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황금(黃芩)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꿀풀과 골무꽃속 여러해살이풀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
|
별명(이명) | 속썩은풀,골무꽃, 황금채,황금채근,황금초, 편금(片芩), 고금(枯芩), 조금(條芩), 經芩(경금), 苦督郵(고독우), 空腸(공장), 內虛(내허), imagefont尾芩(돈미금), 腐腸(부장), 鼠尾芩(돈미금), 宿芩(숙금), 元芩(원금), 印頭(인두), 子芩(자금), 土金茶根(토금차근), 妒婦(투부), 黃文(황문) |
|
한약명/생약명 | 황금(黃芩)/ 원금(元芩), 자금(子芩), 황문(黃文), 공장(空腸) |
|
분포지 | 산지의 풀밭 | |
꽃피는 시기 | 7~8월, 고산지대(8~9월), (자색, 총상꽃차례) | |
수확기(결실기) | 9~10월(수과, 다소 구형) | |
용도 | 식용,약용,치료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약간 쓰고 약성은 차다) | |
약용 | 해열,이뇨,지사,이담,소염제,급성황달,안구출혈,고혈압,두통,코피,자궁출혈,종기,항염증,항균,혈압강하,혈당강하,고지혈증강하,담즙분비촉진,진정작용,소아급성호흡기,감염증,만성기관지염,급성이질,전염성간염,신염,신우신염,항알러지 Scutellaria baicalensis의 뿌리. 실화(實火)를 내리고 습열(濕熱)을 제거하며 지혈(止血)하고 태(胎)를 안정시키는 약재임 |
|
사용부위 | 뿌리(삼국시대부터 성홍열 같은 열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
|
채취 및 조제 | 가을 또는 이른봄에 굴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
|
성분 | 뿌리에 우고닌(Woogonin)과 바이칼린(Baicalin)을 함유하는데 바이칼린은 황색성분이다. ♣ woogonin, baicalin, oroxylin A, woogonoside, neobaicalein |
|
약효 및 용법 | ♣ 1회에 4∼12g을 복용하고 ♣ 주의사항 혈압이 낮고 몸이 찬 사람과 설사에는 복용을 피한다. 비위(脾胃)가 차고 약한 데는 쓰지 않는다. |
|
출처 | ||
해설 | ♣ 황금은 약용으로 재배된다. 토양이 비옥한 화단이면 어디서나 잘 자란다. 황금은 겉표면을 벗겨내면 노란색이 황금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국산의 황금인 경우에는 겉껍질을 제거하면 밝은 노란색을 띠고 있으며 절단면은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한 편이다. 중국산은 국산보다는 유통경로가 길다는 단점으로 색이 약간 진하나 구별하기가 어려운 약재중에 하나이고 오래된 것일수록 안쪽에 흠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 ♣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20∼60cm이다. 여러 대가 나와 포기로 자라고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빛이 돌며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화관(花冠)은 밑부분에서 꼬부라져 곧게 서고 통형이며 길이 1.5∼2.5cm이고 입술 모양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며 씨방은 4개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9월에 결실하며 둥근 모양으로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원뿌리는 원뿔형이고 살이 황색이다. 