠무릎지기·은실·백배·마청초 |
|
한약명/생약명 | 우슬(牛膝) 또는 회우슬(懷牛膝) - 쇠무릎(牛膝, Achyranthes bidentata Bl.)의 뿌리를 건조한 것 |
|
분포지 | 전국 각지 다소 습기가 있는 곳,일본에서도 자란다. 원산지(한국) | |
꽃피는 시기 | 8~9월(녹색 이삭꽃차례), 양성화, 꽃말(애교) | |
수확기(결실기) | 9월~(긴 타원형 포과) | |
용도 | 약용,식용(어린 잎) | |
약용 | (효능) 이뇨,강정,통경,정혈, 항염증, 生牛膝(생우슬)은 散瘀血(산어혈), 消癰疽(소옹저),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強筋骨), 항노화, 혈압강화 (적용질환) 임질,두통약,신경통,관절염, 淋病(임병), 혈뇨, 월경불순, 징하, 난산, 胞衣不下(포의불하), 산후 瘀血(어혈)에 의한 복통, 喉痺(후비), 癰腫(옹종), 타박상. 腰膝骨痛(요슬골통), 수족경련, 운동마비, 해독제(뱀에 물렸을 때-줄기 잎 |
|
사용부위 | 뿌리 |
|
채취 및 조제 | 줄기와 잎이 마른 다음에 캐 수염뿌리, 泥土(이토)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유황으로 여러 번 燻(훈)하여 끝을 끊어내고 고르게 간추려서 다시 말린다. |
|
성분 | oleanolic acid, α-L-rhamnopyranosyl-β-D-galactopyranoside 다당체로, 항암 활성 성분과 면역을 증진하는 glucronic acid, galactose, ecdysterone, inokosterone, rubrosterone, argin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
|
약효 및 용법 | ♣ 사용상 주의 우슬속의 식물은 전통적으로 착상 억제 및 낙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실제 몇몇 약리연구가 이를 지지하고 있다. 때문에 임산부에 대한 사용을 금기로 한다. |
|
출처 | ||
해설 | ♣ 쇠무릎(우슬)은 마디가 두드러져서 소의 무릎같이 보인다하여 쇠무릎이라고 한다. ~~~~~~~~~~~~~~~~~~~~~~~~~~~~~~~~~~~~~~~~~ ♣ 산현채(山見菜)·대절채(對節菜)·쇠물팍·쇠무릎지기·은실·백배·마청초라고도 한다.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마디가 무릎처럼 두드러지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끝이 좁고 털이 약간 있으며 잎자루가 있다. 꽃은 8∼9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수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은 양성이고 밑에서 피어 올라가며, 꽃이 진 다음 굽어서 밑을 향한다.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각각 5개씩이고 암술은 1개이며, 겉에 3개의 포가 있다. 수술은 5개가 밑이 합쳐지고 그 가운데에 1개의 꽃밥이 없는 수술이 있다. 열매는 긴 타원형의 포과로서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달린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로는 술을 담근다. 한방에서 뿌리를 이뇨·강정·통경에 쓰며, 민간요법에서는 임질과 두통약으로 쓴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네이버-두산백과 두피디아] ~~~~~~~~~~~~~~~~~~~~~~~~~~~~~~~~~~~~~~~~~ ♣ 분포 ▶일본에도 자란다. ▶전국 각처의 산야에서 자란다. 생육환경 ▶산지의 숲속이나 들에서 자란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50-100cm이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털이 약간 있고 길이 10~20cm, 나비 4-10cm로서 엽병이 있다. 꽃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3mm정도이고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녹색의 이삭꽃차례가 자라며 꽃은 양성이고 밑에서부터 피어 올라가며 꽃이 진 다음 밑으로 굽어서 꽃대축에 붙는다. 포(苞)는 송곳형이다. 꽃 밑에 달린 3개의 작은포 중에서 2개는 밑에 난상의 돌기가 2개씩 있다. 꽃받침 열편은 5개가 서로 다르고 바깥쪽의 것은 끝이 매우 뾰족하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밑이 합쳐지며 그 중앙에 1개씩의 꽃밥이 없는 수술이 있다. 암술과 암술대는 각각 1개이며 씨방은 타원형이다. 열매 과실은 낭과로서 긴타원모양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종자가 1개 있다. 열매는 쉽게 떨어져서 옷같은 데 잘 붙는다. 줄기 원줄기는 네모지고 높이 50-100cm이며 곧게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가 높아서 무릎같이 보이므로 쇠무릎이라고 한다. 뿌리 뿌리 굵고 길며, 우슬(牛膝)이라 한다. 번식방법 씨로 번식하며 씨가 익어서 낙과되기 전에 포기를 베어 멍석에 펴 말려서 씨를 턴다. 파종은 다소 늦게 봄 4~5월 초순에 흩뿌림한다. 재배특성 잡초로 자랄 만큼 매우 튼튼하여 아무 곳에서나 잘 자라지만 재배할 때는 한냉한 곳보다 따뜻한 곳이 좋으며 토질은 토심이 깊고 부식질이 있는 다소 부드러운 식양토나 사질양토가 좋다. 보호방안 대개 2주일이면 싹 트는데 발아력이 약하므로 엷게 복토하여 볏짚이나 왕겨를 덮어서 건조를 방지해주면 빠른 것은 10이면 싹튼다. 특징 마디가 두드러져서 소의 무릎같이 보인다하여 쇠무릎이라고 한다. 이용방안 • 어린잎은 식용한다. •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줄기와 잎을 채취하여 염액을 얻었다. 