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도움 되는 약초/기침·가래

벌개미취(자원 紫苑) 효능

by 고산마루(다올) 2023. 2. 6.
SMALL
벌개미취(자원 紫苑)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국화과 (Asteraceae) 참취속(Aster) 여러해살이풀
학명(Aster koraiensis Nakai)
영문명(Korean aster)
 
별명(이명) 별개미취,조선자원,고려쑥부쟁이
 
한약명/생약명 자원(紫苑)

분포지 중부 이남, 산과 들 습지 있는 초원 양지, 한국 특산식물  
꽃피는 시기 6~10월(두화는 연한 자주색), 고산지 및 지리산 개화기(9~11월 초)  
수확기(결실기) 9~11월(수과 바소꼴)  
용도 약용,식용,관상용  
약용 (효능) 溫肺(온폐), 下氣(하기), 消痰(소담),거담, 止咳(지해),진해,향균,이뇨,항종양,항생제,항바이러스,항궤양
(적용질환) 토혈,폐결핵성 기침,만성기관지염,이뇨,風寒(풍한)에 의한 咳嗽(해수), 喘息(천식), 虛勞(허로)에 의한 咳嗽(해수)로 膿血(농혈)을 吐(토)하는 증상, 喉痺(후비), 小便不通(소변불통)
 
사용부위 뿌리

 
채취 및 조제

성분 saponin, friedelin 등이 들어있다.
Astersaponin, shionone, quercetin, epifriedelinol, succinic acid, friedelin, shionone


약효 및 용법

 
     
