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야초·독초 자료/★산야초 참고글

칡(갈근 葛根) 효능

by 고산마루(다올) 2023. 2. 15.
SMALL

 

칡(갈근 葛根)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콩과 (Fabaceae) 칡속(Pueraria) 덩굴성 낙엽 활엽 여러해살이풀
학명(Pueraria lobata (Willd.) Ohwi)
영문명(East Asian arrow root)
 
별명(이명) 칡덩굴,칙덤불,칡덤불,칠기,곡불히(제주),갈등, 갈마등, 갈등마, 침덩굴, 감갈근, 분갈근
 
한약명/생약명 갈근(葛根),새순(갈용,葛茸),(갈화,葛花),씨앗(갈곡,葛穀)
 
분포지 전국 산기슭의 양지, 원산지(중국에서 귀화식물)  
꽃피는 시기 7~8월(붉은색)  
수확기(결실기) 9~10월(협과-꼬투리 열매)  
용도 식용(죽,묵),약용(맛이 달면서도 매우며, 기운은 평해서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다.[甘辛平])
 
약용 (효능) 發汗(발한), 해열, 鎭痙(진경), 解飢(해기), 透疹(투진), 止渴(지갈), 止瀉(지사), 升陽(승양)
(
갈분)生津(생진), 止渴(지갈), 淸熱(청열), 除煩(제번)
~~~~~~~~~~~~~~~~~~~~~~~~~~~~~~~~
(적용질환)
(
덩이뿌리)자양강장제,구황식물,숙취제거,간 질환,고혈압,다이어트,갱년기 여성 뼈 건강,하혈,승양(升陽)의 효능,감기,폐질환,傷寒(상한)에 의한 溫熱頭痛(온열두통)으로 목덜미가 굳어지는 것, 煩熱(번열)에 따른 消渴(소갈), 泄瀉(설사), 이질, 반진불투), 心絞痛(심교통-협심증), 難聽(난청)
(
칡덩굴)癰腫(옹종), 喉痺(후비)
(
)切傷出血(절상출혈)
(
)주독(酒毒),傷酒(상주)에 의한 發熱(발열),煩渴(번갈),惡心(악심),식욕부진,嘔逆吐酸(구역토산),吐血(토혈),內痔(내치) 및 腸風下血(장풍하혈)
(
종자)酒毒(주독)을 풀어주고 補心(보심), 淸肺(청폐)하는 효능,下痢(하리) 치료
(
갈분)煩熱(번열), 口渴(구갈), 熱瘡(열창), 喉痺(후비)
 
사용부위 뿌리줄기,새순,꽃,씨앗

 
채취 및 조제 뿌리는 겨울에, 새순은 봄에, 꽃은 여름에, 씨앗은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
)8월 상순 무렵, 꽃이 만개하기 전에 따서 경엽(莖葉)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분 카테킨,다이드제인(식물성 에스트로겐)

 
약효 및 용법 ★★★ 불면증에 좋은 칡라떼차
☞현재 스트레스로 불면증이 있을 때
☞갱년기로 불면증이 있을 때

(
효능)•근육이완과 신경을 안정시킴.
         •수면호르몬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키는 천연수면제

(
상승효과) 칡(다이제드인 성분)+대추(판토텐산 성분)+우유(트립토판,마그네슘 성분) →수면호르몬 멜라토닌 분비에 핵심적인 역할(근육이완,혈액순환 촉진,심신을 안정)→수면호르몬 증가,굳어진 근육이완,숙면유도

(
준비물)
말린 칡(40g)+대추(8개)+우유(50ml)+물(2리터)
※반드시 양과 시간을 지킬 것

(칡라떼차 만들기)
1.말린 칡을 물에 깨끗이 씻어서 저울로 40g을 준비
2.대추와 칡은 반드시 말린 것을 사용해야 하고, 혹시 모를 이물질 제거를 위해서 대추와 칡을 물에 깨끗이 세척할 것
3.냄비에 물 2리터를 넣고 칡과 대추를 넣는다.(

단, 대추는 반드시 씨를 넣어야 하고, 꼭 찢어서 넣어야 하며, 약불에 덖어서 넣는다.)
4.약불에 1시간 정도 끓인다.
5.우유 50ml를 전자레인지에 1분간 데운다.(따뜻한 우유가 숙면을 유도하는데 더욱 도움이 됨)
6. 끓인 물 적당량에 데운 우유를 넣어서 잠들기 2시간 전에 하루 1잔씩 마신다.(우유가 안 좋으면 우유를 빼고 마셔도 된다.  

우유 추천)

(
주의점) 칡이 서늘한 성질이라서
-체질상 손발이 차갑고 소화 장애가 있는 사람은 복통과 소화불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섭취를 위해서 적은 양으로 시작해서 몸의 반응을 살피면서 섭취할 것
-칡은 장복하게 되면, 간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3개월 복용 후엔 3개월을 쉬고 다시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출처:유튜브-건강뉴스]
~~~~~~~~~~~~~~~~~~~~~~~~~~~~~~~~~~~~~~~~~

뿌리(갈근,葛根):발한,해열
뿌리의 녹말(갈분,葛粉): 녹두가루와 섞어서 갈분국수를 만들어 식용
줄기의 껍질:갈포(葛布)의 원료
뿌리를 삶은 물: 칡차로 이용  
♣술독 푸는 데, 간 질환, 고혈압에 말린 것 1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간혹 뿌리에 물이 차는 경우가 있는데 그대로 약으로 쓴다.
♣말린 뿌리를 가루 내어 자루에 넣고 치대어 전분을 낸 뒤 죽이나 묵을 쑤어 먹는다.
♣생육이 왕성하기 때문에 경사지나 황폐지에 식재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한다. 그러나 주위 식물을 감아올라가 생육을 저해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칡전분은 제과원료, 제약정제의 결합제로 쓰인다.
♣잎은 차의 대용으로 쓰이나 사료로도 쓰인다.
♣줄기는 새끼 대신 쓰며 껍질로는 갈포를 만든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칡은 녹색을 얻을 수 있는 염료 식물이다. 잎에서 염료를 추출하는데 0.1%의 탄산칼륨 액에 넣어서 끓여 염액을 얻는다.

♣궁합음식정보:주로 즙을 추출하여 마시고, 녹말성분이 많아 떡이나 국수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달걀 (칡에 부족한 단백질, 무기질을 달걀/달걀과 함께 섭취함으로써 보충할 수 있다.)
-돼지갈비 (돼지갈비양념 속에 갈근즙을 넣으면 동물성 단백질을 보충함과 동시에 돼지고기의 육질이 연해지는 효과도 볼 수 있다.)


