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우엉(우방자 牛蒡子)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국화과 (Asteraceae) 우엉속(Arctium) 두해살이풀, 알칼리성 학명(Arctium lappa L.) 영문명(Harlock) |
|
별명(이명) | 우방, 우채, 우방자, 악실, 우방근, 대력자 |
|
한약명/생약명 | 우방자(牛蒡子) |
|
분포지 | 귀화식물(歸化植物)이며, 전국 각지에서 재배, 원산지(유럽) | |
꽃피는 시기 | 7~8월(자주색,산방꽃차례), 꽃말(인격자,나에게 손대지 마오) | |
수확기(결실기) | 수학시기:8월 상순~10월 중순, 열매:8~9월(수과-여윈 열매,검은색) | |
용도 | 약용(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은 없다.),식용(뿌리,어린 잎) | |
약용 | (효능) 거풍열,소종,해독,항암,정장,향균,항바이러스,면연력 향상,항혈당,신장 보호 (적용질환) 당뇨병,이뇨제,발한제,인후통, 독충 해독제,風毒面腫(풍독면종-顔面浮腫(안면부종)), 眩暈(현운), 咽喉熱腫(인후열종), 齒痛(치통), 咳嗽(해수), 癰疽瘡疥(옹저창개),頭風痛(두풍통), 煩悶(번민), 創傷(창상),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피부의 風痒(풍양),변비,편도선염,기관지염 |
|
사용부위 | 뿌리,종자,잎 |
|
채취 및 조제 | ||
성분 | arctiin, l-arctigenin, isoarctigenin, archidic acid, alkaloid, 지방유 등 |
|
약효 및 용법 | ♣ 궁합음식정보 : 돼지고기 (우엉을 돼지고기와 함께 요리하면 산성 식품인 돼지고기를 중화시키며 돼지고기 특유의 누린내도 우엉 특유의 향으로 제거할 수 있다.) |
|
출처 | ||
해설 | ♣ 우엉은 ~~~~~~~~~~~~~~~~~~~~~~~~~~~~~~~~~~~~~~~~~ ♣ 높이 50∼150cm이다. 곧은뿌리가 30∼60cm 자라고 끝에서 줄기가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무더기로 나오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서는 어긋나며 심장 모양이다. 겉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뒷면에 흰 솜털이 빽빽이 나며,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검은 자줏빛이 돌며, 두화는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총포는 둥글고 포는 바늘 모양이며 끝이 갈고리처럼 생긴다. 꽃은 관상화이고 종자는 검은색이며 관모는 갈색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9월에 익는다. 강건하여 병이 거의 없고 추위에도 매우 강하며 토질을 별로 가리지 않는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유럽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품종으로는 뿌리가 길고 굵은 농야천과 육질이 좋고 뿌리가 짧은 사천 등이 있다. 조리법은 장아찌를 만들거나 조림을 하여 반찬으로 먹는다. 뿌리에는 이눌린과 약간의 팔미트산이 들어 있다. 유럽에서는 이뇨제와 발한제로 쓰고 종자는 부기가 있을 때 이뇨제로 사용하며, 인후통과 독충(毒蟲)의 해독제로 쓴다. 일본에서 많이 재배하며 유럽, 시베리아, 중국 동북부에 야생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분포 전국 각지에 분포 특징 잎 근생엽은 모여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심장형으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백색 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한다. 꽃 꽃은 7월에 피며 머리모양꽃차례는 원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상을 달리고 총포는 구형(球形)이며, 포편은 침형이고 끝이 갈고리모양이다. 꽃은 통상화뿐이며 검은 자줏빛이 돌고 잔꽃이 5갈래로 갈라지며 관모는 단형으로 강경(剛硬)하고 갈색이다. 열매 열매를 우방자(牛蒡子)라 한다.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줄이 있고 자줏빛을 띠며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 뿌리는 길이 30~60cm 정도 곧추 들어가고 육질이다. 생육환경 원포(園圃)에 난다. 번식방법 종자 번식한다. 이용방안 • 뿌리는 식용한다. • 과실은 牛蒡子(우방자), 根은 牛蒡根(우방근), 莖葉은 牛蒡莖葉(우방경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1) 牛蒡子(우방자) - ① 8-9월에 과실이 익은 후 거둬들여서 햇볕에 완전히 말린다. ② 성분: 과실은 arctiin을 함유하며, 그 aglycon은 l-arctigenin이다. 또 isoarctigenin이 있으며 2%의 KOH로 처리하면 arctigenin으로 변화한다. 그 밖에 脂肪油(지방유)가 25-30% 함유되어 있다. 脂肪酸(지방산) 중의 주요성분은 arachidic acid이다. 그 밖에 thfidd의 stearic acid, palmitic acid와 不飽和脂肪酸(불포화지방산) 속의 linol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B1도 함유되어 있다. 전초에 항균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祛風熱(거풍열),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熱咳嗽(풍열해수), 咽喉腫痛(인후종통), 斑疹不透(반진불투-발진이 쉽게 나오지 않는 경우), 瘙痒(소양)을 수반하는 風疹(풍진), 癰腫瘡毒(옹종창독)을 치료한다. (2) 牛蒡根(우방근) - ① 10월에 2년 이상된 뿌리를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우엉뿌리는 수분 약 70%, 단백질 약 2%, 糖分(당분) 약 25%(다량의 inulin을 함유한다), 灰分(회분) 약 0.6%를 함유한다. 또 抗腫瘍物質(항종양물질)을 함유하며 dichloromethane과 ethyl alcohol을 사용해서 추출할 수 있다. ③ 약효: 祛風熱(거풍열), 消腫毒(소종독)의 효능이 있다. 風毒面腫(풍독면종-顔面浮腫(안면부종)), 眩暈(현운), 咽喉熱腫(인후열종), 齒痛(치통), 咳嗽(해수), 消渴(소갈-당뇨병), 癰疽瘡疥(옹저창개)를 치료한다. (3) 牛蒡莖葉(우방경엽) - ① 성분: 잎이 항균물질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그 주된 것은 抗황색포도구균물질이다. 