반복염색으로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진다. • 根(근)은 牛膝(우슬), 莖葉(경엽)은 牛膝莖葉(우슬경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1) 牛膝(우슬) ① 줄기와 잎이 마른 다음에 캐 수염뿌리, 泥土(이토)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유황으로 여러 번 燻(훈)하여 끝을 끊어내고 고르게 간추려서 다시 말린다. ② 약효: 정혈, 이뇨, 通經藥(통경약)으로서 生牛膝(생우슬)은 散瘀血(산어혈), 消癰疽(소옹저)의 효능이 있다. 淋病(임병), 혈뇨, 월경불순, 징하, 난산, 胞衣不下(포의불하), 산후 瘀血(어혈)에 의한 복통, 喉痺(후비), 癰腫(옹종), 타박상을 다스린다. 熟用(숙용)하면 補肝(보간), 補腎(보신)하고, 筋骨(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腰膝骨痛(요슬골통), 수족경련, 운동마비를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9-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달인 즙을 졸여서 膏劑(고제)로 하여 사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도 쓴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2) 牛膝莖葉(우슬경엽) ① 7-8월에 채취한다. ② 약효: 한습위비, 腰膝疼痛(요슬동통), 만성 말라리아, 淋病(임병)을 다스린다. 효능은 우슬과 같으므로 春(춘), 夏(하)에는 이것을 쓰는 것이 좋다. ③ 용법/용량: 3-9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짓찧어서 즙을 내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쇠무릎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 마디가 불뚝하여 소 무릎을 닮았다고 쇠무릎이다. 우슬이라고도 한다. 예전에는 뱀에 물렸을때 줄기와 잎을 찧어 발랐다. 부드러운 잎과 연한 순을 쌈이나 무쳐서 먹는다. 데쳐서 된장이나 초고추장에 무치기도 한다. 튀김을 하고, 된장국도 끓인다. 뿌리는 신경통이나 관절염 따위에 약으로 쓴다. - 나물 할 때 : 봄~여름 - 나물 하는 방법 : 부드러운 잎과 연한 순을 뜯는다. - 추천 음식 : 쌈, 생으로나 데쳐서 무침, 튀김, 된장국 [네이버 지식백과] 쇠무릎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010. 3. 1., 이영득) ~~~~~~~~~~~~~~~~~~~~~~~~~~~~~~~~~~~~~~~~~ ♣ 개요 비름속(Achyranthes)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5종이 있으며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 3종이 있는데 모두 약으로 사용한다. 중국의 동북 지역을 제외하고 전국 각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한반도, 러시아, 인도,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유럽 등지에도 분포한다. ‘우슬’이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처음으로 기재되었지만 회우슬과 천우슬(川牛膝)로 구분되지는 않았다. 《명의별록(名醫別錄)》 및 그 후의 많은 본초서적에서 쇠무릎의 산지와 원식물의 형태 묘사를 비교하였을 때 이 종은 전통 약용 우슬의 정품에 해당한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우슬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쇠무릎은 주로 중국의 하남에서 재배되는데 ‘사대회약(四大懷藥)’ 중의 하나이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우슬을 “비름과에 속하는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Nakai) 또는 우슬(Achyranthes bidentata Blume)의 뿌리”로 등재하고 있다. 쇠무릎의 뿌리에 함유된 주요한 활성성분은 올레아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엑디스테론, 다당 등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약재의 성상, 현미경 감별 특징, 수분, 회분 및 엑스함량 등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쇠무릎에는 진통, 항염증, 면역력 증강, 항노화, 기억력 증강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우슬은 보간신(補肝腎), 강근골(強筋骨) 등의 효능이 있다. 함유성분 뿌리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성분으로 achybidensaponins I, II (achyranthosides I, II)[참고문헌:6], bidentatosides I, II, ginsenoside R0, oleanolic acid 28-O-β-D-glucopyranoside, 스테론 성분으로 β-ecdysterone, 25S-inokosterone, 25R-inokosterone, achyranthesterone A가, 다당류 성분으로 Achyranthes bidentata peptide polysaccharide ABAB, Achyranthes bidentata polysaccharide (ABPS)0] 등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또한 알칼로이드와 쿠마린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함께 뿌리에는 정유성분으로 2,6-dimethyl-pyrazine, 2-methoxy-3-isopropyl-pyrazine, 2-methoxy-3-isobutyl-pyraz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면역조절 우슬다당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단핵대식세포의 탐식작용을 증강하고 어린 Mouse의 혈청 용혈 수준과 항체형성세포의 수량을 증가시킨다[참고문헌:14]. 