 
     
출처    
해설
~~~~~~~~~~~~~~~~~~~~~~~~~~~~~~~~~~~~~~~~~

♣ 칡은 다년생 식물로서 겨울에도 얼어 죽지않고 대부분의 줄기가 살아남는다. 줄기는 매년 굵어져서 굵은 줄기를 이루기 때문에 나무로 분류된다. 산기슭의 양지에서 자라는데 적당한 습기와 땅속이 깊은 곳에서 잘 자라며 줄기의 길이는 20m이상 뻗쳐있다. 추위에도 강하지만 염분이 많은 바닷가에서도 잘 자란다. 줄기는 길게 뻗어가면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고 갈색 또는 흰색의 털이 있으나 새로 생긴 줄기에만 달려있고 곧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잎자루가 길며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다. 작은잎은 털이 많고 마름모꼴 또는 넓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10∼15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잎 뒷면은 흰색을 띠고, 턱잎은 길이 15∼20mm의 바소꼴이다.

꽃은 8월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길이 10∼25cm의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린다. 포는 길이 8∼10mm의 줄 모양이고 긴 털이 있으며, 작은포는 좁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다. 꽃의 모양은 나비 모양이다.열매는 협과이고 길이 4∼9cm의 넓은 줄 모양이며 굵은 털이 있고 9∼10월에 익는다.

칡은 오래전부터 구황작물로 식용되었고 자양강장제 등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갈근(葛根)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발한·해열 등의 효과가 있다. 뿌리의 녹말은 갈분(葛粉)이라 하며 녹두가루와 섞어서 갈분국수를 만들어 식용하였고, 줄기의 껍질은 갈포(葛布)의 원료로 쓰였다. 최근에는 칡의 용도가 한정되는 경향이며 뿌리를 삶은 물은 칡차로만 이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kudzu vine]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분포
한국(전국 산지), 말레이시아, 인도, 중국, 일본, 극동러시아

특징
뿌리를 갈근(葛根)이라 하고,특히 1차 천이식생으로 황폐척악지에 침입하여 번성한다.


잎은 3출엽으로 소엽은 마름모모양이며, 길이와 폭이 각 10~15cm × 10~15cm로, 털이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얕게 3갈래로 갈라지며, 잎자루 길이는 10~20cm로 털이 있고, 턱잎은 피침형으로 중앙 부근에 붙어있으며 길이가 15~20mm이다.


꽃은 8월에 개화하고 홍자색으로 길이는 18~25mm로 총상꽃차례는 곧추서며 길이 10~25cm이다. 포는 선형이고 긴 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가운데까지 갈라진다.

열매
협과는 넓은 선형으로 편평하고, 길이와 폭이 각 4~9cm × 8 ~10mm로, 굳은 갈색의 퍼진 털이 있으며, 종자는 갈색으로 9~10월에 성숙한다.

줄기
길게 자라지만 끝부분이 겨울 동안에 말라 죽으며 줄기는 흑갈색으로 갈색 또는 백색의 퍼진 털과 구부러진 털이 있다. 아랫부분은 목질화해서 가지가 잘 갈라진다. 오래된 것은 줄기의 직경이 1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지면이나 다른 나무를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뿌리
2~3m, 지름 20~3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땅 속에서 옆으로 뻗고 섬유질로서 회백색을 띠며 녹말을 저장한다.

수피
나무껍질은 흑갈색으로 갈색 또는 백색의 퍼진 털과 구부러진 털이 있고 아랫부분은 목질화 했다.

생육환경
산기슭 양지쪽에 나며 햇볕을 잘 받는 곳이면 어느 곳에서나 잘 생육한다.

번식방법
번식은 분주법, 종자재배법, 종내 잡목법, 삽목법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대개는 삽목법에 의하여 번식되고 있다. 포기나누기를 하거나 꺾꽂이로 하며, 종자는 기건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 파종 전에 열탕처리하여 사용한다.

•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뿌리거나 파종전 37℃의 온탕에 20시간정도 침적한 후에 뿌리기도 한다. 진한 황산에 5분간 담구었다가 뿌리기도 하며 모래와 섞어 절구에 넣어 씨껍질에 상처를 낸 후에 파종하기도 한다.
• 3~4월경에 가지삽목 또는 휘묻이를 5월경에 하기도 한다.

이용방안
• 생육이 왕성하기 때문에 경사지나 황폐지에 식재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한다. 그러나 주위 식물을 감아올라가 생육을 저해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 칡전분은 제과원료, 제약정제의 결합제로 쓰인다.
• 잎은 차의 대용으로 쓰이나 사료로도 쓰인다.
• 줄기는 새끼 대신 쓰며 껍질로는 갈포를 만든다.
•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칡은 녹색을 얻을 수 있는 염료 식물이다. 잎에서 염료를 추출하는데 0.1%의 탄산칼륨 액에 넣어서 끓여 염액을 얻는다.
• 칡의 각 부분을 약용한다.

(1) 葛根(갈근) - ① 덩이뿌리는 갈근이라 하며, 봄, 가을에 뿌리를 캐어 외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갈근에는 isoflavone 성분의 puerarin, puerarin xyloside, daidzein, β-sitosterol, arackin산(酸) 또는 다량의 전분(신선한 갈근에는 19~20%)이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發汗(발한), 해열, 鎭痙(진경), 解飢(해기), 透疹(투진), 止渴(지갈), 止瀉(지사), 升陽(승양)의 효능이 있다. 傷寒(상한)에 의한 溫熱頭痛(온열두통)으로 목덜미가 굳어지는 것, 煩熱(번열)에 따른 消渴(소갈), 泄瀉(설사), 이질, 반진불투), 고혈압, 心絞痛(심교통-협심증), 難聽(난청)을 치료한다.

(2) 葛蔓(갈만) - 칡의 덩굴로, 癰腫(옹종), 喉痺(후비)를 치료한다.

(3) 葛葉(갈엽) - 잎에는 robinin 0.17~0.35%가 함유되어 있다. 切傷出血(절상출혈)에 갈엽을 비벼서 부드럽게 하여 붙인다.

(4) 葛花(갈화) - 8월 상순 무렵, 꽃이 만개하기 전에 따서 경엽(莖葉)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酒毒(주독)을 풀어 술을 깨게 하는 효능이 있다. 傷酒(상주)에 의한 發熱(발열), 煩渴(번갈), 惡心(악심), 식욕부진, 嘔逆吐酸(구역토산), 吐血(토혈), 內痔(내치) 및 腸風下血(장풍하혈)을 치료한다.

(5) 葛穀(갈곡) - 종자를 갈곡이라 하며, 酒毒(주독)을 풀어주고 補心(보심), 淸肺(청폐)하는 효능이 있고 下痢(하리)를 치료한다.

(6) 葛粉(갈분) - 칡의 덩이뿌리를 물로 갈아서 맑은 웃물을 제거한 다음 침전물을 건조한 가루이다. 生津(생진), 止渴(지갈), 淸熱(청열), 除煩(제번)의 효능이 있다. 煩熱(번열), 口渴(구갈), 熱瘡(열창), 喉痺(후비) 등을 치료한다.

보호방안
황폐지 및 절토면 피복을 위하여 많이 심고 있으나 산복부와 산간계곡부에서는 사람들이 채취를 하지 않으므로 자연번성하여 조림목 및 유용수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많아 오늘날에는 문제식물로 등장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1. 구분
콩과의 잎지는 넓은잎 덩굴나무로 밑동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며 이웃 나무나 바위에 기대어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길이 10m 정도로 뻗어 나간다.

2. 서식지
산 100~1,200m 고지의 양지바르고 토질이 좋은 기슭이나 언덕에 주로 서식한다. 군락성이 강하다.

3. 특징
넓은 잎이 3장씩 나오며 줄기와 열매에 잔털이 많다.


홈이 있고 갈색 잔털이 있는 잎줄기에 길이 10~15㎝ 정도의 잎이 3장씩 달리며 2장은 아래쪽에 마주 나고 1장은 위쪽에 붙는다. 끝이 뾰족한 둥근 마름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3갈래로 얕게 갈라지기도 한다. 어릴 때는 갈색 잔털이 많다. 뒷면은 허옇다. 잎자루는 길이 1~2㎝ 정도 되고 갈색 잔털이 있으며 가는 바늘 모양의 턱잎이 있다.


8월에 잎 달린 자리에 붉은빛 도는 자주색으로 핀다. 같은 길이로 어긋나게 갈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1.8~2.5㎝ 정도의 꽃이 달린다. 꽃잎은 5장이며 바깥에는 안에 노란 무늬가 있는 큰 꽃잎, 중간에 작은 날개 모양의 꽃잎 2장, 안쪽에 새부리처럼 모여 암술과 수술을 감싸는 꽃잎 2장이 나비 모양을 이룬다. 꽃받침잎은 5갈래로 뾰족하게 갈라지며 흰 보라색을 띤다.

열매
9~10월에 길고 억센 갈색 잔털이 빽빽한 길이 4~9㎝ 정도에 너비 8~10㎜ 정도 되는 납작하고 긴 꼬투리 열매가 갈색으로 여문다. 다 익으면 꼬투리가 갈라져 갈색 씨앗이 튀어 나온다. 겨울에도 가지에 매달려 있다.

줄기껍질
아주 어린 나무는 녹색을 띠고 모가 져 있다. 묵을수록 밝은 갈색을 띠고 세로로 얇게 갈라지며 점차 검은 갈색이 된다. 흰색의 퍼진 잔털과 누운 잔털이 있으며 가로로 껍질눈이 있어 울퉁불퉁하다.

줄기 속
밝은 노란색을 띤다. 한가운데에는 갈색의 작고 무른 속심이 있으며 잘 썩어들어 간다. 섬유질이 많아 질기다.

가지
햇가지는 녹색을 띠며 어릴 때는 갈색 잔털이 빽빽하다. 색을 띠다가 점차 색이 되며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겨울눈
잎 떨어진 자리에 나오며 조금 볼록하다. 회갈색을 띤다.

4. 용도
약용: 술독, 간 질환, 고혈압
식용: 죽, 묵

민간요법

뿌리(갈근, 葛根) · 새순(갈용, 葛茸) · 꽃(갈화, 葛花) · 씨앗(갈곡, 葛穀)
뿌리는 겨울에, 새순은 봄에, 꽃은 여름에, 씨앗은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술독 푸는 데, 간 질환, 고혈압에 말린 것 1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간혹 뿌리에 물이 차는 경우가 있는데 그대로 약으로 쓴다.

식용방법
말린 뿌리를 가루 내어 자루에 넣고 치대어 전분을 낸 뒤 죽이나 묵을 쑤어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약초도감, 2010. 7. 5., 솔뫼(송상곤))
~~~~~~~~~~~~~~~~~~~~~~~~~~~~~~~~~~~~~~~~~