잎의 액즙도 일정한 작용을 한다. 항균성분의 함유율은 개화기가 가장 높다. 그러나 우엉은 항균성분을 파괴하는 산화효소도 함유하므로 채취 후 바로 ethyl alcohol의 蒸氣(증기)로 산화효소를 파괴한다. 이때 항균성분이 녹아 없어지지 않도록 하려면 우엉 위에 ethyl alcohol이 고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② 약효: 頭風痛(두풍통), 煩悶(번민), 創傷(창상), 急性乳腺炎(급성유선염), 피부의 風痒(풍양)을 치료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 중약명 우방자(牛蒡子) - 우엉(牛蒡, Arctium lappa L.)의 잘 익은 열매를 건조한 것 개요 우엉속(Arctium)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0종이 있으며 아시아와 유럽의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 2종이 있는데 모두 약으로 쓸 수 있다. 이 종은 유라시아 대륙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데 중국 남북 각지에 모두 분포한다. 우방자는 ‘악실(惡實)’이란 약명으로 《명의별록(名醫別錄)》에 중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의 본초서적에 많은 기록이 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우방자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동북, 절강, 강소 등지인데 동북의 생산량이 가장 많고 절강의 품질이 가장 좋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우방근을 “우엉(Arctium lappa Linne, 국화과)의 뿌리”로,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우방자를 “우엉의 잘 익은 열매”로 등재하고 있다. 우엉속 식물의 주요 활성성분은 리그난이다. 아르크티인 및 아크르티게닌은 우엉의 유효성분이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아르크티인의 함량을 5.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우엉에는 뚜렷한 항바이러스, 기체면역력 제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우방자는 소산풍열(疏散風熱), 선폐투진(宣肺透疹), 해독인후(解毒利咽) 등의 효능이 있다. 함유성분 열매에는 주로 리그난류 성분으로 arctiin, arctigenin, matairesinol, lappaols A, B, C, D, E, F, H, isolappaols A, C, neoarctins A, B, arctignans A, B, C, D, E, F, G, H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arctiin, arctigenin, flavonoids, quercetin-3-O-rutinoside, kaempferol-3-O-rutinoside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우엉 올리고당(BOS-2)과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항균, 항바이러스 우방자의 물 추출액을 in vitro에서, 근색모선균, 동심성모선균, 허란씨황선균 등 여러 가지 피부진균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아르크티게닌을 복용시키면 A형 인체독감바이러스(H1N1)로 유발된 Mouse의 폐렴병변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고, in vitro에서 직접적으로 H1N1의 복제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우방자의 알코올 추출물을 in vitro에서 파두유(巴豆油)와 낙산염으로 유발된 엡스타인바바이러스(EBV) 특이성 유전자효소, 유전자폴리메라제, 조기항원, 항원막 발현에 대해 모두 억제작용이 있다. 또한 I형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1)의 MT-4임파세포, U937세포 및 외주혈단핵세포(PBMC)에서의 복제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2. 항종양 우방자의 전제(煎劑)를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S180 이식종양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아르크티인과 아르크티게닌은 in vitro에서 간암세포 HepG2에 대해 강한 세포독성이 있고, 아르크티게닌은 in vitro에서 인체전골수성 백혈병세포 HL-60과 임파백혈병세포 MOLT-4의 생장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우방자의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은 in vitro에서 이선암 PANC-1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활성이 있고 아르크티게닌을 복강에 주사하면 면역억제 쥐 PANC-1 이식종양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3. 면역력 제고 우방자의 알코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정상적인 Mouse의 임파세포전화율과 α-초산나프탈린에스테르효소(ANAE)의 양성률을 뚜렷하게 증가시키고 항체생성세포의 형성과 대식세포의 탐식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Mouse의 면역계통의 효능을 증강할 수 있다. 4. 항혈당 우방자의 알코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포도당을 복용하여 당뇨병에 걸린 Mouse와 고혈당과 알록산으로 인해 당뇨병에 걸린 Mouse의 혈당수치를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5. 신장 보호 우엉 뿌리의 알코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α-글리코시다아제의 활성을 억제한다. 우방자의 알코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스트렙토조토신으로 인해 당뇨병에 걸린 Rat의 다음(多飲), 다식(多食), 체중감소 등의 증세를 뚜렷하게 개선할 수 있다. 