우슬다당은 in vitro에서 노령 Mouse T임파세포의 증식과 인터루킨-2의 분비를 제고하고 in vivo에서 노령 Mouse의 T임파세포와 혈청 중 종양괴사인자(TNF-α 혹은 TNF-β) 및 일산화질소의 생성과 일산화질소합성효소(NOS)의 활성을 뚜렷하게 증가시킨다. 2. 항노화 우슬을 달인 약액을 위에 주입하면 30일 내에 노화모델 Mouse의 슈퍼옥시드디스무타아제 활성을 제고하고 지질과산화물(LPO)의 수치를 낮출 수 있다. 3. 항응혈 우슬다당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응혈시간을 연장하고 Rat의 혈장 프로트롬빈반응시간(PT)과 응혈활성효소시간을 연장시킨다. 4. 항종양 우슬다당은 Mouse 육종세포 S180과 인체백혈병세포 K562의 증식을 억제한다[참고문헌:18]. 우슬의 사포닌은 in vitro에서 에를리히복수암(EAC) 세포의 성장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한다. In vivo에서는 Mouse의 S180 복수형 육종 및 간암 실체종양에도 억제작용이 있다. 5. 항염, 진통 우슬의 각기 다른 포제품을 위에 주입하면 초산으로 유발된 Mouse의 몸부림 반응을 억제하고 통증역치를 제고하며 파두유(巴豆油)로 유발된 Mouse의 귀두염증에도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우슬의 사포닌을 위에 주입하면 디메칠벤젠으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과 단백에 의한 Mouse의 발바닥 종창을 경감시키고 경지육아종(瓊脂肉芽腫)의 중량을 줄이며 열판에서의 Mouse의 접촉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6. 자궁 흥분 우슬의 사포닌은 Rat의 자궁에 현저한 농도 의존적 흥분작용이 있다. 우슬 사포닌 A는 Rat, Mouse의 자궁 및 집토끼의 자궁에 농도 의존성 수축을 뚜렷하게 나타낸다. 7. 항바이러스 In vitro 실험에서 우슬다당황산염은 B형 간염바이러스(HBV) 표면항원(HBsAg)과 e항원(HBeAg)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동시에 I형 단순포진바이러스(HSV-1) 억제에도 효과적이다. 8. 기억력 개선 Mouse의 위에 우슬을 달인 약액을 7일간 주입하면 펜토바르비탈로 유발된 기억장애를 뚜렷하게 개선한다[참고문헌:25]. 우슬 추출물은 스코폴라민과 MK-801으로 유발된 Rat의 건망증을 개선할 수 있다. 9. 기타 우슬의 알코올 추출물 속에 함유된 엑디스테론은 in vitro에서 Rat의 골질세포 UMR106의 증식작용을 촉진한다[참고문헌:27]. Mouse 위에 우슬을 달인 약액을 주입하면 Mouse의 강제 유영시간을 연장하고 내성을 뚜렷하게 증가시킨다. 용도 우슬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활혈통경(活血通經,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월경이 재개되게 함), 보간신(補肝腎, 간과 신장이 음허한 것을 보하는 것), 강근골(強筋骨, 근육과 뼈를 강하고 튼튼하게 함), 인혈하행(引血下行, 혈을 이끌어 아래로 내려감), 이뇨통림(利尿通淋, 이뇨시키고 소변이 잘 통하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어혈조체[瘀血阻滯, 혈행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체내의 혈이 소산(疏散)하지 못하여 맺혀 있음]의 경폐(經閉, 월경이 있어야 할 시기에 월경이 없는 것), 통경(痛經, 월경통), 월경불순, 산후복통[惡露不盡, 오로부진(惡露不盡)이라고도 하며, 해산한 뒤 3주 이상 지나서 백대하까지도 없어야 할 시기에 피가 계속 나오는 병증], 질타손상(跌打損傷, 외상으로 인한 온갖 병증), 신허요통(腎虛腰痛, 신장의 기능이 허약해져서 나타나는 요통), 오랜 비요슬산통(痺腰膝酸痛, 허리와 무릎 부위가 시큰거리고 아픔), 핍력(乏力, 무기력함), 임증(淋證, 임병), 수종(水腫, 전신이 붓는 증상), 소변불리(小便不利, 소변배출이 원활하지 못함), 화열상염(火熱上炎, 화열의 병증이 상부에 나타나는 것), 음허화왕[陰虛火旺, 음정(陰精)이 부족해져서 허화(虛火)가 왕성해진 것], 두통, 현훈(眩暈, 현기증), 토혈(吐血, 피를 토하는 병증), 육혈(衄血, 코피가 나는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마진합병폐렴(麻疹合倂肺炎, 홍역에 의해 일어나는 소아의 급성 발진성 전염병), 고혈압, 사충병(絲蟲病)으로 인한 유미뇨(乳糜尿, 우유와 같이 뿌옇게 혼탁된 오줌)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쇠무릎은 약으로 사용된 역사가 오래되었고 임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기 때문에 함유성분과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도 비교적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쇠무릎의 사포닌에는 뚜렷한 항생육, 항종양, 항염진통 등의 작용이 있다. 쇠무릎 다당은 비교적 강한 면역력 증강과 항노화작용이 있다. 현재 쇠무릎은 다당면역조절제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쇠무릎의 스테론에 강혈당, 강혈지(降血脂), 간 보호 등의 작용이 알려져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쇠무릎 [牛膝, Twotoothed Achyranthes]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
|