정의
콩과에 속하는 만경식물(蔓莖植物).

내용
학명은 Pueraria lobata (Willd.) Ohwi이다.

산야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로서 10여m까지도 자라지만, 겨울동안 윗부분은 말라죽는다. 뿌리는 굵고 깊게 들어간다. 잎은 3개의 소엽으로 된 3출엽(三出葉)인데, 소엽은 마름모꼴에서 난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과 3개로 갈라진 것이 있고, 길이 10∼15㎝로서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고 길이 10∼20㎝ 정도로서 털이 있고, 밑에 2㎝ 내외의 탁엽(托葉)이 있다.

꽃은 8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길이 10∼25㎝ 정도의 꽃대에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린다. 양봉가들의 말에 의하면 칡꽃은 길이가 2㎝ 내외에 달하지만, 통이 좁고 깊어서 밀원식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한다. 꼬투리는 넓은 선형이며 편평하고 길이 4∼9㎝, 너비 8∼10㎜로서 퍼진 긴털로 덮였으며, 종자는 9∼10월에 익는다.

사방공사 등에서 한때 많이 심었으나 토양이 안정됨에 따라 무성하게 자라서 주변의 큰 나무로 기어 올라가 말라죽게 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곳에서는 칡을 제거하기 시작하였으며, 칡을 제거하는 기계도 개발되었다.

칡 자체는 가축사료로 사용하여 왔고, 껍질은 벗겨서 섬유자원으로 활용하였다. 한때는 벽지를 만들 수 있는 좋은 섬유자원이기도 하였다.

칡꽃
은 주독을 없애고 하혈에 효과가 있다고 하여 민간약으로 애용되었다. 또, 뿌리에는 전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흉년에는 구황식품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각 가정에서 칡뿌리를 채취하여 전분을 내어 말려두었다가 가루로 만들어, 묵·죽·응이 등의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한방에서는 뿌리가 발한(發汗)·해열·진경(鎭痙)·승양(升陽)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약재로 사용된다. 칡의 뿌리를 삶은 물은 칡차라 하여 건강음료로 팔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개요
칡속(Pueraria) 식물은 전 세계에 35종이 있으며, 인도에서 일본까지 그리고 남쪽으로는 말레이시아까지 분포한다. 중국에는 8종 및 2종의 변종이 있으며, 주로 서남, 중남 및 동남부의 각 성에 자생하는데, 오늘날 약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모두 5종이다. 이 종은 주로 중국과 동남아에서 호주까지 분포한다.

‘갈근’의 명칭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중품으로 처음 기재되었다. 중국 고대 본초서적에도 다수의 기록이 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갈근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으로 수록하였다. 칡은 중국 각지에서 모두 생산되며, 호남, 하남, 광동, 절강, 사천 등이 주요산지이다. 《대한민국약전》(제11개정판)에 ‘갈근’을 “칡(Pueraria lobata Ohwi, 콩과)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으로 등재하고 있다.

칡에는 주로 이소플라본과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푸에라린이 다양한 방면에서 효능을 나타내는데, 이 성분은 중약 갈근의 품질관리를 위한 주요성분 가운데 하나이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갈근에 함유된 푸에라린의 함량을 2.4%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갈근에는 심근허혈(心筋虛血)에 대한 보호, 항심율실조(抗心律失調), 혈관확장, 혈지강하, 혈당강하, 항골질유실, 간 보호, 항종양 및 해열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갈근에는 해기퇴열(解肌退熱), 발표투진(發表透疹), 생진지갈(生津止渴) 등의 작용이 있다.

함유성분
뿌리에는 이소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puerarin, daidzein, daidzin, 3’-hydroxypuerarin, 3’-methoxypuerarin, 6”-O-D-xylosylpuerarin, biochanin A, formononetin, genistein, tectorigenin, 3’-hydroxypuerarin-4’-O-deoxyhexoside, 3’-methoxy-6”-O-D-xylosylpuerarin, 사포닌 성분으로 sophoradiol, cantoniensistriol, soyasapogenols A, B, kudzusapogenols A, C, kudzusapogenol B methylester의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류와 kudzusaponins A1, A2, A3, Ar, SA4, SB1, soyasaponins SA3, I과 같은 사포게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꽃에는 이소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irisolidone, kakkalide, formononetin, genistein, daidze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심혈관계통에 대한 영향
1) 심근허혈 보호
푸에라린을 개에 정맥주사로 투여하면 심근경색이 발생한 개의 관상동맥 측지순환의 개방과 형성을 촉진하며, 혈소판응집을 억제하고, 혈액의 점도를 저하시켜 미세순환을 개선한다. 푸에라린을 Rat에 경구투여하면 심근허혈 재관류에서 발생하는 세포괴사를 억제하며, bcl-2의 증가와 함께 Bax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심근허혈에 대한 보호작용을 나타낸다.

2) 항심박실조
푸에라린은 in vitro에서 Rat 심근세포의 L형 칼슘이온통로와 칼륨세포내입통로(Ikl)를 억제함으로써 항심박실조작용을 나타낸다.