또 뇨단백(尿蛋白)과 뇨미량백단백(尿微量白蛋白)의 수치를 낮출 수 있으며 신장 형질전환생장인자-1(TGF-1) mRNA, 단핵추화단백(MCP-1)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신장 피질세포막단백발현효소 C(PKC)의 활성을 낮출 수 있다. 6. 기타 아르크티인과 아르크티게닌은 혈소판활성인자(PAF)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아르크티게닌은 강렬한 칼슘이온 길항작용이 있으며 염화칼륨으로 유발된 실험용 Rat의 기관, 결장, 폐동맥, 흉강주동맥평활근의 수축과 염화칼슘으로 유발된 실험용 기니피그의 기관지평활근 수축에 대해 비경쟁성 억제작용이 있다. 아르크티인은 혈관을 확장하는 작용이 있다. 우엉의 올리고당은 in vitro에서 상기간균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용도 우방자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소산풍열[疏散風熱, 풍사(風邪)와 열사(熱邪)를 소산(消散)시키는 것], 투진이인(透疹利咽, 투진하고 인후를 이롭게 하는 것), 해독산종(解毒散腫, 해독하고 부종을 없애는 것) 등의 효능이 있으며, 풍열감모[風熱感冒, 감모(感冒)의 하나로 풍열사(風熱邪)로 인해 생긴 감기], 인후종통(咽喉腫痛, 목이 붓고 아픈 것), 마진불투(麻疹不透, 홍역이 아직 투발되지 않은 것), 옹종창독(癰腫瘡毒, 살갗에 생기는 종기가 곪아 터진 뒤 오래도록 낫지 않아 부스럼이 되는 병증), 자시후비[痄腮喉痹, 온독의 하나로 후내(喉內)가 아프고 부어올라 폐색(閉塞)되는 것], 변비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또 급 · 만성 인후염, 편도선염, 기관지염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중국의 신강 지역에서 나는 동속식물 모두우방(毛頭牛蒡, Arctium tomentosum Mill.)의 열매가 우방자의 약재로 쓰였으며, 임상약으로 쓰인 역사 또한 유구하다. 근래의 연구에서 모두우방 열매의 효능, 함유성분 및 약리작용 등은 모두우방자와 유사하고 아르크티인의 함량은 《중국약전》에 수록된 우방자의 함량 규격을 만족한다. 또 모두우방은 신강 지역에 광범히 분포하기 때문에 그 개발 및 용도에 대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 일본, 한국과 유럽에는 우엉 뿌리 및 여린 줄기를 식용하는 전통습관이 있다. 일본에서는 우엉을 신체를 튼튼히 하는 보건품으로 간주한다. 근래 우엉은 중국에서 대량으로 재배되어 왔으며 강소 농현은 ‘중국우방지향(中國牛蒡之鄉)’으로 명명되었다. 현재 우엉 계열의 건강식품 200여 종이 개발되어 동남아시아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다. 약식(藥食)식물인 우엉은 건강식품 분야에 다양한 전망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牛蒡, Great Burdock]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
|
♣ 김밥 속에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재료인 우엉은 고소한 맛에 쫄깃한 식감을 가지고 있으며,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혈당 조절 및 콜레스테롤 배출 효과가 뛰어난 식재료이다. 외국어 표기 burdock root(영어) 분류 채소 > 근채류 주요 생산지 - 경북 안동 - 경남 진주 특징 우엉 뿌리는 가늘고 긴 모양으로 길이가 30~60cm에 이르고, 껍질은 얇은 것이 특징이다. 효능 우엉의 이눌린은 혈당 조절력이 뛰어나 당뇨병에 효과가 좋고, 리그닌 성분은 항암작용, 정장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열량 100g당 69kcal 음식궁합 우엉은 돼지고기와 궁합이 좋은데, 알칼리성의 우엉은 산성식품인 돼지고기를 중화시키며 우엉 특유의 향으로 누린내를 제거할 수도 있다. 활용 볶음, 조림, 튀김, 샐러드 등 다양한 조리방법의 요리로 활용하며, 말려서 차로 마실 수 있다. 고르는 법 우엉 뿌리를 만졌을 때 촉촉한 수분감이 드는 것이 바람이 들지 않은 좋은 우엉이다. 껍질의 두께는 얇을수록 좋다. 손질법 우엉을 깨끗이 정리하고 부드럽게 섭취해야 한다면 필러나 칼을 이용해 껍질을 완전히 벗겨준다. 껍질의 영양소를 섭취하려면 우엉의 껍질을 칼등이나 솔로 살짝 긁어내는 정도로만 손질하여 사용한다. 보관법 긴 우엉은 냉장고에 보관이 가능할 만큼의 길이로 자른 후 흙을 제거하지 않고 신문지나 랩으로 밀봉한 후 냉장고 신선실이나 김치냉장고에 보관한다. 우엉이란? 식이섬유가 풍부한 뿌리채소의 대표주자인 우엉은 현대인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당뇨병과 같은 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주고, 노화 억제의 효능도 지니고 있다. 독특한 향과 아작아작 씹히는 맛이 색달라서 볶음, 조림, 튀김, 샐러드 등 다양한 조리방법의 요리로 활용할 수 있다. 우엉을 길게 썰어 김밥 속 재료로 사용하기도 하며, 전골이나 찌개에 넣어 먹으면 구수한 맛을 더할 수 있다. 풍부한 섬유소가 배변을 촉진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기 때문에 우엉차를 즐겨 찾는 사람도 많다. 우엉은 특히나 돼지고기와의 궁합이 좋은데, 알칼리성의 우엉은 산성식품인 돼지고기를 중화시키며 우엉 특유의 향으로 누린내를 제거할 수도 있다. 우엉의 껍질에는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심장병과 암을 예방하는 사포닌이 들어 있으므로 껍질을 버리지 말고 활용하면 좋다. 우엉의 영양 및 효능 우엉에 함유된 식이섬유 가운데 이눌린이라는 성분은 이뇨 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체내의 콜레스테롤을 배출해준다. 이눌린은 천연 인슐린이라고 불릴 정도로 혈당 조절력이 뛰어나서 당뇨병에도 효과가 좋다. 또 우엉은 수용성과 불용성 식이섬유가 골고루 섞여 있는데, 우엉을 잘랐을 때 나오는 끈적거리는 성분인 리그닌은 항암작용을 하는 식이섬유 성분 중 하나로 장을 청소하는 정장작용을 하고, 배변을 촉진해 변비를 예방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우엉의 껍질에는 함유된 항산화와 콜레스테롤 흡수 저해 및 배출 촉진 등의 기능을 하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효능을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잘 씻은 우엉을 말려서 우엉차로 활용하거나, 껍질째 요리하여야 한다. 