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순비기나무(만형자 蔓荊子)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마편초과 (Verbenaceae) 순비기나무속(Vitex) 낙엽 활엽 관목 학명(Vitex rotundifolia L.f.) 영문명(Beach vitex) |
|
별명(이명) | 만형(蔓荊),단엽만형(單葉蔓荊)·만형자나무·풍나무,대형자, 단엽만청, 만형자, 승범실 |
|
한약명/생약명 | 만형자(蔓荊子)/ 형자(荊子), 황형(黃荊), 만청자(蔓靑子) |
|
분포지 | 바닷가에서 자란다. 바닷물에 닿아도 죽지 않는 내염성 수목이며 내한성이 강하다. | |
꽃피는 시기 | 7~9월(자주색,수성 원추형꽃차례) | |
수확기(결실기) | 9~10월(핵과-굳은씨열매,검은 자주색) | |
용도 | 약용(특아헌 방향이 있고 맛은 쓰고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목욕탕향료,관상용,밀원자원 | |
약용 | (효능) 해열,진정,진통,소염,머리를 맑게,눈을 利(이) (적용질환) 안질,귓병,風熱感氣(풍열감기), 正·偏頭痛(정·편두통), 齒痛(치통), 赤眼(적안-눈의 충혈), 目睛內痛(목정내통), 昏暗多淚(혼암다루-눈이 침침하고 눈물이 많이 나는 증상), 濕痺拘攣(습비구련-관절염에 의하여 수족이 저린 증상),刀傷(도상)의 出血(출혈), 타박상, 류머티즘 疼痛(동통),어지럼증,관절염,풍증과 습기로 인한 마비와 통증,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이명,신경통,감기 |
|
사용부위 | 열매,잎,뿌리줄기 |
|
채취 및 조제 | 가을에 과실이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협잡물을 제거한 다음 건조한 장소에 저장하고 습기나 곰팡이를 방지한다. |
|
성분 | 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속에 캄페인(Camphein), 알파-피넨(α-Pinen), 디펜텐 알코올(Dipenten alcohol), 초산 테르피놀(Terpinylacetat) 등이 함유 휘발성 정유, alkaloid, flavonoid 등이 함유 |
|
약효 및 용법 | ♣ 금기 血虛有火로 인한 頭痛目眩과 脾胃가 虛寒한 者는 복용을 禁한다. |
|
출처 | ||
해설 | ♣ 순비기나무는 덩굴성 상록관목으로 바닷가 모래땅에서 생육한다.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퍼져 자란다. 내염성이 수종으로 전국 바닷가에서 흔하게 볼수 있다. 열매에서는 강한 향신료 냄내가 나고 열매는 약용으로 쓰인다. ~~~~~~~~~~~~~~~~~~~~~~~~~~~~~~~~~~~~~~~~~ ♣ 단엽만형(單葉蔓荊)·만형자나무·풍나무라고도 한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옆으로 자라면서 뿌리가 내린다. 커다란 군락을 형성하며 높이 20∼80cm이다. 전체에 회색빛을 띤 흰색의 잔 털이 있고 가지는 네모진다. 잎은 마주달리고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가지와 더불어 은빛을 띤 흰색이 돈다. 잎 뒷면에는 잔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7∼9월에 피고 자줏빛 입술 모양 꽃이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술잔처럼 생기고 털이 빽빽이 난다. 화관은 지름 약 13mm이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며 꽃밥은 자줏빛이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핵과로 딱딱하고 둥글며 9∼10월에 검은 자주색으로 익는다. 밀원식물로 이용한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만형자(蔓荊子)라고 하며 두통·안질·귓병에 쓴다. 한국(경북·황해도 이남), 일본, 동남아시아, 태평양 연안,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의 온대와 열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분포 한반도(경상북도, 황해도 이남, 경기도, 전라남도, 제주도 해안가), 대만, 중국, 인도차이나, 말레이시아, 태평양 섬, 호주, 일본 특징 줄기에서 뿌리를 내려 모래밭을 기어가며 산다. 전체에 회색빛이 나는 흰색의 잔털이 퍼져 난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고 두꺼우며 달걀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2-4.5cm × 1.5-3cm로, 표면에 잔털이 밀생하고 회백색이 돌며, 뒷면은 은흰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 길이는 5-7mm이다. 꽃 수상 원추형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4-7cm로 짧은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술잔모양이고 흰색 털이 밀생하며, 꽃부리는 푸른 보라색이고 긴 쪽의 지름이 13mm로, 겉에 흰색 털이 있으며 밑부분의 열편은 중앙부가 흰색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7월 말-9월 초 개화한다. 열매 열매는 핵과로 원형이며 지름 5-7mm로 검은 보라색이며 10월 말-11월 초 성숙한다. 줄기 옆으로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고, 일년생가지는 약간 네모지며 백색털이 밀생하여 전체가 백분으로 덮여 있는 것 같다. 생육환경 바닷가에서 자란다. 바닷물에 닿아도 죽지 않는 내염성 수목이며 내한성이 강하다. 번식방법 번식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하거나 야생상태에서 줄기를 절단하여 삽목하여도 발근율이 높다. 