출처
 
해설 벌개미취는 햇빛이 잘 들고 습한 산지에서 곧추 자라 높이 50~60 cm 정도에 달한다. 꽃은 자주색 또는 보라색으로 6~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핀다. 한반도 특산종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하고 관상용으로 심는다. 유사 식물로 쑥부쟁이, 참취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Korean starwort] (식물학백과)
~~~~~~~~~~~~~~~~~~~~~~~~~~~~~~~~~~~~~~~~~

♣ 별개미취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50∼60cm이다. 옆으로 벋는 뿌리줄기에서 원줄기가 곧게 자라고, 홈과 줄이 있다.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길이 12∼19cm, 너비 1.5∼3cm로 딱딱하고 양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져서 줄 모양이 된다.

꽃은 6∼10월에 피는데, 두화(頭花)는 연한 자줏빛이며 지름 4∼5cm로서 줄기와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총포는 공을 반으로 잘라놓은 모양이며 지름 약 8mm, 길이 약 13mm이다. 포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4줄로 늘어선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바소꼴이고 11월에 익는다. 길이 4mm, 지름 1.3mm 정도이고 털과 관모가 없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한국 특산종으로 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경기도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분포
한국(제주도, 경기 이남)


특징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 번식력이 왕성하며 무리지어 생육하는 특성이 있어 앞으로 지피조경용으로 개발가치가 대단히 높고 수출용으로도 전망이 밝다.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19cm, 나비 1.5-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질이 딱딱하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되며 길이 4-5mm이다.


꽃은 6-10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13mm, 지름 8mm이다.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4-5mm, 나비 1.5mm로서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혀꽃의 꽃부리는 길이 26mm, 나비 3.5-4mm이다.

열매
수과는 길이 4mm, 너비 1.3mm 정도로서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과모도 없다. 11월에 결실한다.

줄기
높이는 50-60cm으로 곧게 자라고 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 있다.

뿌리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적갈색으로 굵고 단단하며 10cm 정도로 짧다. 잔뿌리가 많이 나고 일종의 냄새가 난다.


생육환경
•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충분한 계곡에서 자란다.
• 생육의 최적지는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사질양토이다. 토양과 기상 등 외부환경에 적응성이 뛰어나다.
• 전남, 경남 지리산 지역에서 경기, 강원 지역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산림이 안정된 지역에 자생한다. 강원도 지역에서 왕성한 생육상을 보이는 것을 보아 중부지방 이하로는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랄 것으로 보아진다.


번식방법
• 벌개미취는 실생과 분주로 번식하는 방법이 있다.
실생:
ⓐ 종자는 10월중에 채취하여 기건저장하고 파종은 3-4월에 한다.
ⓑ 파종상의 넓이는 1.2m로하고 높이는 보통 10cm미만으로 한다.
ⓒ 파종은 줄뿌림이 좋고 제초와 관리가 쉽도록 세로로 얕게 파종골을 5개로 길게 만들고 종자를 4-5cm간격으로 뿌린 후 갈퀴와 같은 연장을 사용하여 가볍게 긁어주면 종자가 얇개 덮여져 제때에 발아하게 된다.
ⓓ 제초를 손쉽게 하고 토양건조를 다소 줄이기 위해서 썩은 왕겨를 얇게 뿌려주면 효과적이다.
ⓔ 발아하여 성장하게 되면 너무 많이 난 곳은 뽑아주어 건전하게 묘를 관리한다.
ⓕ 볕가림을 특별히 설치할 필요는 없다.

분주:
ⓐ 포기나누기를 할 목적으로 관리할 때는 꽃대가 올라오면 예초기를 이용하여 15cm정도에서 잘라주면 새로운 개체의 생성이 보다 많아진다.
ⓑ 보통 3년 정도 자란 개체는 10여개 이상의 개체를 만들수 있다.
ⓒ 포기나누기를 할 때는 뿌리를 적당히 분배하고 잘 드는 전정가위나 적과용 가위를 사용하여 자르면 된다.
ⓓ 심는 방법은 파종묘 이식에 준하여 하면 된다.


재배특성
강건한 식물이므로 특별한 관리는 필요없으나 양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습지는 물론 건조한 환경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적당한 시비관리는 식물체의 생육을 왕성하게 한다. 높은 비옥도를 요구하지 않은 야생화이다. 그러나 토양이 비옥하면 꽃대도 충실하고 꽃의 색도 좋기 때문에 가급적 금비를 주는 것보다 기비로 완숙된 퇴비를 충분히 주는 것이 좋다. 시비량은 10a당 1,000kg정도가 적당하다. 본상에서는 2월 말에서 3월 초에 새싹이 올라오기 전에 완숙된 퇴비를 포지 위에 골고루 뿌려주면 된다. 이식상을 만들 때에는 완숙된 퇴비를 밭전체에 골고루 뿌려주고 로타리를 이용하여 잘 섞은 후 이랑을 만들어 심으면 좋다.

• 절화용으로 생산하고자 할 때는 80cm 이상으로 길러야 하기 때문에 개화시에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화훼용 그물을 2단 정도는 쳐주어야 한다. 분에 올려서 소품을 만들고자 할 때는 반드시 순자르기를 게을리해서는 안되며, 가급적 물주기와 거름, 비료주는 양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웃자람을 적게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이용방안
•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지하부 뿌리가 대단히 왕성하므로 노출된 절개사면, 척박지 등에 식재하면 토양고정 능력이 뛰어나 토사유출 방지 효과가 뛰어나다. 사방공사용소재, 도로 주변의 화단 식재용 소재로도 좋다.


보호방안
인공 증식이 용이한 식물이므로 대량으로 증식하여 경제작물로 널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병충해 및 방제방법

병충해
재배시 크게 문제가 되는 병충해는 거의 없다. 간혹 진딧물이 발생할 수 있다.


방제방법
진딧물이 발생하면 메타유제, 포리스유제 1,000배액을 산포하면 구제가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생육특성
경기도 이남의 산이나 들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50~60cm이고, 잎은 앞으로 길게 뻗어 나며 끝이 뾰족하다. 잎은 길이 12~19cm, 폭 1.5~3cm가량이며 잎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고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잎이 작아진다. 상층부의 꽃은 연한 자주색과 연한 보라색이며 줄기나 가지의 끝에 한 개씩 달린다. 열매는 11월에 시든 꽃잎을 붙인 채 결실하며 길이는 4mm, 너비가 1.3mm 정도로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이른 봄에 포기나누기를 하고 11월에 결실하는 종자는 종이에 싸서 냉장보관 후 이른 봄 화분에 뿌린다. 종자발아율이 매우 높은 편이다.

관리법 : 화단의 양지나 반그늘 어디에서나 잘 자라고, 잎이 많기 때문에 물은 1~2일 간격으로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야생화도감(가을), 2009. 9. 15., 정연옥, 박노복, 곽준수, 정숙진)
~~~~~~~~~~~~~~~~~~~~~~~~~~~~~~~~~~~~~~~~~