우엉 고르는 법 우엉 뿌리를 만졌을 때 촉촉한 수분이 느껴지는 것이 좋은 우엉이다. 또한 우엉에 묻은 흙이 젖어있는지를 확인하여 신선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껍질에는 상처가 없고 매끈한 것, 껍질의 두께가 얇고 밝은 갈색을 띠는 것이 좋다. 겉껍질이 어둡고 검은색을 띠고 있는 것은 껍질이 두꺼울 수 있다. 줄기는 전체적으로 굵기의 차이가 없이 고르게 뻗어 있는 것이 좋다. 잔뿌리나 혹이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지름은 2cm 정도로 굵은 것이 좋다. 우엉의 양 끝을 잡고 구부렸을 때 부드럽게 휘어지면 싱싱하다는 증거이다. 유통 과정이 길어 수분을 잃은 우엉은 조직이 단단해져서 휘지 않고 부러지는 성질이 강하다. 흙이 거의 묻어있지 않고 잔뿌리가 하나도 없이 깨끗한 것은 중국산임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우엉 손질법 우엉의 껍질에는 사포닌을 비롯한 많은 영양소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요리 방법에 따라 껍질을 조금 남겨두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깨끗이 정리를 하고 부드럽게 섭취해야 한다면 필러나 칼을 이용해서 껍질을 완전히 벗겨주면 된다. 하지만 껍질의 영양소를 즐기려면 우엉의 껍질을 칼등이나 솔로 살짝 긁어내는 정도로만 손질하면 된다. 우엉을 채 썰 때는 5cm 정도의 길이로 잘라준 후 칼로 돌려 깎기를 하고 접어서 썰면 곱게 채를 썰 수 있다. 우엉은 갈변이 되기 쉬운 식재료로, 손질 후 시간이 지나면 색이 변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손질한 우엉을 식초를 살짝 풀어준 물에 약 1분간 담가두면 갈변이 방지되고, 쓴맛이 용출되어 맛도 한층 부드러워진다. 우엉을 삶을 때 파랗게 변하는 현상도 발생하는데, 이는 우엉에 있는 안토시아닌 성분이 무기질과 반응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인체에는 무해하다. 우엉 보관방법 우엉을 보관할 때에는 건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우엉이 마르게 되면 그만큼 식감이 질겨지고 손질하는 것도 힘들다. 보통 우엉은 절단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상온 보관보다는 냉장 보관이 좋다. 긴 우엉은 냉장고에 보관이 가능할 만큼의 길이로 자른 후 흙을 제거하지 않고 신문지나 랩으로 밀봉한 후 냉장고 신선실이나 김치냉장고에 보관한다. 영하의 온도에서는 냉해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적정 온도는 5℃ 전후이며, 10℃ 이상에서는 발아가 진행되어 싹이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우엉 활용방법 용도 활용메뉴 밥, 죽, 만두 우엉밥, 우엉죽, 만두 국, 탕, 찌개 배추 우엉국, 들깨 우엉탕, 우엉 소고기찌개 생채, 냉채, 샐러드 우엉생채, 우엉 된장무침, 민들레 우엉냉채, 들깨소스 우엉샐러드 볶음 돼지고기 우엉볶음, 우엉 풋마늘 호두볶음, 우엉잡채 구이, 전, 튀김 우엉 된장구이, 우엉전, 우엉 찹쌀튀김 조림, 찜 우엉조림, 된장소스 우엉찜, 우엉 두부찜 김치, 장아찌 우엉김치, 우엉장아찌 기타 우엉 칩, 우엉 차, 우엉 떡(하나비라모치) [참고자료] - 대한민국 식재총람 - 숨겨진 맛, 식재의 재발견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농식품정보누리)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우수 식재료 디렉토리) ~~~~~~~~~~~~~~~~~~~~~~~~~~~~~~~~~~~~~~~~~ ♣ 주요성상 및 특징 우웡, 우채, 우방라고도 한다. 재배하지만 때로 야생상으로 자라는 두해살이 뿌리채소로서 높이 150cm 뿌리는 30∼60cm쯤 곧게 내린다. 보통 봄이나 가을에 종자를 파종해서 이듬해 6~7월에 수확한다. 잎은 크고 둥글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 꽃이 핀다. 9월이 되면 갈색 열매가 익는다. 한방에서는 우엉뿌리를 말린 것을 우방근이라 하며 종자를 우방자 또는 악실이라는 약재로 쓰인다. 약효는 풍열, 소종, 해독작용, 인후염, 풍진, 당뇨병 등에 사용되고, 알칼리성 식품으로 특유한 향기가 있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채소로 이용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생물자원정보 - 자생식물종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특징 높이 1.5m이고 줄기는 자주색을 띠며 곧게 자란다. 뿌리잎은 뭉쳐나며 잎자루가 길고 줄기잎은 어긋나며 심장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얕은 거치가 있다. 잎의 앞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솜털이 있어 흰색으로 보인다. 꽃은 7월에 피며 짙은 자주색의 두화가 줄기의 끝부분과 가지의 끝부분에 산방화서로 달린다. 포조각은 끝이 갈고리처럼 생긴 바늘모양이이고 꽃은 관상화이다. 열매는 수과로 9월에 익으며 종자는 검은색이고 관모는 갈색이다. 이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중국으로 한국, 중국, 유럽 등에 분포한다. 재배정보 1) 심는 방법 파종량은 990m²당 점뿌림은 1ℓ, 줄뿌림은 2ℓ정도이며 종자에 덮어 주는 흙의 두께는 2cm 정도가 적당하므로 처음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2cm 깊이의 판자를 댄 파종판을 만들어 쓰는 것도 좋다. 하룻밤 동안 물에 담갔다가 파종하면 싹이 잘 튼다. 품질이 좋은 우엉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경토를 최소한 50cm 이상 깊게 갈아야 한다. 특히 점질토에서는 경토가 얕고 물빠짐이 나쁜 경우가 있으므로 깊이 갈이의 효과가 크다. 심는 거리는 이랑 나비 60cm, 포기 사이 18cm가 표준이며 어린 우엉을 수확하려면 배게 심는 편이 수량이 많다. 포기 사이가 넓을 경우에는 점뿌림을 하고, 좁을 경우에는 줄뿌림을 한다. 번식방법 종자번식 (1) 준비물 삽, 호미, 물조리개 (2) 가꾸기 포인트 이어짓기(連作)하면 선충과 기타 병해가 많이 발생하므로 4~5년간 돌려짓기(輪作)를 하는 것이 좋다. 발육이 불량하거나 잎색이 진하다든지 또는 둥글거나 뿌리가 일찍 땅위로 올라오는 개체에서는 많이 발생한다. 묵은 종자는 대체로 발아가 나쁘고 생육도 불량하며 조그마한 장애에 부딪혀도 뿌리에 가지가 생긴다. 