3) 혈지강하
푸에라린을 경구투여로 고지혈증이 있는 Rat에 투여하면 트롬복산 A2와 프로스타글란딘의 비율(TXA2/PGI2)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고콜레스테롤 Rat의 죽상동맥경화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그 콜레스테롤 강하효과는 간장의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4) 기타
푸에라린은 in vitro에서 혈관평활근세포(VSMC)의 자멸을 촉진하는데, 이는 포도당 조절 단백 94 유전자와 관련이 있다. 푸에라린은 또한 적출된 Rat의 흉부 주동맥을 확장시키는데, 이는 내피 의존성 발현은 아니다. 푸에라린을 Rat에 경구투여하면 당뇨병에 따른 혈관질환이 발생한 Rat의 혈장 ET-NO, ET-ANF 간 동태평형을 유지하도록 조절하며, 당뇨병 Rat 주동맥의 비효소 당화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병 혈관병변의 발전을 방지한다. 그 밖에도 갈근의 플라보노이드는 in vitro에서 신경 펩티드 Y에 의해 유도된 VSMC의 증식 및 심근 비대에 대해 길항효과가 있다.

2. 당대사 조절
푸에라린을 스트렙토조토신에 의해 당뇨병이 발생한 Rat의 정맥에 주사하면 α-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을 통하여 β-엔돌핀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혈당강하작용을 나타낸다. 푸에라린을 복강에 주사하면 당뇨병에 걸린 Rat의 신사구체 기질단백효소 2, 10(MMP-2, 10) 및 금속단백분해효소 조직억제제 1, 2(TIMP-1, 2)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Rat의 신장기능을 보호한다.

푸에라린의 복강주사는 또한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고 Rat의 지방세포 포도당전환단백4(GLU4)의 발현 빈도를 억제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당분 섭취를 촉진한다. 푸에라린을 경구로 투여하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통하여 과산화물로 인한 Rat 췌장세포의 손상을 보호한다. 그 밖에 복강주사로 푸에라린을 투여하면 Rat 골격근 내의 프로테인키나아제 B의 발현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다.

3. 뇌신경계통에 대한 영향
푸에라린에는 식물류 여성호르몬 작용이 있으며, 복강주사를 통해서는 해마체의 글루탐산/GABA 시스템에 영향을 주어 난소를 절제한 Rat의 학습과 기억능력을 개선한다. 푸에라린의 복강주사는 또한 Rat의 뇌시상하부 5-하이드록시트리프타민(5-HT)의 활성 또는 5-HT2A 수용체의 길항을 통하여 체온을 강하하는 작용을 나타낸다. 그 밖에도 Rat의 뇌허혈로 인한 신경손상에 대해서도 보호작용이 있으며, 지발성 신경원 괴사를 지연시키는데, 그 작용기전은 항괴사인자 bcl-2, 전환생장인자 β1 및 열 쇼크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 등과 관련이 있다.

푸에라린의 복강주사는 알츠하이머 모델 Rat 뇌조직의 Aβ1-40과 Bax의 발현을 저해하며, Aβ의 신경독성을 억제함으로써 뇌피층과 해마신경원의 괴사를 경감하여 신경보호 및 항치매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푸에라린은 in vitro에서 선립체의 기능실조를 억제하며, 카스파제-3 유사 효소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MPP+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 PC12의 신경독성 유도에 대해 보호작용을 나타낸다. 그 밖에 갈근의 에탄올 추출물과 푸에라린은 in vitro에서 에탄올에 의한 태아 Rat의 해마세포에 대한 산화적 손상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4. 항골질유실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푸에라린에는 골질세포 UMR106의 세포합성과 알칼리포스파타제의 분비를 촉진하며, 성골세포의 증식과 분화 및 골화를 촉진함으로써 파골세포성 골질흡수를 직접적으로 억제한다.

5. 간 보호
갈근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류 성분은 in vitro에서 배양된 Mouse의 간 조직에 대해 면역손상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는데, 관련 기전연구를 통하여 C-29의 하이드록시 그룹과 C-5의 산화 그룹이 간 보호 활성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푸에라린을 경구투여하면 간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데, 간성상세포(HSC) 자멸 활성을 유도하며, Mouse 간세포의 리버스 섬유화를 호전시킬 뿐만 아니라 CCl4에 의한 Rat의 급성 간 손상에 대해서도 보호작용이 있다.

6. 기타

푸에라린에는 급성 폐 손상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으며, 항종양 및 여성호르몬 유사작용이 있다. 야갈화의 에탄올 추출물은 중추신경계에 알코올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해 보호효과가 있으며, 뿌리로부터 추출한 스피나스테롤은 항종양활성이 있다. 또한 다이드진과 다이드제인에는 해열과 진통작용이 있다. 또한 갈근의 사포닌에는 항보체활성이 있다.

용도
갈근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해기퇴열[解肌退熱, 해기(解肌)시키고 열이 물러나도록 함], 투발마진(透發痲疹, 마진을 통하게 하여 발산시킴), 생진지갈(生津止渴, 진액을 생기게 하고 갈증을 없애 줌), 승양지사(升陽止瀉) 등의 효능이 있으며, 외감표증[外感表證, 외감(外感)으로 인해서 발생한 표증(表證)], 마진불투(麻疹不透, 홍역이 아직 투발되지 않은 것), 열병구갈(熱病口渴, 열병으로 인해 목이 마르는 증상), 음허소갈[陰虛消渴, 음허로 인한 소갈(消渴)], 열설열리(熱泄熱痢, 열로 인한 설사), 비허설사[脾虛泄瀉, 비(脾)가 허하여 설사를 하는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고지혈증, 고혈압, 관심병(冠心病, 관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 편두통, 뇌동맥경화, 허혈성 중풍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중국약전》에는 동속식물인 감갈등[甘葛藤, Pueraria thomsoni Benth, 중약명은 분갈(粉葛)]의 뿌리를 약으로 수재하고 있다. 감갈등 뿌리의 성분과 약리작용은 야갈과 동일하다. 그 밖에 인도갈근(印度葛根, P. tuberosa (Roxb. ex Willd.) DC.)과 태국갈근(泰國葛根, P. mirifica Airy Shaw et Suva.)에 대한 함유성분 연구가 비교적 다양하게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술한 4종의 갈근에는 매우 풍부한 이소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푸에라린, 다이아드진 및 다이드제인을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푸에라린이 칡속 식물의 특정성분으로 그 함량 또한 이소플라보노이드류 화합물 중 가장 많다.

푸에라린은 갈근의 주요 활성물질 가운데 하나로, 그 제제인 푸에라린 주사액은 임상에서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합병증 및 안과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푸에라린 주사액이 과민성 쇼크 및 급성 용혈로 인하여 사망에 이르는 등 비교적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동속식물인 삼열야갈은 공업적으로 푸에라린을 추출하기 위한 내원식물 가운데 하나이다.

갈근은 중국위생부에서 규정한 약식동원품목 가운데 하나이다. 갈근에서 정제한 고급 전분을 갈분(葛粉)이라고 하며, 칼슘, 아연, 철분, 구리, 인, 칼륨 등 인체에 필수적인 10여 종의 미량원소 및 다량의 아미노산과 비타민 등을 함유하고 있다. 야갈은 중국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생산량이 풍부하여 중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 사용된 역사가 매우 길다. 따라서 야갈은 식품첨가제 및 보건식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과 시장성을 겸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야갈은 뿌리부위뿐만 아니라 꽃, 잎, 덩굴, 씨 등도 약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야갈화와 씨에 숙취를 해소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야갈화와 씨에 대한 개발과 연구를 통한 숙취해소 약물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野葛, Kudzu]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2,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 칡은 전국 어디서나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어떤 식물이든 상관없이 제압할 수 있는 왕성한 적응력이 사람들을 질리게 하지만 긍정적인 면도 아주 많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 동남아시아 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길이 10m, 직경 20cm까지 자랄 수 있고, 특히 1차 천이식물로 황폐한 척악지에서도 거침없이 번성할 수 있는 탁월한 능력이 있어서 이런 특성을 잘 이용하면 훌륭한 쓰임새를 찾을 수 있다.