이용방안 • 잎과 가지에는 향기가 있어 목욕탕에 넣어 향료로 쓴다. • 내한성이 강하여 해변조경에 있어 군식으로 이용하면 좋다. • 과실은 蔓荊子(만형자), 葉(엽)은 蔓荊子葉(만형자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1) 蔓荊子(만형자) ① 가을에 과실이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협잡물을 제거한 다음 건조한 장소에 저장하고 습기나 곰팡이를 방지한다. ② 성분: 순비기나무의 과실과 잎은 精油(정유)를 함유한다. 주요성분은 camphene과 pinene이며, 미량의 alkaloid와 비타민 A도 함유한다. 과실은 vitexicarpin 즉 casticin, artemetin을 함유한다. ③ 약효: 風熱(풍열) 疏散(소산)하고 머리를 맑게 하며 눈을 利(이)하는 효능이 있다. 風熱感氣(풍열감기), 正·偏頭痛(정·편두통), 齒痛(치통), 赤眼(적안-눈의 충혈), 目睛內痛(목정내통), 昏暗多淚(혼암다루-눈이 침침하고 눈물이 많이 나는 증상), 濕痺拘攣(습비구련-관절염에 의하여 수족이 저린 증상)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6-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 술에 담그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만든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2) 蔓荊子葉(만형자엽) ① 성분: 가는 가지(건조한 것)는 精油(정유) 0.11-0.12%를 함유한다. 잎(건조한 것)은 정유를 0.28% 함유하고 기름은 α-pinene과 camphene 55%, terpinyl acetate 10%, diterpene alcohol 20%를 함유한다. 잎 속에는 또한 casticin, luteolin-7-glycoside 및 tetrahydroxy monomethoxy flavone-α-d-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② 약효: 잎은 타박상을 치료한다. 짓찧어서 술로 沖服(충복)하고 짜낸 찌꺼기는 바른다. 달여서 복용하면 신경성 두통을 치료한다. 또 枝葉(지엽)은 消腫(소종), 止痛(지통)하며 刀傷(도상)의 出血(출혈), 타박상, 류머티즘 疼痛(동통)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3-1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혹은 짓찧어 낸 즙을 술에 따라서 마신다. <외용> 으깨서 바른다. 유사종 • 목형 : 소엽이 대부분 3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있고 중국산이며 남부지방에서 심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 1. 특징 바닷가에 자라는 상록성의 키 작은 활엽수이다. 줄기는 눕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온몸에 회백색의 잔털이 나 있다. 잔가지는 약간 모가 졌고 흰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마치 흰가루를 쓰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잎은 마디마다 2장이 마주 자리하며 계란 꼴 또는 넓은 타원 꼴로 두텁고 끝은 둥글거나 약간 패여 있다. 잎의 길이는 2~5cm이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잎 표면에는 잔털이 나 있어 회백색 빛을 띠고 뒷면은 은백색이다. 가지 끝에 작은 꽃이 이삭 모양으로 뭉쳐 피어난다. 꽃이삭의 길이는 4~7cm이다. 꽃의 생김새는 대롱 모양이고 끝이 입술 모양과 비슷하게 갈라져 있다. 지름 1.5cm 안팎인 꽃의 빛깔은 보랏빛이다. 지름이 5~7mm인 열매는 둥글고 나무처럼 딱딱하며 익으면 흑갈색으로 물든다. 2. 분포 경상북도와 황해도 이남의 바닷가 또는 제주도 및 울릉도에 분포한다. 양지바른 모래밭에 난다. 3. 약용법 생약명 만형자(蔓荊子). 형자(荊子), 황형(黃荊), 만청자(蔓靑子)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열매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가을에 열매가 익는 것을 기다려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그대로 쓰거나 불에 볶아서 쓴다. 성분 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속에 캄페인(Camphein), 알파-피넨(α-Pinen), 디펜텐 알코올(Dipenten alcohol), 초산 테르피놀(Terpinylacetat)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해열, 진통, 소염 등의 효능이 있다. 적용질환으로는 감기, 두통, 어지럼증, 관절염, 풍증과 습기로 인한 마비와 통증,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 등이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2~5g씩 200cc의 물로 뭉근하게 반 정도의 양이 되도록 달여서 복용하거나 말린 약재를 가루로 빻아서 복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 ♣ 생육특성 순비기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나는 낙엽 관목이다. 생육환경은 바닷가의 모래땅이나 잔돌이 많으며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가 2~5㎝, 폭이 1.5~3㎝로 달걀 모양이며 두텁고 표면에는 잔털이 많이 있으며 회색빛이 돌고 뒷면은 은백색이다. 줄기는 비스듬히 지면을 향해 자라고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다. 꽃은 벽자색으로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4~7㎝의 꽃줄기에 많은 꽃들이 달린다. 꽃받침 잎은 술잔 모양이고 암술머리는 연한 자주색으로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9~10월경에 흑자색으로 달리며 지름은 약 0.6㎝이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열매는 약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10월경에 받은 종자를 이용하거나 삽목을 하기도 한다. 