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속단(續斷)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꿀풀과 (Lamiaceae) 속단속(Phlomis) 여러해살이풀 학명(Phlomis umbrosa Turcz.) 영문명(Shady jerusalem sage) |
|
별명(이명) | 용두(龍豆) · 속절(屬折) · 접골(接骨) |
|
한약명/생약명 | 조소(糙蘇)/토속단(土續斷), 산소자(山蘇子) |
|
분포지 | 전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산의 양지쪽 풀밭에 난다., 원산지(한국) |
|
꽃피는 시기 | 7월(붉은빛, 윤산화서) | |
수확기(결실기) | 월(수과,광란형) | |
용도 | 약용(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없다.),식용(어린순) | |
약용 | (효능) 해열,淸熱(청열), 消腫(소종),보간신(補肝腎), 활혈(活血). 안태(安胎), 속근골(續筋骨),두통 (적용질환) 금창(金瘡),瘡癰腫毒(창옹종독),감기, 중풍, 부인병(자궁질환), 외상출혈, 종기, 여성의 보정(補精),요통, 하지동통(下肢疼痛),관절염,류머티즘,허리디스크,타박상 |
|
사용부위 | 뿌리,전초 |
|
채취 및 조제 | 봄,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진흙을 털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
|
성분 | 알칼로이드·정유·비타민E 등 flavonoid류, amino acid, steroid, 당류 |
|
약효 및 용법 | ♣ 생지황과 같이 쓰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고 이질에도 쓰지 않는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속단환이 있다. 뇌환(雷丸)과는 배합 금기이다. |
|
출처 | ||
해설 | ♣ 속단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본래는 산토끼꽃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인데, 현재 산토끼꽃이 귀하여 꿀풀과에 속하는 속단을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속단이라는 명칭은 골절을 잘 치료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1 m 정도이고 전체에 잔털이 있으며 뿌리에 방추상으로 굵은 덩이뿌리가 5개 내외 달린다. 잎은 마주달리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모양의 달걀모양이다. 또한 잎가장자리에는 규칙적이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잔털이 있다. 꽃은 7월에 피고 붉은빛이 돌며 잎겨드랑이에서 자란 가지에 층층으로 달려 전체가 커다란 원추꽃차례[圓錐花序]로 된다.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갈래조각은 털 같은 돌기로 된다. 화관은 입술모양으로서, 상순(上脣)은 모자처럼 생기고 겉에 우단 같은 털이 밀생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암술대는 두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 넓은 달걀모양이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굵은 뿌리는 금창(金瘡)과 부인병에 사용한다. 한국·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續斷]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분포 한국, 만주, 중국 특징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심장상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고 큰 것은 길이 13cm, 나비 10cm 또는 그 이상되는 것도 있으나 위로 갈면서 작아지며 뒷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하고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꽃 꽃은 7월에 피며 붉은빛이 돌고 윤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마주나기하여 전체가 큰 원뿔모양꽃차례로 되며 각 소화서는 잎겨드랑이에서 마주나기하고 다시 분지 위에서 꽃자루가 마주나기하여 각각 4-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통형이며 길이 8mm 정도고 열편은 털 같은 돌기로 되며 잔털이 약간 있고 꽃부리는 순형이며 길이 1.8cm 정도고 상순은 모자형으로서 겉에 우단같은 털이 밀생하며 하순은 3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겉에 털이 있다. 작은포는 길이 7-10mm로서 선형이며 짧은 털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고 암술대는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수과로서 광란형으로 꽃받침으로 싸여 익는다. 줄기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며 전체에 잔털이 있다. 뿌리 뿌리에 비대한 덩이뿌리가 4-5개 정도 달린다. 뿌리를 속단(續斷)이라 한다. 생육환경 산지에 난다. 번식방법 분근(分根), 종자(種子) 번식에 의한다. 이용방안 • 어린 순은 식용 • 보간신(補肝腎), 활혈(活血). 