칡은 줄기가 뻗어 갈 때 왼쪽으로 꼬여 자라는 데 반하여 등나무는 오른쪽으로 꼬여서 자라는 다른 습성을 가지고 있어 두 종류의 덩굴이 뒤엉키니 얼마나 복잡하고 혼란스러울까? 하여튼 땅심이 좋고 양지바른 산기슭이나 계곡에서 어떤 나무라도 감고 올라가서 끝내 그 나무는 사람이 살펴주지 않으면 죽음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칡이 우리에게 해만 끼치는 것이 아니라 알게 모르게 고마운 것들도 너무 많다.

우선 8월 중순경에 피는 길이가 2~3cm 되는 홍자색 꽃이 향기와 함께 매우 아름다우며, 꿀이 많이 들어 있어서 꽃피는 식물이 귀한 시기에 양봉 농가에 도움이 된다.

칡뿌리에서 나온 녹말은 갈분이라고 하여 여러 종류의 녹말 중에서 가장 우수해서 병자나 어린 아이 영양식으로 아주 좋다. 또한, 갈분은 갈증과 주독을 풀어 주며 이뇨 작용에도 효험이 있어 한방에서 많이 사용한다. 생장 휴지기에 칡뿌리를 캐서 껍질을 벗겨 잘게 썰어 말렸다가 달여 먹으면 그것이 갈근탕으로 맛도 좋고 감기에도 좋다.

소주에다 칡즙을 넣으면 알코올 함량이 15% 정도 줄어들고, 만약 채로 썰어 넣으면 17%나 알코올 도수가 떨어져 숙취 해소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칡즙은 인체에 해로운 각종 독을 중화해주고 열을 내리게 하는 작용을 하여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두보가 “고운 갈포 옷 속에 바람이 인다”라고 하였듯이 갈포 베옷은 매우 시원하여 옛날 서민들이 옷을 만들어 입었으며, 가끔은 상복으로도 쓰이고 칡 섬유로 실을 만들어 짠 고급 벽지도 생산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우리 생활 속의 나무, 2008. 3. 25., 정헌관)
~~~~~~~~~~~~~~~~~~~~~~~~~~~~~~~~~~~~~~~~~

형태분류
줄기: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며 왼쪽으로 감는다. 굵은 땅속줄기(地下莖)가 발달하고, 기부는 목질화되지만 초본성이다. 식물체에 갈색 억센털(剛毛), 백색 퍼진 털, 뒤로 구부러진 털이 있다.

: 어긋나며(互生), 긴 잎자루 끝에 3출복엽(三出複葉)으로 나고, 작은잎(小葉)은 밤과 낮을 구별할 정도로 수면운동을 한다.

: 7~8월에 잎겨드랑이(葉腋)에서 나비모양의 홍자색(드물게 백색)으로 피며, 모인꽃차례(總狀花序)다.

열매: 콩열매(荳果)로 갈색 억센털(剛毛)이 밀생한다.

염색체수: 2n=22

생태분류
서식처: 산지 숲 가장자리, 산기슭, 농촌 경작지 근처, 들판 언저리, 초지, 길가, 제방, 양지, 적습(適濕)~약습(弱濕)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산지대 이하
식생지리: 냉온대~난온대,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광역 분포(중국, 만주, 우수리, 일본, 대만 등)
식생형: 임연식생(망토식물군락)
종보존등급: [V] 비감시대상종

칡은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츩으로 기재되어 있다. 칭칭 감는다는 칠기에서 유래할 것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는 향명으로 叱乙(질을)이라 기록했는데, 한자를 차자(借字)해 ‘칡’이란 소리를 드러내고 있다. 등나무는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지만, 칡은 왼쪽으로 감고 올라간다. 칡과 등(藤)나무가 얽힌 것이 갈등葛藤이다(등나무 참조).

속명 푸에라리아(Pueraria)는 스위스 식물학자 이름(M. N. Puerari, 1765~1845)에서 유래하며, 종소명 로바타(lobata)는 잎이 넓으면서 얕게 갈라진 형태를 의미한다. 영어명 쿠주(Kudzu)는 일본이름을 그대로 채택한 것이다. 그런 일본명은 갈분(葛粉) 생산지로 유명한 요시노(奈良県 吉野)의 쿠주(国栖) 지방 이름에서 유래하고, 가을을 대표하는 7가지 가을 식물(秋の七草) 중 하나이다.

칡뿌리는 비대한 전분 덩어리, 즉 갈분(葛粉)으로 이용되고, 뿌리 자체를 약용, 식용하며, 잎과 꽃도 여러 가지 용도로 쓰였지만, 오늘날에는 왕성한 생활력과 번식력 때문에 나쁜 식물로 인식된다. 하지만 칡은 자연림처럼 자연이 잘 보존된 생태계에는 살지 않고, 일부러 조성한 조림지나 산불 난 곳, 벌채된 곳, 무덤을 만들어 놓은 곳처럼 인간에 의해 변형되고 파괴된 곳에서만 산다.

그러니까 칡이 번성한다는 것은 사실상 사람의 간섭에서 비롯한다. 칡이 우점하는 군락은 집중강우로부터 도로 절개지에서 토사가 침식되고 붕괴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유용 식생자원이다.

칡은 동아시아 냉온대지역의 임연식생을 대표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종이다. 일본열도보다는 동북아시아 가운데 우리나라 한반도가 분포의 중심지이고, 민족식물자원으로 이용된 역사도 아주 오래다. 드물지만 동남아 아열대지역에도 분포한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일본으로부터 수입해 가서 심은 것에서 기원한다. 미국 동남부 여러 주(온대지역)에서는 도로 비탈면을 피복하거나 목초로 이용했다. 현재는 생태계를 교란하는 심각한 위해귀화식물(침투귀화식물종, invasive alien species)로 취급한다.

특히 칡이 우점하면 식물사회의 종 다양성이 크게 빈약해지는 것과 식생 회복과정이라 할 수 있는 천이를 방해한다는 것을 문제 삼고 있다.하지만 칡 군락이 분포한다는 것은 그만큼 집약적인 사람의 간섭이 있었다는 증거이고, 그러한 간섭이 반복된다는 증거다.

그러니 칡이 싫으면 자연생태계에 인간이 간섭을 덜 하면 될 일이다. 칡은 사람이 간섭하지 않은 자연림에서는 살 수 없다. 칡은 발아에서부터 살아가는 일생동안 빛이 없으면 못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빛만 조절해주면 칡은 통제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Kudzu, クズ, 野葛]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김종원)
~~~~~~~~~~~~~~~~~~~~~~~~~~~~~~~~~~~~~~~~~

1. 특징
길게 뻗어 감아 올라가는 덩굴성의 나무로 긴 것은 10m를 넘는 것도 있다.

줄기는 가늘고 많은 잔털이 나 있는데 끝부분은 겨울에 말라죽어 버린다.