종자가 딱딱해서 마쇄를 하거나 물에 5~6일 정도 충분히 불린 후 뿌리면 발아율이 높다. 삽목은 모래에 작년 가지를 이용하며 습도와 온도를 맞추어 주는 것이 뿌리 발육의 중요한 요소다. 관리법 : 작은 돌이 많이 있는 곳에 심거나 물 빠짐이 좋으면서 햇볕을 많이 받는 곳에 심는다. 가지가 옆으로 뻗어 나가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나무와 나무 간격을 최소한 1m 이상은 유지해야 한다. 물은 2~3일 간격으로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야생화도감(여름), 2010. 6. 28., 정연옥, 박노복, 곽준수, 정숙진) ~~~~~~~~~~~~~~~~~~~~~~~~~~~~~~~~~~~~~~~~~ ♣ 정의 마편초과에 속하는 상록관목. 내용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덩굴처럼 퍼져 만형(蔓荊)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Vitex rotundifolia L. fil이다. 따뜻한 곳에서는 상록이지만 추운 곳에서는 낙엽이 지는 식물로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다. 소지(小枝)는 약간 네모지며 백색 털이 밀생하여 전체가 백분으로 덮여 있는 것 같다. 잎은 두꺼우며 난형·도란형·넓은 타원형으로 마주난다. 길이 2∼5㎝, 너비 1.5∼3㎝로서 표면은 잔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이고 뒷면은 은백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자주색으로 7∼9월에 피고 열매는 흑자색으로 9∼10월에 익는다. 열매는 원형 또는 도란상 원형이며 목질이다. 바닷물에 닿아도 죽지 않는 내조·내염성 수목으로 우리나라 전국 해변가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줄기에서 뿌리를 내려 모래밭을 기어가며 자라므로 모래밭에서는 매우 멀리 뻗어 나간다. 난대성 수목이지만 내한성이 강하여 서울에서도 월동이 잘되어 정원의 지피식물이나 도로변의 사방용수로 식재할 수 있다. 꽃에는 밀원이 높아 바닷가의 밀원식물로 좋다. 열매는 해열·진정·진통·소염의 효능이 있어 감창·두통·관절염·안질동통·풍습비통(風濕痺痛)·이명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또한, 잎과 가지에는 향기가 있어 목욕탕 물에 넣어 향료로도 쓴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개요 순비기나무속(Vitex)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50여 종이 있으며, 열대와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는 약 14종이 있으며,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4종이다. 이 종은 중국의 복건, 광동, 광서, 운남, 대만 등이며, 인도, 베트남, 필리핀, 호주 등에도 분포하는 것이 있다. 만형자는 ‘만형실(蔓荊實)’이라는 약명으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상품으로 처음 수록되었다. ‘만형자’의 약명은 《본초경집주(本草經集注)》에 처음 수록되었다. 역대 본초서적에도 많은 기록이 있으며, 오늘날의 품종과도 일치한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만형자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 가운데 하나로 수록하였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운남, 해남, 광동, 광서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제11개정판)에서는 ‘만형자’를 “마편초과에 속하는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inné fil.) 또는 만형(Vitex trifolia Linné)의 잘 익은 열매”로 등재하고 있다. 만형에 함유된 주요성분은 정유, 플라보노이드, 디테르페노이드류 등이다. 그 가운데 플라보노이드와 디테르페노이드류 성분에 여러 생리활성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비텍시카르핀의 함량을 0.03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만형의 열매에는 해열, 진통, 항염, 거담(祛痰), 평천(平喘), 항병원미생물, 항종양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만형자에는 소산풍열(疏散風熱), 청리두목(淸利頭目)의 작용이 있다. 함유성분 잎에는 정유성분으로 β-caryophyllene, α-pinene, 1,8-cineole, sabinene,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luteolin-7-O-β-D-glucuronide, isoorientin, vitexicarpin (casticin) 디테르페노이드 성분으로 viteosin A, vitetrifolin 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열매에는 정유성분으로 1-cyclohexen-1-ol-2,6-dimethylacetate, β-caryophyllene, α-irone A, 1,8-cineole,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vitexicarpin, 3,6,7-trimethylquercetagetin, persicogenin, artemetin (artemitin), luteolin, penduletin, chrysosplenol D, 디테르페노이드 성분으로 vitetrifolins A, B, C, D, E, F, G, rotundifuran, dihydrosolidagenone, abietatrien-3β-ol, vitexilactone, previtexilact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유에는 myristic acid,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palmitoleic acid, 올레산, 리놀레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해열, 진통, 항염 만형 열매의 물 추출물을 경구투여하면 2,4-디니트로페놀로 유도된 Rat의 발열을 뚜렷하게 억제하며, 아세트산으로 인한 Mouse의 몸비틀기 반응을 뚜렷하게 억제한다. 