♣ 짙은 녹색 잎은 갸름하고 털이 없다. 꽃

이 쑥부쟁이나 개쑥부쟁이와 많이 닮았는데, 더 짙은 보랏빛이다. 연한 잎을 데쳐서 무치거나 볶는다. 묵나물로 먹기도 한다. 같은 때 나는 다른 나물과 섞어 무치면 맛이 잘 어우러진다. 꽃을 보려고 심어 가꾸기도 한다.

- 나물 할 때 : 봄
- 나물 하는 방법 : 연한 잎을 뜯는다.
- 추천 음식 : 데쳐서 무치거나 볶음, 묵나물볶음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010. 3. 1., 이영득)
~~~~~~~~~~~~~~~~~~~~~~~~~~~~~~~~~~~~~~~~~


1. 특징
쑥부쟁이와 일가가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 60~90cm 정도로 자라는 줄기에는 거의 털이 나 있지 않고 곧게 서며 위쪽에서 약간의 가지를 친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길쭉한 타원 꼴이다. 아래쪽 잎은 길이 15cm를 넘으며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 없어진다. 위쪽의 잎은 점차 작아지며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를 가진다.

꽃은 가지 끝에 1송이씩 피며 지름이 4cm쯤 된다. 꽃잎은 연한 보랏빛이고 한가운데는 노란빛이다. 개미취의 꽃보다 크다.

씨에는 털이 달려 있지 않다.


2. 분포

제주도와 중부 이남의 지역에만 분포하며 북한에서는 볼 수 없다. 산기슭이나 들판의 풀밭 속에 난다.


3. 식용법
이른봄에 갓 자라난 어린 싹을 나물로 하거나 국에 넣어 먹는다. 떫은맛이 나므로 데친 다음 여러 차례 물을 갈아가면서 잘 우려낸 후 간을 맞추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

 

생물학적특징
다년생 초본

잎은 단엽, 호생배열,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짐, 경생엽은 호생, 길이 12~19㎝, 폭 1.5~3㎝, 엽연은 복거치형, 엽저는 좁아져서 엽병화, 양면에 털이 없음, 질이 거침, 위로 올라갈 수록 선형화, 엽신은 피침형

화서는 두상화서이고 지름은 4-5㎝, 꽃은 양성화, 연한 자주색과 연한 보라색, 6~10월 개화

총포는 5㎝, 반구형, 총포편은 4줄로 배열, 외총포편은 장타원형, 가장자리에 털이 있음

과실은 수과, 길이 4㎜, 지름 1.3㎜, 11월 성숙, 피침형, 관모는 없음.


용도
원예 및 조경용-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이나 지하경이 왕성하여 지피용으로 심는다.
식용-(잎) 연한 잎을 삶아 나물이나 묵나물로 먹는다.
약용-(뿌리) 해수, 가래, 천식에 사용한다.


화분형태
화분은 단립
적도면 모양은 약단구형
극축길이는 25-27㎛, 적도면지름은 26-29㎛
발아구는 3 공구형
표면무늬는 망상.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Korean starwort] (생물자원정보 - 민속특산식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주요성상 및 특징

성분 : Astersaponin, shionone, quercetin, epifriedelinol, succinic acid, friedelin, shionone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19cm, 나비 1.5∼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질이 딱딱하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되며 길이 4∼5mm이다.


줄기 : 높이 50∼60cm 정도 크게 자라고 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 있다.


뿌리 : 근경이 옆으로 벋으며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쯤 되면 없어진다.


: 6∼10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13mm, 지름 8mm이다.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4∼5mm, 나비 1.5mm로서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설상화의 화관은 길이 26mm, 나비 3.5∼4mm이다.


열매 : 11월에 성숙되며 수과는 길이 4mm, 지름 1.3mm로서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관모도 없다. 11월에 익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생물자원정보 - 자생식물종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오직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고유종으로 경기도, 전라도, 제주도에 자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건조한 곳보다 약간 습한 곳에서 잘 자라며 음지와 양지를 가리지 않습니다.

높이는 보통 50~60cm 정도 자라는데 환경이 좋으면 100cm 정도 자라는 경우도 있습니다.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피는 시기에 사라지고 줄기에 붙어있는 잎만 남습니다. 줄기에 붙는 잎은 피침형으로 털이 거의 없고 두텁습니다. 꽃은 이르면 6월, 늦게는 10월에 핍니다. 줄기 끝에서 달리는 꽃은 옅은 보라색이며 열매는 9~10월에 익고 씨앗이 멀리 퍼뜨려지도록 도와주는 관모가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벌개미취도 개미취처럼 봄에 돋는 새싹을 나물로 먹을 수 있고 키가 작아서 조경용으로도 많이 심어지고 있습니다. 주로 학교나 도로변, 공원과 같은 곳에서도 자주 만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벌개미취 (안녕, 우리생물)
~~~~~~~~~~~~~~~~~~~~~~~~~~~~~~~~~~~~~~~~~