♣ 형태분류 줄기: 여러해살이로 바로 서서 자라며, 단면 모서리가 둔한 사각형이다. 가지는 마주나기(對生)로 뻗고, 마디는 둥글게 부풀어 올라서 무릎이 튀어나온 것 같다. 잎: 마주나며(對生), 긴 타원형으로 양면에 누운 털이 약간 있다. 만져보면 얇은 느낌이 든다.(비교: 비름속 종류의 잎은 어긋난다.) 꽃: 7~9월에 잎겨드랑이(葉腋)에서 긴 이삭꽃차례(穗狀花序)에 녹색으로 피며, 짝꽃(兩性花)이다. 꽃차례 아랫부분에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순차적으로 핀다. 꽃이 피고 난 후에는 개개의 작은 꽃(小花)이 아래 방향으로 반곡(反曲)해서 줄기에 착 달라붙는다. 소포(小苞)의 아랫부분(基底)에 백색 반투명 부속체(附屬体)가 있다. 열매: 작은 벌레가 붙어 있는 형상으로 가시모양(刺狀) 과포 2개 때문에 옷 같은 데 잘 붙는다. 염색체수: 2n=24, 42 생태분류 서식처: 숲 가장자리, 산기슭 등산로 가장자리, 숲정이 등, 반음지~양지, 적습(適濕) 수평분포: 전국 분포(개마고원 이남) 수직분포: 산지대 이하 식생지리: 난온대~냉온대, 중국(일부 동부지역: 안후이성(安徽省), 후난성(河南省), 제지앙성(浙江省)), 대만, 일본(혼슈 이남), 히말라야 등 식생형: 임연식생(농촌 및 저산지 소매식물군락 또는 노방식물군락) 종보존등급: [V] 비감시대상종 쇠무릎은 우리나라 농촌지역에서 아주 흔하게 관찰되는 터주식물이다. 늦여름 산비탈이나 농촌 들녘에 응달진 길을 걷다보면 바짓가랑이에 달라붙는 것이 쇠무릎의 열매다. 마치 조그마한 벌레처럼 생겼다. 꽃대에 매달린 열매를 싸고 있는 껍질에 예리한 침이 있어 동물을 이용해 퍼져나간다. 그래서 사람이 이동하는 등산로나 야생동물의 이동통로를 따라 산다. 농촌이나 도시 근교 숲속에 쇠무릎이 흔하다면, 분명 고양이, 고라니, 멧돼지, 너구리와 같은 동물이 서식한다는 증거다. 속명 아치란테즈(Achyranthes)는 왕겨처럼 생긴 꽃이란 뜻의 희랍어에서 유래한다. 쇠무릎은 주로 종자로 번식하지만, 한 장소에 정착하면 뿌리로도 잘 번져가는 여러해살이다. 비름과(Amaranthaceae) 종 대부분이 식용이듯, 쇠무릎의 어린잎은 데쳐서 나물로 먹으며, 흰 뿌리는 말려서 한약재로 이용한다. 소의 무릎으로 번역되는 牛膝(우슬)은 쇠무릎 뿌리의 한약재 이름이다. 소 무릎처럼 튼튼한 무릎을 지탱하는데 도움이 되는 약재로 인식한 것에서, 또는 쇠무릎 줄기의 마디 모양이 마치 무릎처럼 생긴 데에서 유래하는 명칭으로 보인다. 그런 쇠무릎 줄기 마디 속은 곤충이 알을 낳아 애벌레를 키우는 곳이기도 하다. 일본명 이노꼬즈찌(猪子槌, 저자퇴)는 멧돼지 새끼(猪子)의 자그마한 망치 머리처럼 생긴 무릎(槌)이란 뜻으로, 한글명 쇠무릎, 한자명 니유시(牛膝, 우슬)와 서로 잇닿아 있다. 모두 소나 돼지의 무릎과 관련된 명칭인 것으로 보아, 적어도 가축과 농경문화에서 생겨난 이름일 것이다. 쇠무릎은 추위가 매서운 지역이나, 강수량이 적은 건조지역에서는 드물고, 국지적으로 늘 습윤한 입지에서만 산다. 우리나라 중부지방보다는 남부지방에서 더욱 흔하고, 북부지방으로 갈수록 희귀하다. 벼농사가 발달한 지역과 지리적으로 그 분포가 일치한다. 쇠무릎에 대한 한자 명칭은 牛膝(우슬) 이외에도 山莧草, 對節草, 百倍 등 여럿 있다. 한글명 쇠무릎의 최초 기재는 15세기 후반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에서 imagefont무룹, imagefont무룹플로 표기되어 있다. 쇼(牛)와 관형격 조사 ‘ㅣ’ 그리고 무룹(膝)의 합성어로, 약재 牛膝(우슬)과 잇닿아 있다. 쇠무릎의 지리적 분포범위를 고려할 때, 우리 이름이 한역(漢譯)되어 牛膝(우슬)이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쇠무릎은 사실상 한반도가 분포의 중심지이기 때문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은 imagefont무룹디기(쇠무릎지기)로 표기했고,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서는 백성들이 쓰는 향명으로 牛無樓邑(우무누읍), 즉 쇠(牛) 무루읍(無樓邑)로 표기했다. 19세기 『물명고(物名考)』에서 imagefont무릅, 『방약합편(方藥合編)』에서 imagefont무릅디기, 20세기에 쇠무릅지기, imagefont무릅, 쇠무릅등의 명칭으로 변화하면서 본래의 한글명이 그 명맥을 이어온 셈이다. 쇠무릎은 기록으로만 봐도 500살이 훌쩍 넘은 우리 식물이름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쇠무릎 [Japanese chaff-flower, イノコズチ, 少毛牛膝]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김종원) ~~~~~~~~~~~~~~~~~~~~~~~~~~~~~~~~~~~~~~~~~ ♣ 특징 네모진 줄기는 높이 50~100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마디가 소의 무릎처럼 굴게 튀어나와 쇠무릎이라 이름 지어졌다. 마주나는 잎은 타원형으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8~9월 원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연녹색의 꽃이 수상화서로 달린다. 흔히 밑에서부터 피며 양성화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수술 5개, 1개의 암술이 있다. 포과는 장타원형으로 꽃받침에 싸이고 암술대가 붙어 있다. 표면에 뾰족한 가시 같은 털이 있어 사람의 옷이나 동물의 털에 잘 붙는다. 한국 원산으로 산과 들의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효능 진통, 자궁수축, 이료, 진경, 혈압강하작용 등이 있다. 재배정보 1) 심는 방법 발아하여 땅 위로 올라 올 때까지 수분유지가 잘 되도록 볏짚을 덮어 준다. 파종량은 10a당 3~4ℓ 정도이며, 폭 150cm 정도의 두둑을 만든 후 25~30cm 간격으로 줄뿌림을 하며 주간 5cm로 솎아준다. 번식방법 종자번식 (1) 가꾸기 포인트 발아하고 출현하면 아주 밀식된 곳이 아니라면 솎아 주지 말고 그대로 배게 키운다. 포기 사이가 너무 넓으면 가지를 많이 치고 뿌리도 옆으로 뻗어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2) 기후 및 토양 (1) 기후조건 고랭지나 준고랭지에서는 겨울에 얼어 죽지만 중부이남지역에서는 월동한다. 따라서 중남부의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2) 토양조건 물빠짐이 좋으면서 습기가 비교적 잘 유지되는 사질양토나 양토가 좋다. 3) 관리하기 (1) 거름주기 비옥한 땅에서는 거름을 주지 않아도 되며, 10a당 퇴비 1,000kg 계분(닭똥) 80kg을 밑거름으로 준다. 