또한 열판법 Mouse의 통증역치를 뚜렷하게 증가시킨다. 만형 열매의 추출물은 5-리폭시게나제의 활성을 억제한다. 메탄올 추출물을 경구투여하면 Mouse 복강 내 색소 삼출을 억제하는데, 이는 모세혈관 투과성에 대해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음을 의미한다. 2. 거담, 평천 Mouse의 페놀레드 배출 실험을 통하여 열매의 에탄올 침출액에는 뚜렷한 거담작용이 있다. 열매의 열수 추출물, 석유에스테르 추출물 및 잎의 핵산 추출물은 히스타민으로 인한 기니피그의 적출된 기관지평활근 경련에 대해 뚜렷한 이완작용이 있는데, 경련 완화의 활성성분은 플라비놀 유도체인 비텍시카르핀 등의 플라보노이드류 화합물이다. 3. 혈압강하 열매의 알코올 침출물을 정맥에 주사하거나 십이지장에 투여하면 마취된 고양이의 혈압을 뚜렷하게 떨어뜨리는 작용이 있다. 4. 항병원미생물 열매의 열수 추출물은 in vitro에서 고초간균, 납양아포간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여러 종의 세균에 대해 각각 다른 정도의 억제작용이 있다. 잎의 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악취가단포균, 대장균, 일본단근류균 등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열매의 아세톤 추출물은 in vitro에서 트리파노소마 기생충에 대해 뚜렷한 살멸작용이 있으며, 그 살충활성의 유효성분은 비테트리폴린 E 등의 디테르페노이드류 화합물이다. 잎의 추출물에는 악성 말라리아원충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5. 항종양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 및 열매에 함유된 디테르페노이드와 플라보노이드류 성분은 in vitro에서 Mouse의 유선암세포 tsFT210과 인체 골수세포성 백혈병세포 K562의 증식을 억제함과 동시에 괴사를 유도한다. 그중 비텍시카르핀은 in vitro에서 각종 인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특히 K562세포에 가장 민감한데, 미토콘드리아에 의해 조절되는 자멸경로를 활성화함으로써 K562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참고문헌:8]. 줄기와 잎의 핵산 및 디클로로메탄 추출물은 in vitro에서 자궁경부 상피암세포 SQC-1, UISO, 난소암세포 OVCAR-5, 결장암세포 HCT-15 및 비인암세포 KB 등에 대해 뚜렷한 세포독성이 있다. 용도 만형자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소산풍열[疏散風熱, 풍사(風邪)와 열사(熱邪)를 소산(消散)시키는 것], 청리두목(淸利頭目, 머리와 얼굴, 눈 등에 열이 치솟는 것을 식혀 줌) 등의 효능이 있으며, 풍열감모[風熱感冒, 감모(感冒)의 하나로 풍열사(風熱邪)로 인해 생긴 감기], 두통두풍(頭痛頭風, 두통이 낫지 않고 오래 계속되면서 때에 따라 아팠다 멎었다 하는 증상), 목적종통(目赤腫痛, 눈의 흰자위에 핏발이 서고 부으며 아픈 병증), 목혼다루(目昏多淚, 눈물이 많이 흐르면서 눈이 어두워지는 병증), 풍습비통(風濕痹痛, 풍습으로 인해 관절이 아프고, 통증이 심해지는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광상신경통(眶上神經痛, 눈시울이 떨림), 혈관성 두통, 비염, 기관지염, 중이염, 소아상도호흡기감염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만형의 변종인 단엽만형(單葉蔓荊, Vitex trifolia L. var. simplicifolia Cham. / Vitex rotundifolia L.) 역시 《중국약전》에 만형자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으로 수록하고 있다. 단엽만형과 만형에는 유사한 약리작용이 있으며, 그 함유성분 역시 대부분 동일하다. 그 외에도 단엽만형 열매의 에테르 추출물은 in vitro에서 Rat 안구의 알도스 환원효소의 활성을 뚜렷하게 억제한다. 또한 열매 추출물은 혈관을 확장시키며, 열매의 물 추출물에는 항과민 작용이 있다. 단엽만형의 열매에는 비테오이드 I, II 등의 이리도이드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만형은 중요한 약용자원일 뿐만 아니라 사막을 녹화하는 데 사용되는 식물로 발아력이 강하고, 고온건조에 적응성이 좋으며, 척박하거나 염분이 많은 지역에서도 자라며, 생장이 빨라 넓은 지역에 쉽게 자생한다. 또한 모래를 고정하는 데 효과적이며, 토양의 수분을 유지하는 능력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형 [蔓荊, Shrub Chastetree]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2,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 만형자[ 蔓荊子 ] 출전 동의보감 성 질은 약간 차며(평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고 맵고 독이 없다. 풍으로 머리가 아프며 머리가 울리는 것, 눈물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이빨을 든든하게 하며 9규를 잘 통하게 하고 수염과 머리털을 잘 자라게 한다. 습비(濕痺)로 살이 오그라드는 것을 낫게 하며 촌백충과 회충을 없앤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형자 [蔓荊子] (한약재감별도감 - 외부형태, 2014. 2. 28., 김창민, 이영종, 김인락, 신전휘, 김양일) ~~~~~~~~~~~~~~~~~~~~~~~~~~~~~~~~~~~~~~~~~ |