잎은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긴 잎자루에 3장의 잎 조각이 붙어 있다. 잎 조각의 생김새는 마름모꼴 또는 계란 꼴이다. 잎의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고 밋밋한데 때로는 얕게 셋으로 갈라지기도 한다. 잎 조각의 길이와 너비는 5~10cm이고 양면에 잔털이 있다. 잎겨드랑이에서 곧게 자라나는 꽃대에 많은 나비 꼴의 꽃이 이삭 모양으로 뭉쳐 핀다. 꽃이삭의 길이는 10~25cm 정도나 되며 꽃은 보랏빛을 띤 분홍빛이다.

꽃이 핀 뒤에 길이가 4~9cm쯤 되는 꼬투리가 여러 개 달리는데 갈색 털로 덮여 있다.

2. 분포
전국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산의 양지쪽에 나며 흔히 나무 줄기를 감아 올라간다.

3. 약용법
생약명
뿌리를 갈근(葛根), 꽃을 갈화(葛花)라고 부른다.

사용부위
뿌리와 꽃을 각기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뿌리는 가을 또는 봄에 굴취하여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잘게 썰어서 쓴다. 꽃은 완전히 피었을 때 채취해서 햇볕에 말려 그대로 쓴다.

성분
다이드제인(Daidzein), 다이드진(Daidz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뿌리는 고열, 두통, 고혈압, 뒤통수가 당기는 증세, 설사, 이명 등의 치료약으로 쓴다. 꽃은 식욕부진, 구토, 장출혈, 주독으로 인한 여러 증세 등을 다스리는 약으로 쓰인다.

용법
뿌리는 1회에 4~8g, 꽃은 2~4g을 200cc의 물로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4. 식용법
뿌리로부터 녹말을 채취하여 식용으로 하며 연한 순을 나물로 하거나 쌀과 섞어 칡밥을 지어먹는다. 또한 뿌리로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잎을 말리거나 볶듯이 익혀 차 대용으로 해도 좋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

♣ 칡은 한자로 갈(葛) 또는 갈등(葛藤)이라 한다. 칡이라 하면 옛날에는 일반 대중에게는 곡물이 아니면서도 우리의 식생활에 크게 기여한 귀중한 구황식량이었고 상류층에서는 자양강장제로 쓰여졌다.
ㅍ그러나 오늘날에는 '춘궁기'라는 낱말이 사라진 지 이미 오래이므로 칡뿌리로 주림을 면하던 말은 옛 얘기로 남게 된 반면 칡보다 갈(葛)이란 말이 더 익숙해진 느낌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갈포지(葛布紙)다.

이 갈포지는 칡덩굴의 껍질의 섬유(內皮)로 짠 베로 고급 벽지를 생산하여 수출함으로써 귀중한 외화를 벌어들이고 있으므로 국익(國益)에 기여하고 있는 쾌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갈포가 어제오늘에 개발된 것은 아니다. 아득한 옛날 상고시대(上古時代)부터 이용되었는데 그때에 상류층은 털가죽옷과 삼베옷을 입었고 평민(천민)은 갈포로서 옷을 만들어 입었다고 한다.

이 옷을 갈의(葛衣)라 했으며 갈포로 만든 두건을 갈건(葛巾), 갈포로 만든 적삼을 갈삼(葛衫)이라 했다.

갈옷은 오늘날 자취를 감추었으나 제주도에서는 칡으로 만든 풋감으로 물들인 옷을 '갈옷'이라 이름하여 아직도 즐겨 입고 있다.

또 제주도에는 '정당벌립'이라는 모자가 있는데 갈옷과 함께 아직도 이용된다.

이 모자는 '정당'이라는 칡덩굴로 '벌립'이라는 털벙거지 같은 모자를 만들어 썼는데 이것은 고려 충렬왕 때 몽골이 목장 조성을 위하여 제주도를 점거한 후 쫓겨가기까지 97년 동안 몽골의 문화를 남긴 것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이 모자는 목동이 마소를 뒤쫓아 산림 속을 헤쳐 나갈 때 가시덤불이나 나뭇가지에 걸리지 않고 미끄러져 빗나가 머리나 얼굴을 긁히거나 상하지 않게 해 준다.

칡의 섬유를 '청올치' 또는 '칡오락이'라 하며 갈포를 짤 뿐만 아니라 새끼 대신 물건을 동여매는 데도 쓰였다.

이 습관이 우리 민속에 남은 것은 갈질(葛絰)이라 하여 아버지나 어머니의 상을 당해 상복을 입을 때 굴건의 수질(首絰), 즉 두건 위에 쓰는 테를 칡껍데기로 종이를 사이에 끼우며 감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 수질이나 요질(腰絰)은 지금은 가정의례준칙 간소화로 사라져서 민속박물관에서나 찾아볼 수 있으나 칡이 쓰인 역사의 한 가지로 남겨진 민속이 되었다.

또 나쁜 병으로 사람이 죽으면 수세걷음할 때 머리통을 칡으로 묶는데 이것은 시체에 붓기가 없도록 하고 병균이 전염되지 말라는 예방으로 행한 풍속이었다.

제주도에서는 육지에서 쑥으로 불씨기둥을 만들어 들에서 이용하듯이 '미삐쟁이'를 칡끈으로 묶어 불을 붙여 불씨를 이어주는 데 사용했으며 이것을 화심(火心)이라 했다.

또 칡뿌리의 끝을 두들겨 붓(毛筆) 대신으로 쓰기도 했다. 칡덩굴은 삼태기, 광주리, 바구니 등을 만들기도 했으나 사냥꾼들이 산속에서 임시로 머물기 위해 갈호(葛戶)라 하는 칡덩굴로 문짝을 엮은 집을 짓기도 했다는 것이다.

칡뿌리는 녹말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이 녹말을 채취한 것을 갈분(葛粉)이라 하여 서민에게는 구황식량이었으나 상류층에는 별식의 재료였다.

갈분에 녹두가루를 반죽하여 '갈분국수'도 만들고 갈분에 생강즙을 타고 꿀에 반죽하여 '갈분다식'도 만들었으며 갈분에 메밀가루를 섞어 찐 '갈분개떡'도 있었고 멥쌀가루와 섞어 쑨 '갈분죽'도 있었다.

이 음식들은 '산림경제'에도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조선조 때부터 있어온 우리의 민족식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찾아볼 수 없는 잊혀진 음식들이다.

그러나 갈분을 묽게 쑤어 생강즙과 꿀을 탄 '갈분의이(葛粉薏苡)'는 술이 깬 뒤에 먹는 음식으로서 유명했는데 오늘날 애주가의 아내들이 익혀두면 좋은 민속식이라 할 수 있다.

칡뿌리는 한방에서 해열, 건위, 정장 등의 약효가 있어 달여서 이용했는데 이것을 '건갈(乾葛)'이라 한다. 칡꽃은 갈화(葛花)라 하여 주독(酒毒)을 풀며 하혈을 멎게 하는 효험도 있다는 것이다.

제주도에서는 칡을 '곡불히'라 하며 갈분으로 엿을 고아 '갈근엿'이라 하고 위장병에 좋다고 하여 먹었다.

대관령의 칡에 얽힌 민담이 있다. 고려조의 공신이었던 강감찬(姜邯瓚, 949~1032)은 대관령을 넘나드는 보부상들이 칡덩굴이 너무 잘 자라서 길을 덮어 길을 잃기 일쑤며 칡에 뒤엉켜 보행이 어렵다고 호소하매 대관령에 나타나 칡잎에 무엇이라 글을 썼더니 그 후부터는 칡덩굴이 한 발을 넘지 않게 자라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경주 연못의 개구리의 울음을 멎게 했다는 강감찬의 비범함을 뜻한 얘기와 같은 것이다.