또한 황토덩어리, 잘 썩지 않은 퇴비 등이 땅속에 있거나 지하 수위가 높을 경우 뿌리 끝이 썩든지 상처를 입게되고, 해충이 갉아 먹어서 상처를 입기도 하며 그 뿌리는 가지가 생기기 쉽다. 2) 기후 및 토양 (1) 기후조건 호광성 종자로 10℃에서 발아하나 비교적 고온성으로 발아 최적온도는 20~25℃ 정도이다. 생육적온은 20~25℃이며 3℃ 의 저온에서는 지상부가 말라 죽는다. (2) 토양조건 우엉은 곧고 긴 뿌리가 흙속으로 90∼120cm 정도 들어가기 때문에 물빠짐이 좋고 경토가 깊은 비옥한 토양이어야 한다. 습해에는 대단히 약하여 이틀 이상 침수된 경우에는 뿌리가 부패하고 기근이 많이 발생된다. 품질은 토질에 따라 좌우되고 수분이 적당한 사질토에서는 가늘고 길며 뿌리 끝에 살이 많고 측근이 적어 외관도 좋다. 사질양토, 양토, 화산회토도 무방하나 토양의 입자가 가벼울수록 육질이 무르고 독특한 향기가 약하며 바람이 잘 들고 노화가 빠르다. 점질토양에서는 뿌리가 길게 뻗지 못하고 수염뿌리도 굵어져 겉모양은 나쁘나 그 대신 뿌리의 육질이 단단하고 향기가 높으며 바람들이가 늦다. 3) 관리하기 (1) 거름주기 우엉은 생육기간이 길어서 뿌리채소(根菜類) 중에서 비료를 많이 요구하는 편이다. 덜 썩은 퇴비와 깻묵 같은 것을 주면 뿌리가 많이 생기므로 반드시 충분히 썩은 것으로 주어야 하고 밑거름으로 포장전면에 고루 뿌리는 것이 좋다. 10m²당 질소 15~20kg, 인산 12~15kg, 칼리 13~16kg이 표준시비량이고, 화학비료와 퇴비를 주로 사용하지만, 일부를 콩깻묵으로 보충하고, 줄 사이나 포기 사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산성토양을 꺼리기 때문에 석회를 충분히 사용하여야 한다. 인산과 칼리는 대부분 밑거름으로 쓰고, 질소는 5kg 정도를 밑거름으로 사용한 다음 10~15kg 정도를 3~4회 나누어 덧거름으로 준다. 그러나 추작에는 어린뿌리의 건조와 화학비료의 해를 입어 기근 발생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화학비료는 밑거름으로 반 정도 주고 생육 초기에 쌀겨나 콩깻묵 및 초목회(재거름)를 주는 것이 좋다. (2) 질병관리 ㆍ흰가루병 증상 - 여름 고온기에 발생하며 잎의 표면에 백색반점이 나타나고 점점 확대되어 밀가루와 같은 것으로 덮여지며, 가을이 되면 갈색이나 흑색의 알갱이처럼 바뀐다. 치료 - 칼리비료를 충분히 시용하고 탄화황합제 100~150배액을 2~3회 살포한다. ㆍ검은무늬병 증상 - 잎과 잎자루에 발생하며 갈색 및 자갈색으로 원형의 병반이 생긴다. 치료 - 윤작을 하고 구리수은제 500배액을 살포한다. 4) 수확하기 땅을 깊게 간 경우 15~30cm파면 빼낼 수 있다. 수확한 우엉은 거적으로 덮어 건조를 막아 주어야 한다. 수확한 우엉은 저장하여 가을~겨울에 걸쳐 수시로 출하할 수 있다. 물 빠짐이 잘 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깊이 1m 정도의 도랑을 파고 우엉과 가는 흙을 총총히 넣은 다음 위는 흙을 북돋아 주어 건조와 한해(寒害)를 막아준다. 저장온도는 0℃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해야 하며 건조하면 품질이 크게 떨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Burdock]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신재성, 유난희, 신현탁) ~~~~~~~~~~~~~~~~~~~~~~~~~~~~~~~~~~~~~~~~~ ♣ 개요 전국의 밭에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하천변이나 공터에 야생으로 자라기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곧게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60-150cm,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인다. 뿌리잎은 모여 나며, 넓은 난형으로 길이 30-60cm, 폭 30-40c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뿌리잎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다. 잎 뒷면은 흰색 솜털로 덮여 있다. 꽃은 6-8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머리모양꽃차례가 모여 산방상으로 달리며, 진한 자주색이다. 모인꽃싸개는 둥글고 지름 2-3cm이다. 모인꽃싸개조각은 여러 줄로 배열하며,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꽃은 모두 관모양꽃이며, 화관은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이다. 뿌리와 씨는 한약재로 쓰며, 뿌리줄기는 식용한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네팔, 대만(타이완), 러시아(사할린,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몽골, 일본, 중국, 파키스탄; 서남아시아, 유럽 서식지/생육지 밭에 재배하거나 숲 가장자리, 하천변, 공터 등에 자란다. 형태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곧게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60-150cm, 가지가 갈라지며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인다. 뿌리잎은 모여 나며, 넓은 난형으로 길이 30-60cm, 폭 30-40cm이다. 잎자루는 길이 10-25cm이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뿌리에서 난 잎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다. 잎 뒷면은 흰색 솜털로 덮여 있다. 꽃은 머리모양꽃차례가 모여 산방상으로 달리며, 진한 자주색이다. 모인꽃싸개는 둥글고, 지름 2-3cm이다. 모인꽃싸개조각은 여러 줄로 배열하며,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다. 꽃은 모두 관모양꽃이며, 화관은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이다. 관모는 길이 3.5mm이다. 생태 꽃은 6-8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이용 및 활용 뿌리와 씨는 한약재로 쓰며, 뿌리줄기는 식용한다. 해설 전국에서 심어 기르거나 귀화하여 저절로 자라는 식물이다. 우리말이름은 한자이름 ‘우방(牛蒡)’에서 유래한 ‘우웡’이 변하여 된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 |