한방에서 뿌리를 해열·이뇨·지사·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한국·중국·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네이버-두산백과 두피디아] ~~~~~~~~~~~~~~~~~~~~~~~~~~~~~~~~~~~~~~~~~ ♣ 분포 ▶중국의 하동, 산동, 사천 및 동시베리아, 몽고,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흔히 재배하고 있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토질은 배수가 잘 되고 햇볕이 잘 드는 모래참흙으로서 겉흙이 깊을수록 좋으며, 땅에 습기가 너무 많거나 굳은 땅에는 뿌리의 성장이 좋지 못할 뿐 아니라 썩는 수도 있다. 원래 야생적이므로 비옥하지 않은 땅에서도 재배가 쉽다. 크기 높이 60cm이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양끝이 좁고 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길이 2mm정도이고 밑부분의 잎은 길이 4.5cm, 나비 8mm이지만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 꽃은 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꽃차례에 잎이 있으며 각 잎겨드랑이에 꽃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2개로 갈라지며 뒤쪽에 돌기가 있고 꽃이 진 다음 젖혀진다. 화통은 길이 2.5cm정도로서 밑부분이 굽고 윗부분이 2개로 갈라지며 뒤의 열편은 고깔모양꽃부리고 겉에 잔털이 있으며 측열편과 거의 합쳐지고 첫째 열편은 퍼지며 자주색이다. 꽃부리는 통상 순형이며 개구(開口)한다. 2강수술이 있으며 암술대는 고르지 않게 둘로 갈라진다. 열매 수과로서 다소 구형(球形)이며 꽃받침안에 들어가 있다. 줄기 높이가 6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있고 원줄기는 네모가 지며 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올라간다. 뿌리 황금(黃芩)이라 하며 이명(異名)은 편금(片芩), 고금(枯芩), 조금(條芩)이다. 번식방법 대개 씨앗으로 번식하나, 때로는 묘두로서도 번식한다. ▶묘두 식부법: 가을의 수확시에 뿌리의 머리 부분을 약간 붙여서 끊은 후 습기 있는 땅에 묻어 두었다가 봄에 심는 것으로 씨앗이 많이 생산되므로 씨받기의 용도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파종법: 2~3년생의 발육이 좋은 포기에서 받은 씨앗을 쓴다. ▶직파법: 파종 시기는 봄 또는 가을이다. 봄 파종은 해동 직후 즉 3월 중순~5월 상순이고, 가을 파종은 10월부터 땅이 얼기전까지이다. 재배특성 황금은 대개 씨앗으로 번식하나, 때로는 묘두로서도 번식한다. 묘두 식부법은 가을의 수확시에 뿌리의 머리 부분을 약간 붙여서 끊은 후 습기 있는 땅에 묻어 두었다가 봄에 심는 것으로 씨앗이 많이 생산되므로 씨받기의 용도로 이용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 재배에서는 파종법을 이용한다. 파종법은 2~3년생의 발육이 좋은 포기에서 받은 씨앗을 쓴다. ①육묘이식법 봄파종은 3월 중순, 가을 파종은 10월 하순경에 씨를 뿌린다. 봄 파종의 모판 면적은 10a당 50㎡, 가을 파종은 100㎡가 소용된다. 파종후에는 0.6cm정도로 흙을 덮고 씨앗이 싹틀 때까지 짚을 덮어 모판면에 항상 습기가 있도록 하면 2주일 정도만에 싹이 튼다. 풀이 나면 뽑아 주고, 모가 활착하여 클 때 또는 모가 싹이 터서 크기 시작할 때와 그 후의 적당한 시기에 두어번 덧거름으로 복합비료 30kg을 시비한다. ②직파법 파종시기는 봄 또는 가을이다. 봄 파종은 해동 직후 즉 3월 중순~5월 상순이고, 가을 파종은 10월부터 땅이 얼기전까지이다. 그런데 10월 하순경에 파종한 것은 이듬해 4월에 일제히 싹이 터서 봄의 해동직후 파종한 것보다 15일 정도 싹틈이 빠르고 발아율도 좋았다는 시험 결과도 있다. 근래에 와서는 당년생을 수확하는 수가 많은데, 이때에는 15~16cm간격으로 골을 치고 씨를 뿌린다. 수량을 많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소 밀파하는 것이 좋다. 