(종류 및 유사종)
▶개미취(Aster tataricus L.f.): 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자생의 개체는 개화시기가 10월 중순-11월 중순으로 상대적으로 늦으며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중부 및 경기도 일원에서 생육하는 개체는 초장이 2m에 이르는 대형이며 개화시기는 9월말-10월초로 일반적인 개체들보다 상대적으로 약간 늦게 개화하고 야화성이며 줄기가 강건하여 도복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갯개미취(Aster tripolium L.): 갯가나 내륙의 염성지(鹽性地)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굵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25∼100cm이다. 뿌리잎과 밑부분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줄 모양 바소꼴로 톱니는 없다.
9∼10월에 자주색의 두화(頭花)가 가지 위에 달리고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밑부분에 포가 달린다. 총포는 통 모양이고 포조각은 3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로서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가 2.5∼3mm, 지름이 1mm 정도로서 털이 있다. 관모는 꽃이 필 때는 길이가 5mm 정도이나,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가 14∼16mm이다.
원산지는 유럽·아프리카이다. 한국 제주도·전라북도·경기도·평안남도를 비롯하여 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의 온대에서 난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갯개미취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Nakai): 한국 특산식물. 번식력이 왕성하며 무리지어 생육하는 특성이 있어 앞으로 지피조경용으로 개발가치가 대단히 높고 수출용으로도 전망이 밝다. 경기, 전남, 경상도, 충청도에 분포, 높이 60-100cm, 6-10월에 개화하고 담자색, 지름 4-5cm, 잎은 어긋나기하며 긴타원모양으로 길이 12-19cm이다.
▶좀개미취(Aster maackii Regel): 오대산 계곡 정선 냇가 근처에 자생하며 개미취에 비해 잎이 좁고 키(45-80cm)도 작으면서 꽃은 개미취보다 크고 화려하며 희귀식물이다. 남한에서는 분포지가 제한돼 있어서 희귀식물에 속하며 자생지에서의 채취를 막아야 할 것이다.


 

 

LIST

'건강에 도움 되는 약초 > 기침·가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미취(자원 紫苑) 효능  (2) 2023.02.06
싱아 효능  (0) 2022.06.23
영아자(목근초 牧根草) 효능  (0) 2022.03.18
전호(前胡) 효능  (0) 2021.05.14
개갓냉이 효능  (0) 2021.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