안태(安胎), 속근골(續筋骨), 요통, 하지동통(下肢疼痛)에 약효로 쓰인다. • 속단/산속단의 根(근) 또는 全草(전초)를 土續斷(토속단)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 봄,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서 진흙을 털어내고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Flavonoid 배당체, 아미노산, steroid, 精油(정유) 및 tannin 등을 포함하며 종자는 油分(유분) 20-34%를 함유한다. Iridoid umbr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淸熱(청열),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瘡癰腫毒(창옹종독)을 치료한다. 유사종 • 산속단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뿌리줄기를 약으로 쓰면 뼈가 끊어졌을 때 이어 준다고 끊을 속, 이을 단을 써서 속단이다. 숲 속 나무 그늘에서 잘 자라는데, 나물 할 무렵에 보면 잎이 큰 편이다. 자랄수록 위쪽 잎이 작아진다. 꽃에는 보드라운 털이 많다. 부드러운 잎과 어린순을 데쳐서 쌈이나 무쳐 먹고, 장아찌를 담기도 한다. - 나물 할 때 : 봄 - 나물 하는 방법 : 부드러운 잎과 어린순을 뜯는다. - 추천 음식 : 데쳐서 쌈이나 무침, 장아찌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010. 3. 1., 이영득) ~~~~~~~~~~~~~~~~~~~~~~~~~~~~~~~~~~~~~~~~~ ♣ 1. 특징 산의 풀밭에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온몸에 작고 부드러운 털이 산재해 있다. 모가 진 줄기는 곧게 서서 1m 안팎의 높이로 자라며 약간의 가지를 친다. 마디마다 2장의 잎이 마주 자리하며 심장 모양으로 생겼다. 잎의 밑동은 둥글고 끝은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거친 생김새의 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잎의 앞뒷면은 약간 깔깔하다. 줄기와 가지 끝에 층이 진 상태로 꽃이 뭉쳐 핀다. 대롱처럼 생긴 꽃은 끝 부분이 입술 모양으로 갈라진다. 윗입술은 곧게 서고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져 있다. 꽃의 바깥 면에는 짤막한 털이 빽빽하게 자라 있다. 꽃의 길이는 8mm 안팎이고 빛깔은 분홍빛을 띤 흰색이다. 2. 분포 전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산의 양지쪽 풀밭에 난다. 3. 약용법 생약명 토속단(土續斷). 산소자(山蘇子)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뿌리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가을에 뿌리를 굴취하여 햇볕이나 밝은 그늘에서 잘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성분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별로 밝혀진 것이 없다. 약효 해열과 소종 등의 효능이 있다. 적용질환은 감기, 중풍, 자궁질환, 외상출혈, 종기 등이다. 그밖에 여성의 보정(補精)에도 효과가 있다. 용법 말린 뿌리를 1회에 2~6g씩 200cc의 물로 뭉근하게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서 복용한다. 외상출혈이나 종기의 치료에는 말린 뿌리를 가루로 빻아 환부에 뿌리거나 가루로 빻은 것을 기름에 개어서 바른다. 4. 식용법 어린잎을 나물로 무쳐 먹는다. 약간 떫은맛이 있으므로 살짝 데친 뒤 찬물에 담가 우려낸 다음 조리를 한다. 나물무침과 함께 국을 끓여 푸짐하게 곁들여서 산내음 넘치는 식단을 만들어도 좋다.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 ♣ 정의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학명은 Phlomis umbrosa TURCZ.이다. 한약재의 하나로 본래는 산토끼꽃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인데, 현재 산토끼꽃이 귀하여 꿀풀과에 속하는 속단을 대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속단이라는 명칭은 골절을 잘 치료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성분은 알칼로이드·정유·비타민E 등이다. 약성은 온화하고 맛이 쓰다.간이나 신장의 기능 허약으로 인한 요통과 다리의 골격과 근육운동이 원활하지 못한 데에 효능이 있다. 관절염이나 류머티즘 계통에도 효능이 있으며 허리의 디스크와 타박상에도 많이 쓰인다. 부인에게 있어서는 임신 중에 복용하면 유산을 방지할 수 있고, 월경이 과다하게 있거나 자궁출혈이 심할 때에도 출혈을 그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노인에게는 하체에 힘이 없어 보행장애가 있거나, 굴신을 잘 못하여 저리고 아픈 데에 많이 쓰인다. 생지황과 같이 쓰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고 이질에도 쓰지 않는다.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속단환이 있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續斷]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생육특성 속단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습기가 많은 반그늘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1m 정도이고, 잎은 길이가 약 13㎝, 폭이 약 10㎝ 정도이고 뒷면에 잔털이 있다. 또한 잎 가장자리에 둔한 규칙적인 톱니가 있으면서 달걀 모양이며 마주난다. 꽃은 붉은색 빛이 돌고 원줄기 윗부분에서 마주나고 입술 모양으로 피는데 길이는 1.8㎝ 정도이다. 