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도움 되는 약초/소화불량

생열귀나무(자매과 刺苺果) 효능

by 고산마루(다올) 2022. 3. 15.
SMALL

생열귀나무(자매과 刺苺果)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장미과 장미속 낙엽활엽관목
(Rosa davurica Pall.)
 
별명(이명) 달오리장미, 산자매, 야자매화, 생열귀,붉은인가목, 홍탁엽장미, 심산장미,해당화, 범의찔레, 가마귀밥나무, 까마귀밥나무, 좀붉은인가목, 뱀찔네, 뱀의찔레, 생열귀장, 생열귀장미, 가시열매
 
한약명/생약명 자매과(刺苺果)

분포지 중부 이북 산지 숲 속이나 골짜기  
꽃피는 시기 5~6월(주황색,자주색)  
수확기(결실기) 8~9월(붉은색, 폐과(닫긴열매))  
용도 관상용, 약용(열매, 뿌리줄기), 황색염료재(뿌리껍질), (성미:산(酸),고(苦),온(溫))  
약용 소화불량,복통설사,건비,생리불순·임질,비타민결핍증,간염,담낭염,방광염,위장장애(위통),진통제,동맥경화  
사용부위 열매,뿌리줄기

 
채취 및 조제 실이 익었을 때 따서 곧 햇볕에 말려서 건조한 다음에 꽃받침조각을 제거한다. 또는 신선한 과실을 둘로 쪼개서 果核(과핵)을 빼내고 건조한다.

성분 열매에는 아스코르빈산이 많은데 익을수록 함량이 높다. 이 밖에 비타민 B2 · K · P 활성 물질 등이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당, 유기산도 들어 있다.


약효 및 용법
생열귀술
   생열귀나무의 열매를 이용하여 담근 약용주.
가양주로 분류된다. 생열귀나무의 열매는 노화방지 및 성인병 예방에 효능이 있으며, 레몬보다 20배 이상의 비타민 C가 있다. 생열귀나무는 신목(新木)이라하여 집안의 우환이 생기거나 관재구설 등이 있을 때 대문 위에 걸어두었다. 민간신앙에서 술을 담글 때 생열귀나무 가지를 가시째 썰어 섣달 마지막 해일(亥日)에 막걸리에 담가두고 정월 입춘날에 삼재 드는 사람과 사주상 관재구설이 있는 사람에게 생열귀술을 한 잔씩 먹이고 집 밖과 지붕 등에 뿌리면 삼재팔란과 관재구설이 소멸된다고 하여 강원도 산간마을에서는 지금도 이행한다고 한다.

생열귀술의 재료는 생열귀열매 600g, 소주 1.8ℓ이다. 생열귀나무의 열매를 가을에 빨갛게 익으면 채집하여 물에 씻어 소쿠리에 건져 물기를 제거한다. 생열귀열매를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 2~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는다. 밀봉하여 3~4개월 동안 냉암소 또는 지하실에 보관한 후 개봉하여 건더기를 건져내고 천으로 거른 후 6개월 이상 숙성시킨 후 음용한다.

생열귀술1일 2회(아침과 저녁 식사 후) 매회 20~30㎖ 씩 음용한다. 위통이나 위장병에 효능이 있으며, 소화촉진제 역할도 한다. 또한 뿌리로 담근 술은 당뇨병·소갈·이뇨제 역할을 하며, 특히 소변불리·방광염에도 효능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열귀술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SNUAC))

 
     
출처
 
해설 생열귀나무
 산지 숲 속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높이는 1∼1.5m이고, 줄기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5∼9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고 양끝이 뾰족하며 길이가 1∼3cm이다. 잎 표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주맥을 따라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잎자루 밑 부분에 턱잎이 변한 한 쌍의 가시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가지 끝에 1∼3개씩 달린다. 꽃은 장미빛이고 지름이 4∼5cm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바소꼴이며 길이가 2cm이고 선점이 있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오므라진다.