이용방안 ▶어린 순은 식용 한다. ▶根(근)은 黃芩(황금), 종자는 黃芩子(황금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黃芩(황금) ①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3-4년 자란 그루를 골라서 뿌리를 캐어 햇볕에 반건조후 코르크皮를 두드려 제거하고 다시 완전히 말린다. ②성분 : 황금의 뿌리는 baicalein, baicalin, wogonin, wogonoside 및 neobaicalein을 함유하며 다시 安息香酸(안식향산), β-sitosterol 등을 포함한다. 莖葉(경엽) 속에는 scutellare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實火(실화)를 瀉(사)하고 濕熱(습열)을 제거하며 止血(지혈), 安胎(안태)의 효능이 있다. 壯熱(장열)에 의한 煩渴(번갈), 肺熱咳嗽(폐열해수), 濕熱(습열)에 의한 瀉痢(사리), 황달, 熱淋(열림), 吐氣(토기), 鼻出血(비출혈), 자궁출혈, 滑精(골정), 目赤腫痛(목적종통), 胎動不安(태동불안), (옹종정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던가 또는 가루를 만들어 살포한다. ⑵黃芩子(황금자) - 장벽농혈을 치료한다.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유사종 골무꽃(S. indica) 병해충정보 障害(장해)가 되는 병충해는 거의 없다. 토지에 따라서 물빠짐이 좋지 않은 곳이나,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 죽는 그루가 발생하는 일이 있으나 그 피해는 적다. 따라서 물빠짐이 좋게하도록 하고 바람이 잘 통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출처: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 속썩은풀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꿀풀과 Labiat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기록에 따르면 중국의 중약재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황금은 속썩은풀 이외에 6종이 더 있고 그 외형은 유사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기원식물에 대한 검토는 향후 풀어야 할 숙제이기도 하다. 뿌리로 원뿔 모양이고 비틀어져 굽어 있으며, 길이 8~25cm, 지름 1~3cm이다. 바깥 면은 황갈색~진한 노란색이고, 혹 모양의 가는 뿌리 자국이 드문드문 있다. 위쪽에는 비교적 거칠고 비틀어져 굽어있는 세로주름 또는 불규칙한 그물무늬가 있다. 질은 단단하면서 취약하고 절단하기 쉽다. 자른 면은 노란색이고, 중심부는 적갈색이다. 햇수가 오래된 것은 뿌리의 가운데가 썩어 있거나 비어있고, 어두운 갈색~적갈색을 나타낸다. 앞의 것을 지금(枝芩)이라 하고 뒤의 것을 고금(枯芩)이라 한다.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약간 쓰다. [출처:네이버-한약재감별도감 - 외부형태] ~~~~~~~~~~~~~~~~~~~~~~~~~~~~~~~~~~~~~~~~~ ♣ 각지에 재배하여 널리 약용으로 쓰이고 있다. 약효성분은 바이카레인(Baicalein)·바이카린(Baicalin)·워고닌(Wogonin)·워고노사이드(Wogon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은 실화(實火)를 내려주므로 신체에 열이 많고 번조와 갈증을 심하게 나타내면서 심하면 의식이 혼몽한 증상을 개선시킨다. 감기로 인한 고열에서부터 일반적인 전염성질환의 고열에 해열효과가 높다. 폐에 열이 쌓여서 일어나는 해소에 현저한 반응을 보이는데, 이것은 급성폐렴이나 급성기관지염의 고열해소, 천식에 탁월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이다. 