||
♣ 정의 국화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식물. 내용 학명은 Arctium lappa L.이다. 재배하는 식물로 원산지가 뚜렷하지 않으나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심어 왔다고 한다. 높이는 1.5m에 달하며 뿌리는 30∼60㎝ 정도 곧추 들어간다. 근생엽은 총생(叢生)하며 엽병(葉柄)이 길고 심장형으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백색 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돈다. 가장자리에는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꽃은 7월에 검은 자줏빛으로 핀다. 뿌리를 식용하여 전국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지만, 주로 남부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전체 소비량은 많지 않은 편이다. 재배는 춘파의 경우는 3월 하순∼5월 상순, 추파는 9월 하순∼10월 상순에 파종하며, 재식거리는 60×18㎝를 표준으로 한다. 거름은 10당 질소 15∼20㎏, 인산 12∼15㎏, 칼리 13∼16㎏을 주고 퇴비와 콩깻묵 등의 유기질 비료를 밑거름으로 준다. 지근(枝根)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토(耕土)가 깊어야 하고 심경(深耕)하는 것이 좋다. 품종으로는 뿌리가 길고 굵은 농야천(瀧野川), 육질은 좋으나 단근(短根)인 사천(砂川) 등이 있다. 우엉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특유한 향기가 있어 우리나라·중국·일본에서 채소로 이용하고 있다. 조리법은 된장에 넣어 장아찌로 하거나 장·설탕에 조려 반찬으로 한다. 또, 한방에서는 씨를 악실(惡實)이라고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약효는 풍열(風熱)을 훑어내고 선폐투진(宣肺透疹)하며, 소종(消腫), 해독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풍열해수(風熱咳嗽)·인후염(咽喉炎)·풍진(風疹) 등에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번역 [본초]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은 없다. [식료본초] 우엉은 12경맥을 통하게 하고 오장의 나쁜 기운을 씻어주니, 늘 나물로 먹어도 된다. 원문 [本草] 辛, 平, 無毒. [食療本草] 牛蒡通十二經脈, 洗五臟惡3)氣, 可常菜食.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牛蒡] (정조지 권제 1, 2020. 06. 15.) ~~~~~~~~~~~~~~~~~~~~~~~~~~~~~~~~~~~~~~~~~ ♣ 일본의 채소 가게에 가면 흙투성이인 우엉의 길쭉한 갈색의 곧은뿌리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우엉을 야채로 먹는 곳은 주로 일본이다. 우엉(Arctium lappa)은 기온에 까다롭지 않기 때문에, 일본 전역에서 재배된다. 일본어로 고보(牛蒡)라고 부르는데, 도쿄 근교의 오라에서 생산하는 오라 고보는 속이 비어 있고 짧고 굵지만, 교토의 호리카와 고보는 길고 가늘다. 어리고 부드러운 뿌리는 일본 슈퍼마켓의 절임 코너에 가면 찾을 수 있다. 다소 인공적인 오렌지색으로 물들여서 진공 포장을 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아삭아삭하고 맛있다. 그러나 우엉은 보통 조리해서 먹는다. 껍질을 벗겨내지 말고, 문지르거나 가볍게 비벼서 그 향미를 최대한 보존한다. 그리고 나서 식초를 탄 물에 넣으면 살은 하얘지고, 쓴맛은 줄어든다. 가장 흔한 조리법은 뿌리 끝부터 연필 깎을 때처럼 깎아내는 것이다. 그런 다음 참기름에 볶으면서 간장으로 맛을 내면 인기 있는 반찬인 킨피라고보(金平ごぼう)가 된다. Taste 우엉은 예루살렘 아티초크와 비슷한 흙 맛이 난다. 조리하면 부드러워지지만 여전히 짜릿한 맛이 남아 있다. 익힌 우엉과 마요네즈, 참깨로 만든 샐러드는 의외의 별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Gobo] (죽기 전에 꼭 먹어야 할 세계 음식 재료 1001, 2009. 3. 15., 프랜시스 케이스) ~~~~~~~~~~~~~~~~~~~~~~~~~~~~~~~~~~~~~~~~~ ♣ 정의 국화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Arctium lappa L.이다. 역사 재배하는 식물로 원산지가 뚜렷하지 않으나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심어 왔다고 한다. 향약구급방 본문 속에 牛蒡이 나오고 있는데 이것이 우엉에 관한 우리나라의 첫 기록인 것 같다. 우엉의 원산지는 만주라고 한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明代의 본초강목에서 오늘날 우엉을 먹는 일이 극히 드물다고 하였으며 또 중국의 本草書에서는 우엉으을 채소로 다루지 않고 濕草類에 넣고 있다. 일본의 類聚雜要抄에 의하면 鳥羽天皇 元永元年(1118)의 식단 속에 우엉이 들어 있다. 만주원산의 우엉이 우리 나라를 거쳐 일본에 가서 식용되었고 중국에서는 식용채소로서는 일반화되지 못한 것 같다. 활용음식 우엉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특유한 향기가 있어 우리 나라·중국·일본에서 채소로 이용하고 있다. 조리법은 된장에 넣어 장아찌로 하거나 장·설탕에 조려 반찬으로 한다. 또 한방에서는 씨를 악실(惡實)이라고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약효는 풍열(風熱)을 훑어내고 선폐투진(宣肺透疹)하며 소종(消腫) 해독시키는 효과가 있어서 풍열해수(風熱咳嗽)·인후염(咽喉炎)·풍진(風疹) 등에 사용된다. 기타 전체 소비량은 많지 않은 편이다. 재배는 춘파의 경우는 3월 하순∼5월 상순 추파는 9월 하순∼10월 상순에 파종하며 재식거리는 60×18㎝를 표준으로 한다. 거름은 10당 질소 15∼20㎏ 인산 12∼15㎏ 칼리 13∼16㎏을 주고 퇴비와 콩깻묵 등의 유기질 비료를 밑거름으로 준다. 지근(枝根)이 발생하지 않도록 경토(耕土)가 깊어야 하고 심경(深耕)하는 것이 좋다. 품종으로는 뿌리가 길고 굵은 농야천(瀧野川) 육질은 좋으나 단근(短根)인 사천(砂川) 등이 있다. 참고문헌 「고려이전의 한국식생활사연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식문화, 2003.,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 ♣ 국화과의 2년생 초목 Arctium lappa L. 및 그 뿌리 열매. 【성분】 탄수화물 중 대부분이 이눌린(7%)이고, 당분(2%), 펜토산(2%)도 포함한다.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잘게 잘라서 놓아두면 산화 효소의 작용으로 흑변한다. 우엉의 과실에는 우엉씨유 18.6~21.7%가 함유되고, 그 비누화값 189~197, 요오드값 141~155. 불비누화물 2.0~3.2%. 지방산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식물 스테롤을 함유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burdock, Klette] (화학대사전, 2001. 5. 20., 세화 편집부) ~~~~~~~~~~~~~~~~~~~~~~~~~~~~~~~~~~~~~~~~~ |