||
♣ 동 · 서해안 및 남부지역의 모래해변, 자갈해변, 바위해변에 분포한다. 땅속뿌리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싹과 뿌리를 낸다. 많은 양의 뿌리가 땅속으로 깊게 뻗어 모래 고정 효과가 크다. 염저항성이 강해 바닷물 침수 피해 후에도 복원이 빠르다. 원줄기는 땅위를 기거나 지면에서 조금 떨어져 길게 뻗으며 교란이 없는 상태에서는 주로 바다 쪽을 향해 자란다. 작은 관목 모양으로 줄기가 위로 뻗는 경우도 있으며, 교란이 없는 지역에서는 오래된 군락이 작은 관목 숲 같은 모양을 이루기도 한다. 꽃줄기는 원줄기에서 위로 뻗는다. 해안사구에서는 갯그령, 모래지치, 갯메꽃, 통보리사초 등과 같이 섞여 자란다. 잎은 다소 두꺼우며 표면에는 회백색 솜털이 촘촘하게 나 있어 흰 가루가 뿌려진 듯하며 건조화된 것처럼 보인다. 잎 뒷면은 은백색이다. 가을에 잎이 진다. 보라색 꽃이 여름부터 피기 시작하고 둥근 열매가 달린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한국의 염생식물, 2013. 5. 27., 김은규) ~~~~~~~~~~~~~~~~~~~~~~~~~~~~~~~~~~~~~~~~~ ♣ 주요성상 및 특징 순비기, 만형, 만형자나무, 황형, 소형, 만형자, 순비기낭, 순북낭라고도 한다. 제주도, 울릉도, 중부, 남부 지방의 해변 모래땅 바닷가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 초본이다. 상록관목으로서 향기가 나고 옆으로 자라다가 비스듬히 서며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두꺼우며 란형, 도란형 또는 광타원형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수상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4~7cm로서 화경이 짧은 꽃이 많이 달린다. 열매는 9~10월에 흑자색으로 익으며 원형 또는 도란상원형이고 목질이며, 지름이 5~7mm 정도이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며 한방에 이뇨, 신경통, 감기 등의 약재로 쓰인다. 방향성 식물로 밀원식물이다.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태평양 연안, 오스트레일리아 등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생물자원정보 - 자생식물종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생물학적특징 상록활엽 관목, 높이는 30-60㎝ 식물체는 회백색의 잔털이 존재, 가지는 네모짐 잎은 대생, 광난형, 길이 2~6㎝, 폭 1.5~4㎝, 원두, 가장자리는 밋밋, 이면은 잔털이 밀생, 회백색, 엽병의 길이는 5~7㎜ 꽃은 7~9월 짙은 자색 개화, 수상 원추화서, 화경은 짧음, 꽃받침은 술잔형, 5개의 열편, 수술은 2강웅예 열매는 핵과, 9~10월 흑자색 성숙, 구형 용도 약용- (열매) 진정, 진통, 해열 작용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생물자원정보 - 민속특산식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땅 위를 기어 뻗거나 엇비스듬히 위로 자라는 관목(灌木), 길이 30~60cm이다. 땅 위를 기어뻗는 줄기의 곳곳에서 수근(鬚根)이 내린다. 식물체에는 회백색의 작은 털이 있다. 유지(幼枝)는 네모졌다. 잎은 대생(對生)하며 두꺼운 초질(草質)이며 짧은 엽병(葉柄, 길이 5~7mm)이 있다. 엽신(葉身)은 광난형(廣卵形), 도란형(倒卵形), 타원형(楕圓形, 길이 2~5cm, 너비 1.5~3cm)인데 끝은 둔하거나 둥글며 밑부분은 뾰족하고 변두리는 매끈하다. 잎앞면은 녹색이고 작은 털이 있으며 뒷면은 작은 털이 배게 있어 유백색을 띤다. 꽃은 7~8월경 가지끝에 원추화서(圓錐花序, 길이 4~7cm)를 이루고 담자색의 작은 꽃이 모여 피는데 양성화(兩性花)이다. 꽃받침은 종형(鐘形)인데 윗부분은 5갈래로 갈라졌다. 화관(花冠, 길이 13mm)은 담자색인데 2개의 순형(脣形)이다. 상순(上脣)은 2개로 갈라지고 하순(下脣)은 3갈래로 갈라졌는데 가운데 조각은 매우 크고 안쪽에 털이 있다. 꽃받침과 화관의 겉면에는 흰털이 있다. 수술은 4개인데 양체웅예(兩體雄蕊)이다. 암술대는 길이 약 15mm이며 암술머리는 2갈래로 갈라졌다. 자방(子房)은 4실(室)이다. 열매는 원형의 소핵과(小核果, 직경 5~7mm)인데 아랫부분에 꽃받침이 남아 붙어 있다. 열 매는 약재로 쓴다. 주로 민간에서 감기때 해열제로 쓴다. 씨앗으로 번식한다. 황해남도 옹진군 기린도, 강령군 순위도, 연안군 등 지역의 바다 기슭 모래땅에서 자란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비기나무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 |
||
♣ 만형주[ 蔓荊酒 ] 요약 순비기나무(열매)로 담근 약용주(藥用酒). 원료 순비기나무열매 분류 약용주 만형자(蔓荊子) 100g에 소주 1ℓ의 비율로 담가 밀봉해 두면 50일쯤 후에 성분이 우러나며, 좀더 일찍 익게 하려면 만형자를 부수어 넣고 담그면 된다. 술이 왼전히 익기까지는 3개월 정도 걸리며, 이때 건더기는 익은 후에 건져내도록 한다. 만형자는 제주를 비롯하여 중부 이남의 바닷가 모래밭에서 자생하는 순비기나무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서 예로부터 심신을 명쾌히 하고 근육을 강화시키는 데 사용되었으며, 두통 ·감기 ·해열 등에도 효험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형주 [蔓荊酒]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팔목주 요약 팔목(八木: 오갈피나무, 음나무, 개오동, 쥐엄나무, 마가목, 화살나무, 말오줌때, 순비기나무)등의 약재로 빚는 전남 장성지방의 토속 약주, 국가 한국 전라남도 장성 구분 주류 주재료 팔목(八木:오갈피나무, 음나무,개오동, 쥐엄나무, 마가목, 화살나무, 말오줌때, 순비기나무), 멥쌀, 누룩 팔목주는 전남 장성지방의 특별한 토속주로 ‘약주 중의 약주’로 꼽히고 있는 술이다. 