웃거름으로 콩 전용복비를 10a당 20kg씩 6월과 8월에 준다. (2) 가지치기 순지르기는 7월 중순 경엽이 무성하고 꽃대가 올라올때 30cm 정도만 남기고 1차로 잘라준다. 8월 하순에는 40cm만 남기고 2차로 잘라주어 쓰러짐을 방지하고 뿌리의 발육을 돕는다. 순지르기는 맑은 날을 택하여 실시해야 상처부위로 병균의 침입이 적다. 3) 질병관리 ㆍ관련질병 - 갈색점무늬병, 탄저병, 흰가루병, 거세미, 진딧물, 응애, 파밤나방, 습해 [네이버 지식백과] 쇠무릎 [Achyranthes root]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신재성, 유난희, 신현탁, 네이버 포토갤러리) ~~~~~~~~~~~~~~~~~~~~~~~~~~~~~~~~~~~~~~~~~ ♣ 주요성상 및 특징 성분 : saponin, fatty oil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잎 : 대생(對生)하며 긴 타원형, 타원형 또는 도란(倒卵)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털이 약간 있고 길이 10∼20cm, 나비 4∼10cm로서 엽병(葉柄)이 있다. 줄기 :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높이 50∼100cm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마디가 튀어나와 소의 무릎같이 보이므로 쇠무릎이라고 한다. 꽃 : 8∼9월에 엽액(葉腋)과 원줄기 끝에서 수상화서(穗狀花序)가 자라며 꽃은 양성(兩性)이고 밑에서부터 피어 올라가며 꽃이 진 다음 밑으로 굽어서 화서축(花序軸)에 붙는다. 꽃 밑에 달린 3개의 소포 중에서 2개는 밑에 난상(卵狀)의 돌기가 2개씩 있다. 꽃받침편은 5개가 서로 다르고 바깥쪽의 것은 끝이 매우 뾰족하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밑이 합쳐지며 그 중앙에 1개씩 꽃밥이 없는 수술이 있다. 암술과 암술대가 각각 1개이다. 열매 : 9월부터 성숙되며 포과(胞果)는 긴 타원형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고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쉽게 떨어져서 사람의 옷자락 등에 잘 붙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쇠무릎 (생물자원정보 - 자생식물종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무독, 평平 다른이름 脚斯등(각사등), 對節菜(대절채), 百倍(백배), 山莧菜(산현채), 牛莖(우경), 懷牛膝(회우슬) 약맛 산(酸) 고(苦) 감(甘) 귀경 간(肝) 신(腎) 주치 口舌生瘡, 難産, 尿道澁痛, 頭痛眩暈, 鼻衄, 痺症, 産後瘀阻腹痛, 小便不利, 牙齦腫痛, 癰腫, 腰膝痠痛, 月經不調, 痿症, 咽痺, 跌打損傷, 癥瘕, 齒痛, 吐血, 痛經, 閉經, 胞衣不下, 血淋 약용부위 뿌리 금기 본품은 性이 滑하므로 遺精, 脾虛로 인한 泄瀉·姙娠婦·月經過多者의 경우에는 복용을 忌한다. 효능 利尿通淋(生用), 補肝腎强筋骨(熟用), 瀉火解毒(生用), 引血下行(生用), 活血祛瘀(生用)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본경(本經)>: 한습(寒濕)의 사기로 인하여 다리가 약해지고 저린 증상, 사지가 당기는 증상, 무릎이 아파서 굴신하지 못하는 증상에 혈기(血氣)를 잘 통하게 하고 화상(火傷)과 유산(流産)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 <별록(別錄)>: 내상(內傷)으로 인하여 기운이 없는 증상, 남성의 성기능 저하, 노인의 소변실금에 몸을 보하고 끊어진 조직을 연결하고 정력을 증강시키고 골수(骨髓)를 충만하게 하며 머리카락이 희게 변하는 것을 막고 두통과 요통 및 척추 통증을 치료하고 부인의 월경이 막히고 어혈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견권(甄權)>: 남성의 성기능 장애를 치료하며 신기(腎氣)를 보충하고 12경맥(經脈)을 돕고 어혈(瘀血)을 치료한다. <지대명(池大明)>: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고 추위를 많이 타는 증상을 치료하고 징가(癥瘕)를 제거하고 농을 배출시키며 통증을 멎게 한다. 산후에 복통과 어지러움증을 치료하고 사산된 태아를 배출시킨다. <왕호고(王好古)>: 근육을 강하게 하고 간이 허약한 것을 보충하여 風症을 없앤다. <구종석(寇宗奭)>: 종용(蓯蓉)과 함께 술에 담구었다가 복용하면 腎을 돕는다. 대나무 가시가 살에 파고들었을 때 으깨어서 태운 것으로 그곳을 덮어두면 가시가 금방 나온다. <이시진(李時珍)>: 오래된 학질로 인한 한열왕래(寒熱往來), 소변이 시원하지 않고 찔끔거리며 혈뇨를 보는 증상, 음경통증, 설사, 인후폐색, 구창(口瘡), 치통, 종기, 외상 등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우경(牛莖), 백배(百倍), 산현채(山莧菜), 대절채(對節菜)가 있다. 도홍경(陶弘景): 줄기에 마디가 있고 소의 무릎과 비슷하다. 그러므로 우슬이라고 하였다. 이시진(李時珍): <본경(本經)>에서는 또한 백배(百倍)라고 하였는데, 은어(隱語)로써 그 약재의 자양(滋養) 효과가 소가 힘이 센 것과 같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 잎은 비름과 비슷하고 마디가 서로 마주보고 자라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산현(山莧), 대절(對節)이라고 불렀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슬 [牛膝]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 |
||