||
♣ 국화과의 1~2년생 초본. 뿌리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고, 긴 것으로는 농야천, 짧은 것으로는 태포, 굴천 등의 품종이 있으며 식용한다. 잎자루 부분이 담녹색인 월전백경은 잎도 이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edible burdock] (영양학사전, 1998. 3. 15., 채범석, 김을상) ~~~~~~~~~~~~~~~~~~~~~~~~~~~~~~~~~~~~~~~~~ ♣ 생물학적특징 이년생 초본, 높이 1.5m 잎은 호생, 근생엽은 총생, 심장형, 표면은 짙은 녹색, 이면은 백모 밀생, 치아상 거치연 꽃은 7월 검은 자줏빛 개화, 산방상 두상화서, 총포는 구형, 총포편은 갈구리모양의 침형 관상화만 존재 열매는 수과, 관모는 갈색. 용도 약용-(열매) 해열, 해독, 소염, 이뇨작용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생물자원정보 - 민속특산식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우엉, 생것 분류 채소류 1회제공량 100g 칼로리 69kcal 조사년도 2019 지역명 전국(대표) 채취월 평균 자료출처 농진청('15) 영양성분 - 탄수화물 : 15.29g - 단백질 : 2.61g - 지방 : 0.06g - 당류 : 2.87g - 나트륨 : 6mg - 콜레스테롤 : 0mg - 포화지방산 : 0.02g - 트랜스지방 : 0g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생것 (식품 영양성분) ~~~~~~~~~~~~~~~~~~~~~~~~~~~~~~~~~~~~~~~~~ ♣ 우엉, 데친것 분류 채소류 1회제공량 100g 칼로리 52kcal 조사년도 2019 지역명 전국(대표) 채취월 평균 자료출처 농진청('15) 영양성분 - 탄수화물 : 11.34g - 단백질 : 1.88g - 지방 : 0.09g - 당류 : 0.69g - 나트륨 : 5mg - 콜레스테롤 : 0mg - 포화지방산 : 0.02g - 트랜스지방 : 0g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데친것 (식품 영양성분) ~~~~~~~~~~~~~~~~~~~~~~~~~~~~~~~~~~~~~~~~~ ♣ 우엉술 [ 牛蒡酒 ] 요약 우엉뿌리로 담근 약용주. 가양주로 분류된다. 우엉 뿌리에는 이눌린과 약간의 팔미트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눌린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유익하고 신장에 좋으며 이뇨의 효과가 있다. 유럽에서는 이뇨제와 발한제로 사용하였고, 우엉의 종자는 부기가 있을 때 이뇨제로 사용하고 인후통과 독충(毒蟲)의 해독제로도 사용하였다. 우엉술의 재료는 우엉 600g, 소주 1.8ℓ이다. 만드는 방법은 우엉 뿌리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적당히 썰어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의 2~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부어 밀봉한다. 지하실이나 냉암소에서 3~4개월 보관한 후 찌꺼기는 건져내고 찌꺼기의 1/5 정도는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한다. 6개월 후 완전히 개봉하여 천으로 거른 후 음용한다. 아침과 저녁을 먹은 후 매회 20cc씩 복용하면 좋다. 우엉술은 신장을 튼튼히 하고 양기를 강화하며, 풍습(風濕)을 제거하고 피부의 습종(濕腫)과 가려움증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술 [牛蒡酒]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우방근[ 牛蒡根 ] 요약 이 약은 국화과의 우엉(Arctium lappa Linné)의 뿌리이다. 우엉은 뿌리와 잎을 모두 먹을 수 있는 채소인데 소도 먹을 수 있어 우채(牛菜)라고 불렀으며 방술(方術)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것을 신통한 힘이 있다고 하여 대력(大力)이라 부르기도 했다. 열매에 가시가 많아 나쁜 과실이란 뜻으로 악실(惡實)이란 이름이 생겼으며, 그 가시 때문에 쥐가 지나가다가 달라붙으면 떼어내지 못한다 하여 서점자(鼠粘子)라고도 하였다. 이 약은 특이한 향기와 점성이 있다. 맛은 쓰며 성질은 차다.[苦寒] 우방근은 얼굴이 아픈 것을 가라 앉히고 인후염, 종기, 옴, 버짐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항암, 간기능 활성화, 화농성균 및 피부병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사상균에 대해서도 억균 작용을 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긴 방추모양으로 바깥 면은 검고 굵으며 주름무늬가 있고 속은 황백색이다. 다른 이름으로 악실근(惡實根), 서점근(鼠粘根), 대력자(大力子), 방옹채(蒡翁菜), 편견우(便牽牛), 편복자(蝙蝠子)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방근 [牛蒡根]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우방자[ 牛蒡子 ] 딴 이름은 악실(惡實) · 서점자(黍黏子) · 대력자(大力子) · 고우방실(苦牛蒡實)이다. 국화과 식물인 우엉 Arctium lappa L.의 여문 씨(열매)를 말린 것이다. 우엉은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 다음 두드려 씨를 털어 잡물을 없앤다.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다. 