위장에 열이 있으면서 소화장애가 심하고 더 악화되면 입 안이 헤지고 구내염이 발생하면서 음식물을 먹을 수 없는 증상에도 활용되며 급성황달에도 효력을 보인다. 체내에 열이 과다하게 쌓여서 일어나는 안구충혈과 동통을 제거하고 고혈압·두통·코피·자궁출혈에도 활용되며, 피부발적 종기에도 효력이 있다. 이와 같은 효능은 찬 약성이 열을 내리므로 증상을 완화시키기 때문이다. 부인이 임신중에 복용하면 임신질환에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열이 심하여 일어나는 갈증을 풀어주고 전신의 관절마디마다 열이 나고 아픈 증상을 해소시킨다. 약리실험에서는 항염증반응·항병원미생물작용·해열·이뇨·혈압강하작용·혈당과 고지혈증강하·담즙·분비촉진·진정작용 등이 나타났다. 임상실험결과에서는 소아급성호흡기 감염증·만성기관지염·급성이질·전염성간염·신염·신우신염·고혈압 등에 유효한 반응을 나타냈다. 1회에 4∼12g을 복용하고, 금기로는 혈압이 낮고 몸이 찬 사람과 설사에는 복용을 피한다. [출처:네이버-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딴 이름은 편금(片芩) · 고금(枯芩) · 자금(子芩) · 조금(條芩)이다. 꿀풀과 식물인 속썩은풀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황해도 · 함경북도 · 평안남도 등지의 산에서 자라며 각지에서 심기도 한다. 가을이나 봄에 뿌리를 캐 잔뿌리를 다듬고 물에 씻어 겉껍질을 벗긴 다음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폐경(肺經) · 대장경(大腸經) · 담경(膽經)에 작용한다. 폐열(肺熱)을 제거하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태아를 안정시키고 출혈을 멎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해열 작용 · 소염 작용 · 이담(利膽) 작용 · 이뇨 작용 · 위액 분비 억제 작용 ·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다. 주요 성분인 바이칼린이 이담(利膽) 작용을 나타내며 항알러지 작용도 한다. 폐열로 기침이 나는 데,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갈증이 나는 데, 설사, 이질, 황달, 임증(淋證), 결막염, 태동불안(胎動不安), 혈열(血熱)로 인한 출혈 등에 쓴다. 이 밖에 불면증, 위장염, 소장염과 대장염, 간염, 방광염, 요도염, 자궁 및 부속기의 염증, 기관지 천식 등에도 쓴다. 하루 4~12g을 탕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서 기름에 개어 바른다. 비위(脾胃)가 차고 약한 데는 쓰지 않는다. [출처:네이버-한의학대사전] ~~~~~~~~~~~~~~~~~~~~~~~~~~~~~~~~~~~~~~~~~ ♣ 금기 苦寒한 性味이므로 脾胃虛寒者, 孕婦가 胎寒인 경우에는 服用을 忌한다. 산지 안동, 의성 효능 降低血壓, 凉血, 瀉火, 安胎, 燥濕, 止血, 淸熱, 解毒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本經(본경)>: 주치증상으로는 모든 발열, 황달, 혈변을 동반한 설사, 심한 종기, 火傷(화상) 등을 치료하고 수분과 瘀血(어혈)을 제거한다. <別錄(별록)>: 痰熱(담열)과 胃中熱(위중열), 아랫배가 꼬이듯 아픈 통증, 소화가 너무 잘되는 것, 여성의 瘀血(어혈)과 下血(하혈), 小兒腹痛(소아복통)을 치료하고 小腸(소장)을 순조롭게 한다. <甄權(견권)>: 熱毒(열독), 陰虛發熱(음허발열), 寒熱往來(한열왕래), 腸胃(장위)가 순조롭지 못한 것, 五淋(오림)을 치료하고 氣鬱(기울)을 제거하고 關節(관절)의 煩悶(번민)을 제거하여 몸을 개운하게 하고 갈증을 풀어준다. <池大明(지대명)>: 下氣(하기)시키는 작용이 있고 전염성 열성 질환을 치료하며, 종기의 농을 배출시켜서 乳癰(유옹)과 등에 발생한 종기를 치료한다. <張元素(장원소)>: 心(심)을 시원하게 하고 肺(폐)의 濕熱(습열)을 제거하고 肺火(폐화)가 上逆(상역)하는 것을 없애고 上熱(상열) 증상을 치료하고 눈이 붓고 벌겋게 된 것을 치료하고 瘀血(어혈)이 울체된 것과 上部(상부)에 瘀血(어혈)이 쌓인 것을 치료하며 膀胱(방광)을 보하고 安胎(안태)작용이 있고 陰(음)을 기르고 陽邪(양사)를 물리친다. 