♣ 정의 비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쇠무릎의 뿌리. 효능 및 기능 식물 줄기에 있는 마디의 형상이 소의 무릎과 유사하다고 하여 쇠무릎이라 호칭되기도 한다. 우슬은 쇠무릎의 뿌리에 해당하는 약재이다. 유효성분으로는 사포닌과 다량의 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진통작용을 나타내었다. 또 자궁의 수축을 증강시키며 약한 이뇨작용이 있고, 혈관을 확장시켜 일시적인 혈압강하작용을 나타내기도 한다. 약성은 평범하고 맛은 시고 쓰다. 효능은 부인의 생리를 정상으로 유도하고 이뇨와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형태가 무릎을 닮은 것과 같이 무릎의 질환(관절염·류머티스성관절염·타박으로 인한 염증)을 치료하는 데 현저한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또 허리와 다리가 무겁고 통증을 느끼며 때로 근육경련이 있을 때에 많이 활용된다. 신장의 결격으로 소변을 잘 못보면서 통증이 있고 피가 섞인 소변을 볼 때에도 쓴다. 고혈압에 두통·어지러움·안화(眼花) 등의 증상이 있을 때에 혈압을 하강시키면서 뇌혈관의 경련을 이완시켜 주기도 한다. 민간에서는 어린 싹을 나물로 먹고 뿌리는 신경통에 쓰기도 한다. 금기로는 설사·자궁출혈·임신부에게 쓰지 않는다. 한방에서 많이 쓰이고 있으며, 대표적인 처방은 관절염에 쓰이는 우슬탕(牛膝湯)과 혈압에 복용하는 평간강압탕(平肝降壓湯)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슬 [牛膝]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우슬[ 牛膝 ] 요약 우리나라에서는 비름과의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Nakai) 또는 우슬(Achyranthes bidentata Blume:牛膝)의 뿌리를 말하며, 일본에서는 우슬(Acyranthes bidentata Blume:牛膝)과 털쇠무릎(Achyranthes fauriei H. Lev. & Vaniot)을 쓴다. 중국은 우슬(Achyranthes bidentata Blume:牛膝)만을 인정하고 있다. 옛날 뼈나 근육에 대한 병과 간과 신장병에 걸린 환자를 잘 치료하는 의원이 있었는데 자신의 후계자로 삼을 진실한 제자를 찾기위해 시험을 해보기로 했다. 그는 빈털터리 행색으로 제자들의 집에 머무르며 그들의 태도를 지켜보기로 했다. 그 결과 가장 어린 제자만이 돈 없는 스승을 진실하게 대하였다. 이에 감복한 의원은 그에게 한 약초의 효능을 전해주며 "뼈와 근육은 물론이고 간장과 신장의 병을 치료하는 약이니 이 약으로 많은 사람을 구해주거라."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제자는 스승의 뜻대로 이 약초를 잘 써서 명의가 되었으며, 이 약초의 마디의 생김새가 마치 소의 무릎을 닮아 '우슬(牛膝)'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점액성이다. 맛은 약간 쓰고 시며 성질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평하다.[苦酸平] 우슬은 생것을 쓰면 어혈과 종기를 없애고, 찌면 간과 신을 보해 근육, 골격을 튼튼하게 한다. 어혈을 제거해줌으로 생리불순, 산후복통에 쓰며,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를 잘 통하게 하여 관절염에 쓰고, 음허화동으로 인한 입안과 혀의 발진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으로 자궁흥분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이뇨작용, 혈당강하작용, 간기능 개선작용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가늘고 긴 원주형의 원뿌리 또는 곁뿌리가 달린 원뿌리 형태이며 근두부는 약간의 근경이 붙어 있든가 또는 제거되어 있다. 원뿌리는 대개 막대모양이거나 또는 약간 구부러졌고 바깥면은 회황색 또는 황갈색이며 많은 세로주름과 드문드문 곁뿌리의 자국이 있다. 다른 이름으로 우경(牛莖), 백배(百倍), 산현채(山莧菜), 대절채(對節菜), 계교골(鷄膠骨)등이 있으며 특히 중국에서는 우슬을 하남성 회경(懷慶)산을 우량품으로 인정하여 회우슬(懷牛膝)이라고 부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슬 [牛膝]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우슬 학명 Achyranthes bidentata Blume 우슬(⽜膝)은 비름과(Amaranthaceae) 우슬속(genus Achyranthes)에 속한 우슬(Achyranthes bidentata Blume) 또는 쇠무릎(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뿌리이다. 이외에도 토우슬(Achyranthes aspera)도 약용으로 사용된다. 전통 및 현대적 사용 우슬과 토우슬은 인도와 중국에서 천 년 이상의 오랜 기간 사용되었으며, 우슬은 중국, 일본, 한국의 약전에 등재된 본초이다. 토우슬은 인도, 남한,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스리랑카, 필리핀, 케냐 등에서 사용된다. 토우슬은 인도에서 Prickly chaff flower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의 다양한 부위를 사용한다. 한의학(중의학)에서 우슬은 부인과 질환 치료에 사용되며, 홍화, 당귀와 종종 배합된다. 또한 외상 치료에는 유향, 속단, 몰약, 간신허(肝腎虛)에는 두충, 숙지황과 조합되곤 한다. 1970년대 중국에서는 출산 및 유산의 유도에 우슬을 사용하기도 했다 성분 1. 사포닌(Saponin) 2. 식물액디손(Phytoecdysones) 3. 다당류(Polysaccharide) 4. 기타 우슬에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triterpenoid saponin이 주요 성분이다. 또한 Phytoecdysones 성분 중 β-ecdysterone(β-蛻⽪甾酮, C27H44O7)을 우슬 질조절의 표준 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우슬 다당류의 면역 조절 효과가 보고된다. 약리작용 1. 면역 자극 2. 