칡잎은 지혈작용이 있어서 연장에 베었을 때 잎을 비벼서 붙이면 지혈이 되며, 갈분을 물에 타서 약물중독이 된 환자에게 마시게 하면 해독의 효과가 크다 한다. 특히 옛날에는 부자(附子)를 잘못 써서 생긴 중독의 해독제로 귀중시되었다.

이토록 칡은 우리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와 과거나 현재 또 미래까지도 결코 쓸모없는 한낱 거추장스러운 덩굴은 되지 않을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칡 (한국민속식물, 1997. 2. 15., 최영전)
~~~~~~~~~~~~~~~~~~~~~~~~~~~~~~~~~~~~~~~~~


갈근
약리작용
1. 해열, 진경작용

2. 간보호작용

3. 심혈관계에 대한 활성
1) 항-고혈압
2) 혈관이완
3) 항-허혈

4. 중추신경계에 대한 활성
1) 뇌의 혈관이완
2) 항-세포자멸사
3) 신경보호 활성
4) 항-우울
5) 알콜 금단 연관

5. 당뇨 및 당뇨합병증에 대한 효과

1) 항당뇨병
2) 당뇨병성 안구 합병증 예방
3) 당뇨병성 혈관 기능장애 예방
4) 당뇨병성 신병증(nephropathy)의 예방

6. 항-고콜레스테롤혈증

7. 항염증

8. 항응고 작용

9. 항암작용

10. 기타

전통적으로 갈근은 심혈관 질환 및 2형 당뇨의 치료에 사용했으며 , 이외에도 해열, 진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했습니다. 때문에 갈근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전통적 사용과 관련된 방향으로 진행되었는데, 연구의 결과들은 전통적인 갈근 사용법을 지지합니다.

갈근은 종종 고혈압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데, 심혈관계 작용에서 중요한 성분은 갈근의 puerarin입니다. puerarin의 항고혈압 활성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80년대로, 아드레날린으로 유도한 고혈압 반응을 약화시켰으며 그리고 양약인 베라파밀(verapamil)과 유사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연구되었습니다. 이러한 작용을 가지는 갈근은 본초와 조합되어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특히 단삼과 배오한 처방의 연구에서 갈근과 단삼은 관상동맥 환자의 지질 프로파일 및 혈관기능과 구조를 개선했으며, 항산화 작용, 혈관 이완,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기전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갈근은 중추신경계에 대한 약리 작용을 보입니다. 갈근은 고혈압에 대한 작용처럼 뇌혈관을 이완시키며, 신경보호활성을 가집니다. 또한 허혈성 뇌졸중 마우스모델에서 갈근추출물은 항우울 작용을 보였으며, 갈근의 puerarin 성분이 알코올 금단현상에서 칼슐채널 억제 등으로 금단현상에 의한 불안 증상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갈근은 항당뇨 활성으로도 유명한데, 이러한 작용 역시 갈근의 puerarin 성분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puerarin 성분은 동물모델에서 혈당을 감소시키며, 당뇨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GLUT4 단백 및 mRNA의 발현을 증가시킵니다. 이외에도 안구 및 신장병증과 관련된 합병증의 치료 및 예방 작용의 연구가 있습니다.

주의사항
갈근은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 프로파일을 보인다고 합니다. 동물을 이용한 급성 독성연구에 따르면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으나 갈근은 에스트로겐과 유사 작용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독성평가가 필요합니다.

in vivo, in vitro 연구 이외에 갈근, 단삼을 사용한 임상연구의 부작용 보고를 보면, 100명의 환자에게서 부작용 및 혈액지표의 이상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갈근 (한의사 공병희의 현대적 본초 읽기, 공병희)
~~~~~~~~~~~~~~~~~~~~~~~~~~~~~~~~~~~~~~~~~

갈근[ 葛根 ]
요약 한국, 중국, 일본 모두 콩과의 덩굴식물 칡(Pueraria montana var. lobata: Pueraria lobata 로도 표기)의 말린 뿌리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말린 뿌리를 말한다.

갈근이란 갈씨(葛氏) 집안의 뿌리, 즉 근원(根)이라는 뜻으로 갈씨 성을 가진 소년을 구해준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산속에서 약초를 캐는 노인에게 한 소년이 "저는 갈씨 성을 가진 사람의 외아들로서 간신의 모함으로 가족이 죽임을 당하고 저만 도망쳐 나왔으니 좀 구해주십시오"라고 하였다. 당시 갈씨 가문이 충신 집안이었던 터라 노인은 소년을 숨겨놓고 군사를 따돌렸다. 그후 소년은 노인과 가족처럼 살면서 약초를 배우게 되었는데 노인이 세상을 떠난 뒤 노인한테서 배운 의술로 병자를 고쳤으며 평소 잘 쓰던 약초의 이름을 자신의 성과 뿌리라는 뜻으로 '갈근'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 약재는 맛이 달면서도 매우며, 기운은 평해서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다.[甘辛平]

갈근은 근육을 풀어주면서 열을 내리는 기전으로 감기·고열·두통·근육통·뒷목의 뻣뻣함 등을 치료한다. 양기(陽氣)를 끌어 올리고 설사를 멈추게 할 때도 쓰인다. 또한 체내의 진액을 보충해주고 갈증을 멎게 하며, 술독(酒毒)을 풀 때도 사용한다. 그외에 이질(痢疾), 고혈압, 심장관련 질환, 당뇨, 암 등에 활용하고 있다. 칡의 생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사상의학에서는 태음인의 약으로 많이 쓰이는 약재이다.

주요 화학성분은 이소플라본의 일종인 puerarin, daidzin 등이다. 암세포에 대한 일부의 연구에서 칡뿌리의 추출물 또는 분말을 처리했을 때 유방암 세포의 증식을 저해하고 유방암 종양의 성장이 감소되는 결과가 보고된 적이 있다. 하지만 아직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니며 세포 또는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제한되고 있다.

칡의 열매는 갈곡(葛穀)이라 하며 만성적인 설사에 효과가 있고, 칡꽃인 갈화(葛花)는 독특한 단맛이 있으며 술독을 풀어 주고 장을 튼튼하게 한다. 칡의 순을 말린 갈용(葛茸)은 아이들의 성장을 돕는데 쓰이기도 한다. 칡가루는 갈분(葛粉)이라고 하며 갈근에 비해 기운이 차가운데, 갈증을 멎게 하고 대소변을 잘 보게 하며 어린이가 열이 나면서 명치끝이 아픈데 쓴다.

외형은 육면체로 잘게 썬 것 또는 판상이며 세로로 자른 것으로 바깥면은 회색이 도는 황색이나 백색이다. 가로로 자른 것은 섬유질이 있는 목부와 전분질이 있는 유조직이 서로 엇갈려서 세로무늬를 이룬다. 세로로 갈라지기 쉬우며 갈라진 면은 섬유가 매우 많다. 전분이 많아 칡국수, 칡냉면, 칡차, 농축액, 엿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덩굴을 이용한 갈포(葛布)는 고급 섬유로 이용되고, 잎은 사료로 사용된다.

갈근의 이명은 계제근(鷄薺根), 녹두(鹿豆), 건갈(乾葛), 감갈(甘葛), 분갈(粉葛), 황근(黃斤) 이라고도 한다. 사슴이 9종의 풀을 먹는데 갈근이 그 중 하나이기에 녹곽근(鹿藿根)이라고 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갈근 [葛根]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갈근[ 葛根 ]
딴 이름은 계제근(雞齊根) · 녹곽(鹿藿) · 황근(黃斤)이다. 칡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가을이나 봄에 뿌리를 캐 물에 씻어 겉껍질을 벗겨 버린 다음 적당한 길이로 자르고 굵은 것은 쪼개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서늘하다.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땀이 나게 하고 열을 내리며 체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갈증을 가시게 하며 발진이 잘 돋게 하고 알콜 중독을 없앤다.