열매는 수과이고 둥글며 꽃받침조각이 남아 있고 6월에 붉은 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 열매를 약재로 쓰는데, 소화불량·복통설사·생리불순·임질에 효과가 있다. 한국·일본·사할린·중국 동북부·시베리아 동부·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생열귀(for. alba), 열매가 타원 모양인 것을 긴생열귀(var. ellipsoidea), 잎 뒷면에 선점이 거의 없는 것을 민생열귀(R. silenidiflora)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열귀나무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SNUAC))
~~~~~~~~~~~~~~~~~~~~~~~~~~~~~~~~~~~~~~~~~

♣ 낙엽(落葉) 활엽(闊葉) 관목(灌木), 높이 1.5~2m이다. 줄기는 곧추 선다. 가지에는 털이 없으며 적갈색 또는 자갈색이다. 줄기 밑부분에는 가시가 배게 나 있다. 엽병(葉柄) 밑부위에는 한쌍의 마주 난 가시가 있다. 탁엽(托葉)은 엽병에 익상(翼狀)으로 절반쯤까지 붙어 있는데 변두리는 매끈하다. 잎은 호생(互生)하며 5~9개의 소엽(小葉)으로 된 기수우상복엽(奇數羽狀複葉)이다. 소엽(小葉)은 원변종에 비하여 작고 장타원형(長楕圓形, 길이 1.5~3cm, 너비 7~15mm)인데 밑부분은 둔하게 좁아졌으며 끝부분은 뾰족하거나 무딘모양이고 변두리는 거치상(鋸齒狀)이다. 잎 앞면은 심녹색인데 털은 없으나 뒷면은 담녹색인데 주맥(主脈)에 누운 털이 있다.

꽃은 6월경 가지 끝에 보통 한 개씩 피는데 분홍색 양성화(兩性花, 가로나비 3~4cm)이다. 화경(花梗)에는 털 또는 선모(腺毛)가 없다. 꽃받침은 적색을 띠는데 길게 자라며 안쪽면과 변두리에 흰 잔털이 배게 있으나 표면에는 털이 없다. 꽃잎은 넓은 도란형(倒卵形)이거나 또는 도심장형(倒心臟形)인데 끝부분은 좀 오므라졌다. 수술은 많다. 암술은 수술보다 짧다.

열매는 폐과(閉果)인데 둥글고(가로나비 1~1.5cm) 10월경에 붉게 익는다. 열매에는 비타민C 5~6.2%, 비타민P 활성물질, 비타민B · K · E, 카로티노이드가 들어 있다. 잎과 뿌리에는 타닌질,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잎과 열매가루는 천연종합비타민약재로서 비타민결핍증과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데 쓴다. 또한 이담제, 간기능보호약으로 간염, 담낭염에 쓴다. 그러나 혈전성 정맥염을 비롯한 혈전성 질병에는 쓰지 않는다. 민간에서 뿌리 달인물은 방광염, 위장장애에 쓰며 꽃잎 달인물은 진통제로도 쓴다. 나무는 관상용으로 쓸 수 있다. 씨 또는 삽목(揷木), 가지누름, 분주(分株) 등으로 번식시킨다.

함경북도 길주군 등 지역의 해발 1500m 이하의 산기슭 또는 높은 산지대의 나무숲 속에서 자란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열귀나무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

분포
한반도(함경도부터 강원도까지 백두대간), 중국, 극동러시아


특징

잎은 어긋나기하며, 홀수 깃모양겹잎이다. 소엽은 5-9개로,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는 1-3cm 정도로, 뒷면에 작은 선점 밀생하고, 엽축 및 턱잎에 샘털이 있다.


양성꽃으로, 5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새가지에 달리며 꽃받침열편은 길이가 2cm이고, 겉에 선점이 있고, 꽃잎은 넓은 거꿀달걀형으로, 끝이 오므라지고 분홍색이다. 꽃대에는 샘털이 있다.

열매
열매는 구형이고, 부채모양 꽃받침이 달려있으며, 황홍색으로, 6월에 성숙한다.

줄기
원줄기는 적갈색이며, 털이 없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턱잎 밑에 가시가 있다.

생육환경
• 산록이나 계곡의 암석지에서 자란다.