오갈피나무를 비롯한 팔목(八木: 오갈피나무, 음나무, 개오동, 쥐엄나무, 마가목, 화살나무, 말오줌때, 순비기나무) 등의 약재로 빚는다 해서 ‘팔목주’라 하였으며, 유래나 문헌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한방 조제과정에서 파생된 술로 짐작이 간다. 팔목주를 ‘약주 중의 약주’로 꼽는 이유는 옛부터 ‘72가지 풍을 다스린다’고 해서이며 ‘풍’이란 요즘의 성인병을 통칭하는 것으로 순곡과 자연 약재를 바탕으로 빚어지기 때문에 건강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건강 약주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팔목주는 초저온 발효주로 술 빚는 방법이 특별하다. 밑술을 다른 술과 같이 하지 않고 냉장고에 보관하는 이유는 고두밥이 누룩곰팡이와 섞여 상온에서 이뤄지는 유산균 발효를 지연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해서 술을 빚으면 아무리 많이 마셔도 절대 부작용이 없다고 한다. 즉 쌀이 누룩과 섞이면 곧바로 발효가 진행되는데, 온도를 낮춤으로써 유산균 발효는 지연되는 대신에 당화만 진행시키기 위해서이다. 팔목주는 멥쌀 5되를 물에 불렸다가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빼고 고두밥으로 찌고 법제(法制)를 한 누룩 5되와 함께 섞고 양조용수로 7홉의 물을 부어 버무린 뒤 그릇에 담아 밑술을 잡는다. 밑술은 발효에 들어가기 전에 0~5℃의 냉장고에 2~3일간 넣어 두었다가 덧술을 만들어 함께 섞어 발효시킨다. 누룩은 다른 술과 같은 방법으로 빚어서 곱게 가루 내어 사용한다. 덧술은 멥쌀 1말을 깨끗이 씻어서 물기를 빼서 고두밥을 짓고 아주 차갑게 식혀서 법제를 한 누룩가루 1말과 함께 쏟아붓고 덧술의 물은 쌀과 같은 양의 1말을 넣는다. 발효가 잘 진행되도록 저어주고 천으로 항아리를 덮어 실내에 두어 발효에 적당한 20℃온도를 맞추어 준다. 이때 넣어주는 물은 날물이 아니라 팔목을 삶은 물이다. 팔목은 오갈피나무(1kg), 음나무(1kg), 개오동(1kg), 쥐엄나무(1kg), 마가목(1kg), 화살나무(1kg), 말오줌때(1kg), 순비기나무(1kg) 등의 약재 8kg을 1말 5되의 물에 넣고 달여 물이 1말이 될 때 까지 중간불로 오랜 시간 삶아 약재의 성분이 잘 우러나도록 한다. 술을 안친 술독은 15℃에서 하루를 지낸 뒤 자리를 옮겨 약 20℃ 정도 되는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서 발효를 시키며 술독의 품온이 22~32℃ 정도가 되도록 온도유지에 신경을 써야 한다. 여름철에는 8~9일, 겨울철에는 10~11일 정도면 덧술의 발효가 끝나게 되며 술의 양에 따라 발효기간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발효가 끝나면 2차 덧술을 안치게 되는데 멥쌀 1말을 푹 쪄서 지은 고두밥을 차게 식혔다가 물 1말과 섞고 덧술을 안칠 때와 같은 방법으로 누룩 없이 덧술과 섞어 실내온도 15~18℃에서 여름철에는 4~5일, 겨울철에는 5~7일 정도 발효시키면 술이 다 익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팔목주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마편초과의 식물 요약 속씨식물 통화식물목의 한 과로, 약 2,000종이 주로 열대, 아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국내에는 작살나무가 우리나라 전역의 산지에서 발견되며, 순비기나무는 해안지역에 자생한다. 그 외에도 새비나무, 누리장나무, 누린내풀 등이 분포한다. 좀작살나무 작살나무 왕작살나무 새비나무 층꽃나무 누리장나무 섬누리장나무 누린내풀 마편초 좀목형 순비기나무 [네이버 지식백과] 마편초과의 식물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마편초과[ Verbena family , 馬鞭草科 ] 요약 속씨식물 통화식물목의 한 과로, 약 2,000종이 주로 열대, 아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 일부 종은 한대 지역에도 분포한다. 일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 아관목, 관목 또는 교목으로, 줄기에는 4개의 능각이 있다. 꽃부리는 전체에 짧은 털과 분비샘이 있다. 마편초과는 의약용 및 요리용부터 관상용 및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가치가 다양하다. 학명 Verbenaceae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통화식물 분포지역 열대, 아열대 및 온대 지역에 주로 분포, 일부 종은 한대 지역에도 분포 서식장소/자생지 숲 속, 숲 가장자리, 초지, 해안가, 계곡 주변 등에 분포 속씨식물 통화식물목의 한 과로, APG IV 시스템에 따르면 마편초과는 꿀풀목으로 분류된다. 마편초과는 약 100속에 2,000여 종이 주로 열대, 아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하며, 일부 종은 한대 지역에도 분포한다. 주로 숲속, 숲 가장자리, 초지, 해안가, 계곡 주변 등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가치 및 활용 마편초과는 의약용 및 요리용부터 관상용 및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경제적 가치가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리피아 둘시스(Lippia dulcis)의 잎은 멕시코 전통 요리에서 천연 감미료 및 향료로 사용되며, 버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의 추출물은 향과 잠재적인 피부 진정 효과 때문에 화장품 원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란타나속(Lantana)의 여러 종은 밝은 꽃송이를 가지고 있어 관상식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징 일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 아관목, 관목 또는 교목으로, 양성화주이다. 