꽃의 윗입술 부분은 모자 모양으로 겉에 우단과 같은 털이 빽빽하게 있고 아랫입술 부분은 3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겉에 털이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9~10월경에 꽃받침에 싸여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10월에 얻은 종자를 바로 뿌리거나 종이에 싸서 냉장보관 후 이듬해 봄에 뿌리고, 이른 봄이나 가을에 포기나누기를 한다. 관리법 : 반그늘이 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화단에 심는다. 자생지에서는 주로 주변습도가 높기 때문에 이전 환경 조건을 만들어 주는 것도 좋다. 꽃 모양은 윗부분에 솜털이 많이 나 있어 마치 털모자를 쓴 모양이라서 어린아이들에게 설명할 때 좋은 소재거리가 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야생화도감(여름), 2010. 6. 28., 정연옥, 박노복, 곽준수, 정숙진) ~~~~~~~~~~~~~~~~~~~~~~~~~~~~~~~~~~~~~~~~~ ♣ 속단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초. 줄기는 직사각형이고 높이는 1m 가량임. 잎은 대생하는데 잎꼭지가 길고 삼각형 또는 달걀꼴임. 한국 각지에 분포함. 학명은 Phlomis umbrosa 외국어 표기 Shady Jerusalem sage(영어), 續斷(한자), おおばきせわた(일본어) 속단 한국전통지식포탈 Dipsacus asper, Dipsacus japonicus, Phlomis umbrosa, Lamium album(산토끼꽃)의 뿌리로, 간신(肝腎)을 보양(補養)하고 근골(筋骨)을 이어주며 혈액(血液)의 순환을 조절하는 효능을 가진 약재임 외국어 표기 續斷(한자)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 ♣ 딴 이름은 용두(龍豆) · 속절(屬折) · 접골(接骨)이다. 꿀풀과 식물인 속단 Phlomis maximowiczii Rgl.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기슭과 산허리에서 자란다. 봄이나 가을에 뿌리를 캐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간경(肝經) · 신경(腎經)에 작용한다.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출혈을 멎게 하며 새살이 돋아나게 한다. 또한 통증을 멈추게 하고 태아를 안정시킨다. 신허(腎虛)로 인한 요통, 허리와 다리에 맥이 없는데, 자궁 출혈, 비증(痹證), 태동불안(胎動不安), 대하증, 타박상, 골절, 상처 등에 쓴다. 하루 4~12g을 탕약으로 먹는다. 뇌환(雷丸)과는 배합 금기이다.[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續斷]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 생물학적특징 다년생 초본, 높이 1m 잎은 대생, 심장상 난형, 길이 13㎝, 폭 10㎝, 첨두, 심장저 또는 원저, 둔거치연 꽃은 7월 개화, 원추화서 꽃받침은 통형, 화관은 순형, 우단털이 밀생 열매는 분과 용도 식용-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약용-(뿌리, 지상부) 발열, 두통 등에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생물자원정보 - 민속특산식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꿀풀과(Labiatae)의 여러해살이풀(Phlomis umbrosa).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열매는 넓은 달걀 모양의 수과를 맺는다. 어린잎은 먹으며 뿌리와 줄기는 지혈제로 쓴다. 주로 산지에 서식한다. 한국이 원산지로 한국, 만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Shady Jerusalemsage] (식품과학사전) ~~~~~~~~~~~~~~~~~~~~~~~~~~~~~~~~~~~~~~~~~ |
||
♣ 출전 동의보감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없다.경맥을 잘 통하게 하고 힘줄과 뼈를 이어주며 기를 도와주고 혈맥을 고르게 하며 해산 후의 모든 병에 쓴다. 아픈 것을 잘 멎게 하고 살이 살아나오게 하며 힘줄과 뼈를 이어주므로 속단이라고 한다. 붕루, 대하, 피오줌을 누는 것들에 매우 좋다. [네이버 지식백과] 속단 [續斷] (한약재감별도감 - 외부형태, 2014. 2. 28., 김창민, 이영종, 김인락, 신전휘, 김양일) ~~~~~~~~~~~~~~~~~~~~~~~~~~~~~~~~~~~~~~~~~ |
||
(종류 및 유사종) ▶산속단(Phlomis koraiensis Nakai): 평안도와 함경도의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한국 특산종 ▶속단(Phlomis umbrosa Turcz.): ▶속단아재비(Paraphlomis koreana S.C.Ko & G.Y.Chung): 원산지 한국, 전라남도(보길도) ▶큰속단(Phlomis maximowiczii Regel): 큰속단은 속단에 비하여 잎이 넓고 성모가 없으며 퍼진 털만 있다. ▶흰속단(Phlomis umbrosa f. albiflora Y.N.Lee): 속단에 비해 흰꽃이 핀다. |
||
LIST
'산야초·독초 자료 > ★산야초 참고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맞이(후롱초 喉嚨草) 효능 (0) | 2025.02.19 |
---|---|
일엽초(와위 瓦韋) 효능 (4) | 2025.02.14 |
솔체꽃 (1) | 2025.02.12 |
산토끼꽃(속단 續斷) 효능 (4) | 2025.02.12 |
순비기나무(만형자 蔓荊子) 효능 (1)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