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1) 신경 재생 활성 2) 신경 세포사멸 억제 활성 3. 골 대사 1) 연골세포(chondrocyte)에 대한 작용 2) 조골세포(osteoblast)에 대한 작용 3) 파골세포(osteoclast)에 대한 작용 4. 항염증 / 항관절염 5. 생식계통에 대한 작용 6. 심혈관계통에 대한 작용 7. 항종양 활성 8. 기타 1. 면역 자극 식물의 다당류는 면역 조절의 효과를 보이곤 하는데, 우슬의 추출물 역시 면역계에 영향을 준다. 연구에 따르면 우슬의 다당류는 murine의 수지상세포의 표현형(CD86, CD40, MHC II의 표현증가) 및 기능성 성숙을 조절했다. 다른 연구에서도 우슬 다당류가 거대세포, T 림프구, 수지상세포, NK세포를 포함하는 다양한 면역세포 조절 작용을 보고했다. 2. 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2013년 Wang Y 등에 따르면, 우슬 다당류는 으깸(crush) 손상에서 말초신경 보호 작용을 나타냈다[5]. 이후 Cheng Q 등의 연구 역시 으깸 손상에 의한 신경손상에서, 우슬 물추출물에서 분리한 다당류가 신경 재생(Neuroregenerative) 및 기능 회복을 촉진했다고 보고했다[6]. 이후 이 연구진은 우슬 다당류의 분획을 다시 12분획으로 나누었으며, 이 중 ABPPk가 가장 중요한 분획임을 밝혔다[7]. 또한 우슬 다당류 ABPPk는 허혈-유도 신경손상을 억제했으며, NMDA-유도 세포사멸을 완화시켰다. 3. 골 대사(bone metabolism) / 항관절염 작용 / 항염증 작용 우슬 또는 쇠무릎은 전통적으로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 조절 및 기능이상 개선을 위해 사용했다. 또한 우슬은 연골세포, 조골세포, 파골세포의 기능에도 영향을 준다. Yu F 등의 2013년 연구에 따르면 연골세포에 우슬 다당류 처치 시, 세포의 G1/S 세포주기의 조절을 통해 용량, 시간 의존적으로 증식을 강화했다(in vitro, Sprague-Dawley rats의 연골세포). 이후 Weng X 등의 2014년 연구에서도 우슬 다당류는 연골세포의 증식을 촉진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Wnt/β-catenin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을 포함했다(in vitro, Sprague-Dawley rats의 무릎 연골세포). 몇몇 연구에 의하면, 우슬 다당류가 ERK 신호전달경로의 활성을 통해 골수 Stromal cells을 골아세포로 증식, 분화로 촉진할 것을 추측하고 있다. 또한 우슬은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한다. 4. 생식계통에 대한 작용 우슬속의 식물은 낙태 또는 착상 억제의 피임 기능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이는 한약재로 사용되는 우슬, 쇠무릎보다 '토우슬'의 연구로 주로 보고된다. 토우슬은 인도의 풍부한 자생본초로, 전통적으로 낙태약으로 사용되었다. 1977년 연구에 따르면, 토우슬 추출물은 mice에서 낙태 효과를 나타냈으나 rats에서는 무효였다. 때문에 저자는 토우슬이 종특이적 낙태 효과를 보인다고 결론지었다. 이후 2006년 Vasudeva N 등은 토우슬 에탄올 추출물을 albino rats에 경구 처치 시 항착상 및 낙태 활성을 보인다고 보고했다. 또한 토우슬은 in vitro에서 정자의 운동성을 감소시키는 작용 등을 나타냈다. 토우슬뿐 아니라 우슬 역시 착상 억제 등의 작용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최근 우슬(A. bidentata) 성분 관련 연구도 보고되었다. 5. 기타 우슬의 심장보호 효과, 항종양 활성, 항바이러스 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사용상 주의 우슬속의 식물은 전통적으로 착상 억제 및 낙태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실제 몇몇 약리연구가 이를 지지하고 있다. 때문에 임산부에 대한 사용을 금기로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슬 (한의사 공병희의 현대적 본초 읽기, 공병희) ~~~~~~~~~~~~~~~~~~~~~~~~~~~~~~~~~~~~~~~~~ ♣ 우슬[ 牛膝 ] 농촌에 길가나 밭둑 그리고 후미진 곳에서 흔하게 만나는 잡초 중의 잡초인 ‘우슬’을 우리말로는 ‘쇠무릎’이라고 부른다. 흡사 줄기의 마디가 불룩 튀어나와서 부른 이름일 것이다. 한자 우슬(牛膝)도 역시 소의 무릎과 같이 튀어나와서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 이토록 흔한 이름이므로 이것이 무릎에 좋다는 우슬이라고 하면 다들 신비감이 없어지고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기원 우슬은 비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Achyranthes japonica의 뿌리를 사용한다. 그러나 중국이나 아열대 지방에서는 Achyranthes bidentata 회우슬(懷牛膝)을 사용하고 있다. 이 약을 약용하기 시작한 것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유래가 되므로 임상적으로는 2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약성 쓰고, 약간 시다. 귀경 간경과 신경에 들어간다. 성분 oleanolic acid, α-L-rhamnopyranosyl-β-D-galactopyranoside 다당체로, 항암 활성 성분과 면역을 증진하는 glucronic acid, galactose, ecdysterone, inokosterone, rubrosterone, argin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진통 2. 항염 3. 심장근육에 일정한 억제 작용 4. 혈관 확장 작용으로 인한 혈압 강하 5. 위장관의 궤양 억제 6. 담즙의 분비촉진으로 간 기능 회복 7. 자궁 흥분 8. 회우슬(懷牛膝)은 항생육 작용이 있으므로 임신부에게는 금기한다. 9. 