• 추위에 강하고 양지와 음지, 바닷가 또는 도심지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며, 습기가 있는 비옥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

번식방법
분근, 실생, 삽목에 의한다. 과육을 제거한 종자를 가을에 직파하거나 노천매장하였다가 봄에 파종하며, 1년생 가지로 꺾꽂이하면 발아율이 높다.

이용방안
• 관상용, 밀원, 향료, 열매는 식용하기도 한다.
• 과실은 자매과, 根(근)은 자매과근, 花(화)는 자매화라 하며 약용한다.

(1) 자매과
① 과실이 익었을 때 따서 곧 햇볕에 말려서 건조한 다음에 꽃받침조각을 제거한다. 또는 신선한 과실을 둘로 쪼개서 果核(과핵)을 빼내고 건조한다.
② 약효: 소화촉진, 健脾(건비), 理氣(이기), 養血(양혈), 調經(조경)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氣滯腹瀉(기체복사), 胃痛(위통), 월경불순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6-9g을 달여서 복용한다.

(2) 자매과근
① 약효: 월경폐지를 치료한다. 자매과근 18g을 달인 물에 계란을 넣어 복용한다. 세균성이질의 치료와 예방에 자매과근 600g에 물 4ℓ를 붓고 1ℓ가 되도록 달여서 1일 2-3회 1회 50-100ml씩 복용하면 4-6일에 치료되고 복용 후 3-5일에 세균성이질의 발생과 유행을 억제할 수 있다.

(3) 자매화-월경과다에 생열귀나무의 꽃 3-6개를 달여서 복용한다.

유사종
• 흰생열귀 : 꽃이 흰색이며 북한에 나는데 드물다.
• 긴생열귀 : 타원형의 열매가 달리며 북부지역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 민생열귀 : 잎의 뒷면에 선점이 거의 없다.
• 왕가시나무, 개해당화, 흑산가시나무, 용가시나무, 털용가시나무, 축자가시나무, 찔레나무, 털가시나무, 해당화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생열귀나무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 장미과 식물인 산자매(山刺玫) Rosa davurica Pall.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산자매(생열귀나무 · 까마귀밥나무)는 강원도 이북의 비교적 높은 산지대의 골짜기와 개울가에서 자란다. 가을에 열매가 빨갛게 익은 다음 따서 햇볕에 말리거나 열매의 꽃받침을 떼버리고 절반 쪼개어 씨를 긁은 후 말린다. 열매에는 아스코르빈산이 많은데 익을수록 함량이 높다. 이 밖에 비타민 B2 · K · P 활성 물질 등이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당, 유기산도 들어 있다.

아스코르빈산은 적은 양에서 조혈을 촉진하며 백혈구의 탐식 기능을 높이고 동맥경화를 억제한다. 플라보노이드는 이담(利膽) 작용을 나타낸다. 자매과는 주로 천연 종합 비타민약으로 비타민 결핍증,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쓰며 간보호약으로도 쓴다. 민간에서는 소아 식체(食滯)와 월경 장애에 쓴다. 하루 6~9g을 탕제 · 산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자매과근(刺苺果根)을 달여서 방광염, 위장염에 쓰며 꽃을 향료로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매과 [刺苺果]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종류 및 유사종)
▶긴생열귀나무(var. ellipsoidea): 타원형의 열매가 달리며 북부지역의 바닷가에서 자란다.
▶민생열귀나무(Rosa silenidiflora Nakai ex T.Kawamoto): 잎의 뒷면에 선점이 거의 없다.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흰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f. alba (Nakai) T.B.Lee): 꽃이 흰색이며 북한에 나는데 드물다.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