폐경(肺經) ·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풍열사(風熱邪)를 없애고 해독하며 발진을 순조롭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소염 작용, 이뇨 작용, 완화 작용,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으며 요즘에 강심 물질이 분리되었다. 감기로 기침이 나면서 열이 있는 데, 홍역, 목이 붓고 아픈 데, 두드러기, 반진(斑疹), 헌데, 부종, 변비, 이하선염 등에 쓴다. 폐렴, 기관지염에도 쓴다. 하루 3~9g을 탕제 · 산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입가심한다. 설사하는 데는 쓰지 않는다. 우엉 뿌리[牛蒡根]는 배뇨 장애, 류머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등에 쓰며 습진, 부스럼에도 고약에 섞어 바른다. 또 기름을 추출하여 머리털이 빠지는 데도 바른다. 요즘에 와서 우엉 뿌리 추출액이 항암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방자 [牛蒡子]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
||
(종류 및 유사종) ▶(): ▶(): ♣ 광발아종자 [光發芽種子, photoblastic seed , light germinating seed ] 광조건에서만 발아가 가능하거나 광조사에 의해 발아가 촉진되는 종자. 상치, 담배, 우엉 등의 종자가 광발아종자인데 호광성 종자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광발아종자 [光發芽種子, photoblastic seed, light germinating seed]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 광발아종자[ light germinater , 光發芽種子 ] 요약 식물이 발아할 때 햇빛을 필요로하는 종자로 담배, 벌레잡이제비꽃 등이 있다. 경우에 따라 빛의 작용이 없이도 발아할 수 있다. 담배 ·벌레잡이제비꽃 ·무화과나무 ·개구리자리 ·겨우살이 등의 종자가 이에 속한다. 대조적으로 암발아종자가 있다. 수분을 흡수한 후에 빛을 느끼고 일정한 시간만 빛을 쬐어 주면 그 후에는 암소(暗所)에서도 발아한다. 빛의 필요 정도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또 같은 종자라 하더라도 후숙(後熟)의 시기 ·온도 ·산소 ·염류(鹽類) 등에 의해 변화한다. 그러나 광발아종자라 하여도 빛의 작용이 절대 불가결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담배 종자를 질산염으로 처리한다거나 고온에 쬐면 암소에서도 발아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광발아종자 [light germinater, 光發芽種子]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암발아종자[ dark germinator , 暗發芽種子 ] 요약 빛에 의하여 발아가 억제되는 종자. 맨드라미속(屬) ·비름속, 호박 ·오이 ·참외 등의 오이과 식물, 시클라멘 ·광대나물 등이 이에 속한다. 광발아종자에 대응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광발아종자에 비하여 종류가 훨씬 적다. 맨드라미속(屬) ·비름속, 호박 ·오이 ·참외 등의 오이과 식물, 시클라멘 ·광대나물 등이 이에 속한다. 성질은 본래 유전적인 특성인데, 온도 ·산소분압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환경조건이나 묵은 종자 등 종자 자체의 생리적인 상태에 따라서도 암발아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비름속의 종자는 성숙한 후에는 빛의 억제작용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종자의 후숙(後熟)이 진행됨에 따라 그 정도가 감소한다. 청비름(Amaranthus viridis) 등에서는 발아에 대한 빛의 억제작용이 종피의 유무에 따라 좌우되지만, 오이 ·참외 등은 종피의 유무와 빛의 작용과는 관계가 없다. 호박의 종자는 발근부(發根部)의 근처가 감광부위라고 생각된다. 암발아 종자는 발아를 저해하는 작용이 있는 빛의 파장을 잘 흡수하는 물질(카로틴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암발아종자 [dark germinator, 暗發芽種子]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암발아종자[ dark germinator , 暗發芽種子 ] 빛의 작용에 관계없이 어두운 장소에서 발아하는 종자. Nigella damascena, 호박, 맨드라미 및 그 밖의 비름과식물에서 볼 수 있다. 빛에 의해 발아가 억제되는 종자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빛의 억제작용은 환경조건이나 종자가 오래된 상태 등 종자의 생리적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식물의 종에 대응한 개념이라고 하기 보다는 종자의 생리 상태에 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래된 종자나 35~40℃의 고온에 있었던 것은 빛의 억제가 소실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암발아종자 [dark germinator, 暗發芽種子] (생명과학대사전, 초판 2008., 개정판 2014., 강영희) |
♣ 영양성분
니아신 0.50mg |
나트륨 5.00mg |
단백질 3.10g |
당질 13.50g |
레티놀 0.00㎍ |
베타카로틴 0.00㎍ |
비타민 A 0.00㎍RE |
비타민 B1 0.03mg |
비타민 B2 0.07mg |
비타민 B6 0.24mg |
비타민 C 3.00mg |
비타민 E 0.60mg |
식이섬유 4.10g |
아연 0.27mg |
엽산 22.80㎍ |
인 68.00mg |
지질 0.20g |
철분 0.80mg |
칼륨 361.00mg |
칼슘 56.00mg |
콜레스테롤 0.00mg |
회분 1.10g |
영양성분 : 100g 기준 62kcal
[네이버 지식백과] 우엉 (쿡쿡TV)
LIST
'산야초·독초 자료 > ★산야초 참고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두나무(호도 胡挑) 효능 (0) | 2023.07.21 |
---|---|
광발아종자, 암발아종자 (0) | 2023.07.19 |
강낭콩(백반두 白飯豆) 효능 (0) | 2023.07.19 |
옥수수(옥촉서 玉蜀黍 ,옥미수 玉米鬚) 효능 (0) | 2023.07.19 |
공심채(空心菜) 효능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