혈당 강하 10. 콜레스테롤 억제 작용으로 동맥죽상경화증에 유효하다. 11. ecdysterone 성분은 흰쥐에게서 체중, 내장기관, 골격의 근육 중량 증가, 단백질 총량과 간에서 당원과 근육 당원 함량을 증가시켰다. 12. 면역 증가 13. 항노화 14. 기억세포의 보호 작용 15. 이뇨 효능 간신(肝腎) 기능 보호 작용으로 근육과 골격을 강건하게 하고, 혈액순환 개선, 여성 생리 기능 활성화, 이뇨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저리면서 아픈 증상을 해소하고, 하체가 약하고 잘 걷지 못하는 증상, 생리통, 산후 전신에 어혈이 정체되어 일어나는 통증, 타박 어혈에 적용된다. 임상응용 1. 요통이 있고 굴신을 잘 못 하며 하지에 힘이 점점 빠져 통증이 지속적해서 나타나는 증상에 효력이 높다. 이때에는 우슬(牛膝), 두충(杜冲), 오가피(五加皮), 속단(續斷), 구척(狗脊) 각 15g을 전탕하여 1일 2회 공복에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간신(肝腎)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증상이 완화된다. MRI, CT상에서 척추 추간판 탈출증, 협착증, 연골파열 등에 수술 없이 스스로 치유케 한다. 2. 무릎관절염에 환부가 붓고 충혈되어 있으면서 굴신을 못 하고 보행장애, 통증을 나타내면 우슬(牛膝) 20g, 목과(木瓜), 백굴채(白屈菜) 15g, 두충(杜冲) 12g을 전탕하여 복용하면 소염, 이뇨, 해열, 항균작용으로 증상이 호전된다. 만약 환부의 부종이 너무 심하여 1개월에 1회씩 물을 주사기로 뽑을 경우 우슬(牛膝), 금은화(金銀花), 황기(黃芪) 20g으로 염증을 치료하면 1개월 안에 즉시 효력을 발생하게 된다. 3. 뇌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은행잎(白果葉), 우슬(牛膝) 8g, 원지(遠志), 석창포(石菖蒲), 당귀(當歸) 각 6g, 인삼(人蔘), 오미자(五味子), 산수유(山茱萸) 각 4g을 전탕하여 복용하거나 혹 녹용(鹿茸) 1회 4g을 같이 복용한다. 기억력 상승작용, 건망 해소 작용, 치매 예방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4. 우슬(牛膝), 산수유(山茱萸) 8g, 두충(杜冲), 산약(山藥) 15g, 돈태반(豚胎盤), 녹용(鹿茸)이나 녹각(鹿角), 숙지황(熟地黃) 4g을 전탕 복용하면 성장호르몬 분비가 촉진되어 발육과 성장에 유효하다. 5. 여성의 생리통, 생리불순, 월경 폐색에 우슬(牛膝) 15g, 당귀(當歸), 천궁(川芎), 작약(芍藥) 각 12g, 계지(桂枝) 4g, 도인(桃仁), 홍화(紅花) 각 3g을 복용한다. 6. 소변불리, 뇨혈, 전립선염으로 소변을 잘 못 보면 우슬(牛膝) 12g, 석위(石葦), 해금사(海金沙), 목통(木桶) 각 15g을 1일 2회 공복에 복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슬 [⽜膝] (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 안덕균) ~~~~~~~~~~~~~~~~~~~~~~~~~~~~~~~~~~~~~~~~~ |
||
♣ 우슬 쇠무릎[ 牛膝 ] 노인이 오줌을 지리는 것을 치료한다. ○ 오줌이 껄끄럽고 음경 속이 아파 죽을 것 같을 때 술로 달여 빈속에 먹는다(『본초』). ○ 우슬고는 죽은 피[死血]로 임병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 데 가장 좋다. 우슬 한 냥을 썰어 물 다섯 잔을 넣고 한 잔이 되게 달여, 사향을 조금 넣고 빈속에 먹는다. 우슬은 임병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약이다(『금궤구현』). [네이버 지식백과] 우슬 [牛膝] - 쇠무릎 (동의보감 제1권 : 내경편, 2002. 8. 19., 허준, 동의과학연구소) ~~~~~~~~~~~~~~~~~~~~~~~~~~~~~~~~~~~~~~~~~ 다리와 무릎이 아프며 마르고 약해져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을 다스린다. 달여 먹거나 알약으로 먹거나 술에 담갔다가 먹어도 좋다. 허리와 허벅다리의 병에 반드시 쓰는 약이다(『증류본초』). 허리뼈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우슬 달인 즙을 마시거나 술을 담가 먹어도 좋다. 또 어린잎을 따서 쌀과 장을 넣고 죽을 쑤어 빈속에 먹기도 한다(『증류본초』). 음경이 시든 것을 주치한다. 달여 먹거나 술을 담가 먹는다. ○ 부인의 음문이 아픈 데에는 우슬 두 냥을 술에 달여 먹는다(『증류본초』). 골수를 채운다. 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거나 술을 담가 먹어도 좋다(『증류본초』). 머리카락이 세는 것을 멈추게 한다. 달여 먹거나 술을 담가 먹어도 좋다(『증류본초』). 십이경맥을 돕는다. 달여서 먹는데, 술을 담가 먹으면 더욱 좋다(『증류본초』). [네이버 지식백과] 우슬 [牛膝] - 쇠무릎 (동의보감 제2권 : 외형편, 2008. 3. 10., 허준, 동의과학연구소) |
||
(종류 및 유사종) ▶쇠무릎(Achyranthes bidentata Blume var. japonica Miq.): 마디가 두드러져서 소의 무릎같이 보인다하여 쇠무릎이라고 한다. ▶털쇠무릎(Achyranthes bidentata Blume): 쇠무릎에비해 뿌리가 비후하다. 털이 많고 꽃이 많이 달리며,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점이 다르다고 알려졌다. 그러나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LIST
'건강에 도움 되는 약초 > 관절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로쇠나무(지금축 地錦槭) 효능 (1) | 2023.03.09 |
---|---|
신나무(다조축 茶條槭) 효능 (1) | 2023.03.07 |
음나무 (해동피 海胴皮) 효능 (2) | 2023.02.15 |
음나무 (해동피 海胴皮) 효능 (0) | 2022.01.19 |
나무딸기(적매근) 효능 (0) |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