약리피침대침실험(藥理披鍼大鍼實驗)에서 뿌리 추출물은 뚜렷한 해열 작용을 나타내고 성분 다이드제인은 파파베린과 비슷한 진경(鎭驚) 작용을 나타내며 total flavonoid는 뇌와 관상 혈관의 혈류량을 늘린다는 것이 밝혀졌다. 열이 나면서 땀은 나지 않고 가슴이 답답하며 갈증이 나고 목 뒤와 등이 뻣뻣해지는 데, 풍열감모(風熱感冒), 소갈병(消渴病), 홍역 초기, 설사, 이질, 고혈압증, 협심증 등에 쓴다. 하루 4~12g을 달여서 먹거나 생즙을 내어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갈근 [葛根]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갈근 한국전통지식포탈
콩과 (荳科 : Leguminosae)에 속한 다년생 등본(多年生藤本)인 칡 Pueraria thunbergiana Bentham 의 주피(周皮)를 제거한 근(根). 중국에서는 야갈(野葛) Pueraria lobata (willd.) Ohwi 혹은 감갈등(甘葛藤(분갈粉葛)) Pueraria thomsonii Benth. 의 근을 기원으로 한다.
외국어 표기 葛根(한자)

갈근 한국전통지식포탈
Pueraria thunbergiana, Pueraria lobata, Pueraria thomsonii의 덩이뿌리. 양(陽)을 올려서 외감병(外感病)초기 땀이 약간 나는 것과 홍역을 치료하며 설사를 멈추게 하고 가슴의 답답함과 갈증을 없애는 효능이 있는 약재임
외국어 표기 葛根(한자)

갈근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칡의 뿌리. 갈증 · 두통 · 요통 · 항강증(項强症) 및 상한(傷寒)등에 발한(發汗) 해열제(解熱劑)로 씀. 건갈(乾葛). 칡뿌리.
외국어 표기 root of kudzu(영어), 葛根(한자), かっこん(일본어)

갈근 한국고전용어사전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성 초본 식물인 칡의 뿌리. 음력 4, 5월에 채취하여 약재로 씀.
외국어 표기 葛根(한자)
용례 갈근은 질을 또는 부을전중이라 한다. ; 葛根 叱乙○夫乙田仲 [향약채취월령 4월채]
[네이버 지식백과] 갈근 (한국전통지식포탈, 한국전통지식포탈)
~~~~~~~~~~~~~~~~~~~~~~~~~~~~~~~~~~~~~~~~~

갈근[ 葛根 ]
다른이름 甘葛(감갈), 乾葛(건갈), 鷄齊根(계제근), 鹿藿根(녹곽근), 粉葛(분갈), 黃斤(황근)
약맛 감(甘) 신(辛)
귀경 비(脾) 폐(肺) 위(胃)
주치 高血壓, 口渴, 衄血, 毒蛇咬傷, 脾虛泄瀉, 消渴, 濕熱痢疾, 心絞痛, 耳聾, 疔瘡, 吐血, 風熱感冒, 癍疹不透

약용부위 뿌리

처방
갈근가반하탕(葛根加半夏湯) 출천 :의학입문
본초명 : 桂枝, 분량 : 1.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薑, 분량 : 3, 단위 :片
본초명 : 半夏,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芍藥,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棗, 분량 : 2, 단위 :個
본초명 : 麻黃,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葛根, 분량 : 3, 단위 :錢

갈근금연탕(葛根芩連湯) 출천 :의학입문
본초명 : 甘草,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葛根, 분량 : 3, 단위 :錢
본초명 : 黃連,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薑, 분량 : 3, 단위 :片
본초명 : 黃芩, 분량 : 2, 단위 :錢
본초명 : 棗, 분량 : 2, 단위 :個

금기
胃寒嘔吐者와 表虛汗多者는 복용을 禁한다.

산지
거창

효능
升陽止瀉, 除煩止渴, 淸熱解毒, 解肌發表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本經(본경)>: 갈증, 발열, 구토 및 저린 증상을 없애고 陰氣(음기)를 보충하고 解毒(해독)작용이 있다.

<別錄(별록)>: 風寒(풍한)의 邪氣(사기)로 인한 頭痛(두통)을 치료하고, 땀구멍을 열어 땀을 낸다. 창칼에 다친 상처와 風邪(풍사)의 침범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甄權(견권): 전염성 질환으로 기침과 구역질을 하는 것을 치료하며 胃(위)를 소통시켜 소화를 돕고 술을 해독한다.

池大明(지대명): 가슴이 답답하고 발광하는 증상을 치료하며 피가 섞인 이질을 그치게 하고 小腸(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고름을 배출시키고 어혈을 제거한다. 뱀이나 벌레 및 독화살에 맞은 상처에 붙인다.

徐之才(서지재): 파두와 같은 약의 독성을 제거한다.

陳藏器(진장기): 생으로 복용하면 낙태시킨다. 쪄서 복용하면 술독을 풀고 단식을 해도 배가 고프지 않으며, 가루를 내어 사용하면 더욱 좋다.

<開寶本草(개보본초)>: 가루를 내어 사용하면 갈증을 멎게 하고 대소변을 시원하게 하고 술독을 풀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는 증상을 제거한다. 熱性(열성)을 가진 광물성 약재의 독을 풀고 小兒(소아)의 熱(열)로 인한 부스럼에 붙이다. 약재를 찧어서 즙을 마시면 소아가 열로 인하여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치료된다.

蘇恭(소공): 미친개에게 물린 상처에는 약재를 찧어서 즙을 마시거나 가루와 함께 붙인다.

李時珍(이시진): 鬱火(울화)를 없앤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鷄齊(계제), 鹿藿(녹곽), 黃斤(황근)이 있다.

李時珍(이시진): 葛(갈)은 曷(갈)에서 나온 것으로 모두 形聲(형성) 문자이다. 사름은 9종의 풀을 먹는데 이것이 그중 한 종류이기 때문에 鹿藿(녹곽)이라고 하였다. 黃斤(황근)의 의미는 알 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갈근 [葛根]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


(종류 및 유사종)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 쥐방울덩굴과. 잎 모양이 칡과 비슷하게 생긴 목본성 식물이므로 "등칡"이라고 하나 "등나무"와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성질이 강건하므로 재배작물로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
▶칡(Pueraria lobata (Willd.) Ohwi): 콩과. 뿌리를 갈근(葛根)이라 하고,특히 1차 천이식생으로 황폐척악지에 침입하여 번성한다.


 

♣ 영양성분

 
니아신
0.70mg
나트륨
55.00mg
단백질
1.90g
당질
31.40g
레티놀
0.00㎍
베타카로틴
0.00㎍
비타민 A
0.00㎍RE
비타민 B1
0.12mg
비타민 B2
0.04mg
비타민 B6
0.08mg
비타민 C
6.00mg
비타민 E
0.70mg
식이섬유
2.40g
아연
5.20mg
엽산
13.30㎍

14.00mg
지질
0.40g
철분
2.60mg
칼륨
1,780.00mg
칼슘
15.00mg
콜레스테롤
0.00mg
회분
1.30g
   

영양성분 : 135kcal/100g 기준
[네이버 지식백과]  (쿡쿡TV)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