줄기에는 4개의 능각이 있다. 잎은 대개 돌려나거나 또는 마주나지만 드물게 어긋나며, 홑잎, 깃꼴겹잎 또는 손바닥 모양 겹잎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3개 또는 4개의 거치가 있다. 잎자루는 있거나 없으며, 턱잎은 없다. 꽃차례(화서)는 수상화서, 취산화서, 기산화서 또는 원추화서가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은 양성화이며, 방사상칭 또는 좌우상칭이다. 꽃받침은 종형, 통형, 서양배 모양 또는 깔때기형이고, 대개 3~8개로 갈리며, 표면에 털이 있고, 드물게 뚜렷한 맥이 있다. 꽃부리는 원주형 또는 깔때기형이며, 판통은 길게 신장하고, 4~8개로 갈리며, 간혹 순형(위아래의 2개 꽃이 마치 입술처럼 생긴 것)이고, 전체에 짧은 털과 분비샘이 있다. 수술은 4개로 이강웅예(4개의 수술 중 2개는 짧고 2개는 긴 수술 유형)이나 간혹 2개는 퇴화하기도 하고, 드물게 꽃잎과 동수이며, 판통에 붙는다. 수술대는 서로 떨어져 있고, 꽃밥은 2실이며, 안쪽을 향하여 터지며, 세로로 또는 구멍이 생겨 열개하고, 표면에 간혹 짧은 털이 있다. 암술은 합생하는 심피 2개로 이루어졌다. 자방(씨방)은 상위이고, 자방실은 처음에는 2~5개이나 결실기에는 4~10개로 된다. 암술대와 암술머리는 각각 1개이다. 열매는 육질의 핵과이며, 간혹 소핵과로 분리되거나 삭과이면서 분과로 나뉜다. 국내 분포 한국에는 5속(마편초속, 층꽃나무속, 작살나무속, 누리장나무속, 순비기나무속)에 약 12종이 알려져 있다. 작살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의 산지에서 발견되며, 순비기나무는 해안지역에 자생한다. 그 외에도 새비나무, 누리장나무, 누린내풀 등이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편초과 [Verbena family, 馬鞭草科]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만형자산[ 蔓荊子散 ] 요약 귀의 통증을 치료하는 한의학상의 처방. 신장에 딸린 경락에 풍열(風熱)이 있어서 귀에서 열이 나면서 아프고, 고름이 나오며, 귀에서 소리가 나거나 잘 들리지 않는 증세를 치료한다. 처방 내용은 만형자(순비기나무 열매)·적복령(붉은 솔풍령)·감국(단국화)·전호(생치나물 뿌리)·생지황·맥문동·상백피(뽕나무 뿌리의 껍질)·작약(메함박꽃 뿌리)·목통(으름덩굴)·승마·감초 각각 2.8g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서 식후에 복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형자산 [蔓荊子散]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
♣ 만형자[ 蔓荊子 ] 요약 마편초과의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의 열매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에서는 만형(Vitex trifolia L. var. simplicifolia Cham.:蔓荊)과 삼엽만형(Vitex trifolia L.:三葉蔓荊)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순비기나무와 삼엽만형을 말한다. 만형(蔓荊)이란 이름은 싹이 늦게 나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이 약은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차다.[辛苦寒] 만형자는 감기로 인한 어지럼증, 두통, 잇몸이 아픈 증상, 눈이 멍멍하고 충혈되고 눈물이 나며 붓고 아픈 증상, 고혈압, 저림증과 근육이 떨리는 증상에 쓰인다. 두통질환에 좋아 베갯속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약리작용 으로 진정, 진통, 해열, 내장순환촉진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원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바깥 면은 흑색이나 흑갈색이고 아래쪽으로부터 ⅓~⅔는 회백색의 얇은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가볍고 질이 단단하여 쉽게 부서지지 않는다. 이 약의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열매 속이 넷으로 갈라졌고 그 안에 백색의 작은 씨가 1개씩 들어 있다. 다른 이름으로 소형(小荊), 형자(荊子), 만형자(萬荊子), 만형실(蔓荊實), 만청자(蔓靑子) 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형자 [蔓荊子]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만형자[ 蔓荊子 ] 말초리풀과 식물인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L. fil.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순비기나무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차다. 방광경(膀胱經)에 작용한다. 풍열사(風熱邪)를 없애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며 기생충을 구제한다. 진정(鎭靜) 작용, 진통 작용, 해열 작용, 항알러지 작용이 실험에서 밝혀졌다. 감기, 풍열사로 인한 두통, 치통,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데, 촌백충증 등에 쓴다. 그대로, 또는 술에 불려 찌거나 덖아서 하루 6~9g을 탕제 · 환제 · 산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형자 [蔓荊子]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 만형자[ 蔓荊子 ]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Linné fil. 또는 만형(蔓荊) Vitex trifolia Linné(마편초과 Verbenaceae)의 열매이다. 열매로 구형~납작한 구형이며, 지름이 0.4~0.6cm이다. 