李時珍(이시진)>: 風熱(풍열), 濕熱(습열), 頭疼(두동), 奔豚(분돈), 熱痛(열통), 火咳(화해), 肺痿(폐위) 및 모든 失血(실혈)을 치료한다(李時珍)."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腐腸(부장), 空腸(공장), 內虛(내허), 妒婦(투부), 經芩(경금), 黃文(황문), 印頭(인두), 苦督郵(고독우)라고 한다. 속이 꽉 찬 것은 子芩(자금), 條芩(조금), imagefont尾芩(돈미금), 鼠尾芩(서미금)이라 한다. 陶弘景(도홍경): 둥근 것을 子芩(자금)이라하고 깨진 것을 宿芩(숙금)이라 하는데 이 약초의 속이 모두 문드러져 있으므로 腐腸(부장)이라고 부른다. 李時珍(이시진): 芩(금)은 <說文(설문)>에는 菳(금)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그 색깔이 누런 색이기 때문이다. 혹은 芩(금)을 黔(검)이라고도 하는데 黔(검)은 어두운 누런 색이다. 宿芩(숙금)이란 곧 오래된 뿌리를 뜻하며 속에 구멍이 많고 밖은 누렇고 속은 검기 때문에 지금은 片芩(편금)이라고 한다. 또한 腐腸(부장), 妒婦(투부)라는 명칭을 갖고 있는데, 질투하는 부인의 마음이 시커멓게 타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子芩(자금)은 새로운 뿌리로써 속이 實(실)하므로 지금은 條芩(조금)이라고 부른다. 혹은 西芩(서금)은 속이 빈 것이 많고 색이 검고, 北芩(북금)은 속이 차고 색이 매우 누렇다고 말하기도 한다." [출처:네이버-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 ♣ 생약명 황금(黃芩). 원금(元芩), 자금(子芩), 황문(黃文), 공장(空腸)이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뿌리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가을 또는 이른봄에 굴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성분 뿌리에 우고닌(Woogonin)과 바이칼린(Baicalin)을 함유하는데 바이칼린은 황색성분이다. 약효 해열, 이뇨, 소염, 소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설사로 인한 열을 다스려 주고 담낭을 보해준다. 또한 뱃속의 태아가 놀랐을 때에 이를 다스려 평안하게 해주는 작용도 한다. 적용질환으로는 발열, 고혈압, 동맥경화, 담낭염, 황달, 위염, 장염, 이질, 태동불안 등이 주가 된다. 기타 가슴과 겨드랑이 밑이 답답한 증세와 속이 결리는 증세, 몸이 심하게 달아오르는 증세, 눈이 붉게 부어 올라 아픈 증세, 악성종기 등의 치료를 위해서도 쓰인다. 용법 내과질환에는 말린 약재를 1회에 2~4g씩 물로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외과질환에는 약재를 빻아 환부에 뿌리거나 또는 달여서 환부를 닦아준다. [출처:네이버-몸에 좋은 산야초] ~~~~~~~~~~~~~~~~~~~~~~~~~~~~~~~~~~~~~~~~~ |
|
(종류 및 유사종) ▶골무꽃(Scutellaria indica L.): 전초를 한신초(韓信草)라 하며, 이명(異名)은 대력초(大力草), 이공초(耳控草)이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
LIST
'산야초·독초 자료 > ★산야초 참고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엉겅퀴(곤드레나물) 효능 (0) | 2022.06.28 |
---|---|
울금(鬱金) 효능 (0) | 2022.06.24 |
수영(산모 酸模) 효능 (0) | 2022.06.23 |
털별꽃아재비(동추초 銅錘草) 효능 (0) | 2022.06.23 |
어수리(독활 獨活) 효능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