바깥면은 회갈색~흑갈색이고 회백색을 띤 서리 모양의 융모가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4 줄의 골이 얕게 나 있다. 맨 위는 약간 오목하고 기부에는 회백색의 묵은 꽃받침 및 짧은 열매꼭지가 있다. 꽃받침의 길이는 열매의 1/3~2/3이고 5 개의 거치가 있는데 그 중 2 개는 비교적 깊으며 꽃받침 전체에는 촘촘하게 융모가 덮여있다. 몸체는 가볍고 질은 질기며 잘 부서지지 않는다. 횡단면에는 4 개의 방이 있는데 각 방에는 흰색의 씨가 한 개씩 있다. 특유한 방향이 있으며 맛은 담담하고 약간 맵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형자 [蔓荊子] (한약재감별도감 - 외부형태, 2014. 2. 28., 김창민, 이영종, 김인락, 신전휘, 김양일) ~~~~~~~~~~~~~~~~~~~~~~~~~~~~~~~~~~~~~~~~~ ♣ 만형자[ 蔓荊子 ] 무독, 량凉 다른이름 荊子(형자), 萬荊子(만형자), 蔓荊實(만형실), 蔓靑子(만청자) 약맛 고(苦) 신(辛)귀경 간(肝) 위(胃) 방광(膀胱) 주치 風熱頭痛, 風熱感冒, 風水泛濫, 肢體關節酸痛, 目赤腫痛, 目暗, 攣急, 頭昏, 頭風, 高血壓症頭痛 약용부위 열매 처방 가미고삼환(加味苦蔘丸)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禹餘粮,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苦蔘, 분량 : 1, 단위 :斤 본초명 : 枸杞子,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蔓荊子,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植防風, 분량 : 10, 단위 :兩 본초명 : 白芷, 분량 : 1.5, 단위 :兩 본초명 : 牛蒡子,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蒼耳子, 분량 : 10, 단위 :兩 본초명 : 何首烏,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荊芥, 분량 : 10, 단위 :兩 본초명 : 胡麻子, 분량 : 10, 단위 :兩 본초명 : 黃荊子, 분량 : 3, 단위 :兩 본초명 : 皂刺, 분량 : 10, 단위 :兩 본초명 : 蛇床子, 분량 : 3, 단위 :兩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蔓荊子,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羌活,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獨活,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植防風, 분량 : 0.5, 단위 :錢 본초명 : 藁本, 분량 : 0.5, 단위 :錢 금기 血虛有火로 인한 頭痛目眩과 脾胃가 虛寒한 者는 복용을 禁한다. 효능 去風除濕, 疏散風熱, 淸利頭目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本經(본경)>: 근육과 골격 사이의 寒熱(한열) 邪氣(사기)를 제거하고 濕(습)으로 인하여 저리고 근육이 당기는 증상을 치료하며 눈을 밝게 하고 치아를 튼튼하게 한다. 九竅(구규)를 잘 통하게 하고 기생충을 제거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 小荊實(소형실)도 主治(주치)가 같다. <別錄(별록)>: 風邪(풍사)로 인한 頭痛(두통)과 어지러움증을 동반한 耳鳴(이명), 눈물이 나는 증상을 치료하고 기운을 북돋운다. 얼굴에 윤기가 흐르게 한다. 甄權(견권): 風邪(풍사)를 물리치고 수염과 머리카락을 길게 한다. 池大明(지대명): 관절을 부드럽게 하고 癎疾(간질)을 치료하며 눈이 충혈된 것을 치료한다. 張元素(장원소): 太陽經(태양경) 부위의 頭痛(두통), 머리가 무겁고 가습이 답답한 증상, 안구에 군살이 돋아 시야를 가리는 것을 없애고 風邪(풍사)를 발산시키고 모든 경맥의 熱(열)을 시원하게 하고 안구통증을 치료한다. 王好古(왕호고): 肝經(간경)의 風(풍)을 없앤다. 약물이름의 기원 蘇恭(소공): 蔓荊(만형)은 싹이 늦게 난다. 때문에 蔓荊(만형)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만형자 [蔓荊子]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 |
||
(종류 및 유사종) ▶목형(Vitex negundo L.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소엽이 대부분 3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있고 중국산이며 남부지방에서 심고 있다. 밀원식물로 으뜸가는 수목이며 향기가 있다.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 L.f.): 줄기에서 뿌리를 내려 모래밭을 기어가며 산다. 전체에 회색빛이 나는 흰색의 잔털이 퍼져 난다. ▶좀목형(Vitex negundo L. var. incisa (Lam.) C.B.Clarke): 소엽은 피침형이고 길이 2-8㎝, 잎의 가장자리에는 큰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이며 엽병은 길이 3-4㎝이다. 줄기와 잎에 방향유(芳香油)가 있다. 밑에서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와 하나의 수형을 이룬다. 좀목형은 순비기나무와 비교할 때, 전체에 특유의 박하향이 있는 점은 비슷하나 잎이 손 모양의 겹잎인 점이 다르다. 순비기나무(V. rotundifolia L. f.)에 비해서 산과 들에 자라며, 잎은 홑잎이 아니라 작은잎 4-5장으로 된 겹잎이므로 구분된다 |
||
LIST
'산야초·독초 자료 > ★산야초 참고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체꽃 (1) | 2025.02.12 |
---|---|
산토끼꽃(속단 續斷) 효능 (4) | 2025.02.12 |
나팔꽃(견우자 牽牛子) 효능 (2) | 2025.02.09 |
갯메꽃(효선초근 孝扇草根, 노편초근 老扁草根) 효능 (0) | 2025.02.09 |
메꽃(선화 旋花, 구구앙 狗狗秧) 효능 (1) | 2025.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