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취(동풍채 東風菜) 효능
참취(동풍채 東風菜)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국화과 (Asteraceae) 참취속(Aster) 여러해살이풀 학명(Aster scaber Thunb.) 영문명(Edible aster) 별명(이명) 취나물,나물취,암취,나물채,취 한약명/생약명 동풍채(東風菜),동풍채근(東風菜根)/산백채(山白菜),백운초(白云草),마제초(馬蹄草),향소(香蔬) 분포지 전국 산이나 들의 초원 꽃피는 시기 8~10월(꽃은 흰색,노란색, 산방꽃차례,설상화(舌狀花)는 6∼8개이며 관상화(管狀花)는 노란색) 수확기(결실기) 9~11월(수과-여윈 열매) 용도 식용,약용,염료용 약용 (효능) 진통,해독,활혈,항산화,이담 (적용질환) 두통,현기증,근골통증,장염으로 인한 복통,인후염,타박상,독사교상,노폐물(나트륨) 배출,황달,간염,기침,소화장애,심..
2023. 2. 22.
물레나물(홍한련 紅旱蓮) 효능
물레나물(홍한련 紅旱蓮)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물레나물과(Clusiaceae) 물레나물속(Hypericum) 여러해살이풀 (Hypericum ascyron L.) 별명(이명) 물네나물, 메대채, 황해당, 금사호접, 소연요, 대금작, 금사조, 한연초, 홍한연,큰물레나물,매대체,연교,대연교,긴물레나물 한약명/생약명 홍한련(紅旱蓮)/, 금계도(金系桃), 가연교(假連翹), 대황심초(大黃心草) 분포지 전국 각지 양지쪽 풀밭 꽃피는 시기 6~8월(노란색,붉은색,황색) 수확기(결실기) 9~10월(삭과-튀는 열매 용도 약용(큰물레나물도 같이 사용, 맛은 약간 쓰고 성질은 차다.) 약용 (효능) 지혈,부기제거,간기능 장애(간화 제거),해독,살균작용,수렴작용,심장수축 강화,동맥압 높임 (적용질환) 두통,임파선염,토혈,월경..
2022. 6. 30.
궁궁이(산궁궁 山芎窮) 효능
궁궁이(산궁궁 山芎窮)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산형과 당귀속 여러해살이풀 (Angelica polymorpha Maxim.) 별명(이명) 도랑대,천궁( 川芎),괴근당귀, 다형당귀, 개강활, 토천궁,백봉천궁,심산천궁 한약명/생약명 산궁궁(山芎窮) 분포지 전국 각지의 산골짜기 냇가 꽃피는 시기 8~9월(흰색, 복산형꽃차례) 수확기(결실기) 9~11월(분과-갈래열매) 용도 식용,약용 약용 두통,진정,진통,오한,발열,진정제,순혈, 청혈, 강장,부인병( 월경불순, 산전산후), 어혈, 토혈, 소변출혈, 반신불수, 배농 시 진통 작용도 하며 통경약으로 사용 사용부위 뿌리 채취 및 조제 성분 경에는 특유의 방향성분이 있고 알코올, 페놀, 에스테르, 휘발성유 성분을 함유 약효 및 용법 ♣ 4월 상순이나 중순경에 갓 자라나..
2022. 3. 30.
참취(동풍채 東風菜) 효능
참취(동풍채 東風菜)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Aster scaber Thunb.) 별명 취나물,나물취,암취 한약명/생약명 동풍채(東風菜),동풍채근(東風菜根)/산백채(山白菜),백운초(白云草),마제초(馬蹄草),향소(香蔬)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8~10월(꽃은 흰색,노란색, 설상화(舌狀花)는 6∼8개이며 관상화(管狀花)는 노란색) 수확기(결실기) 11월 용도 식용,약용,염료용 약용 두통,현기증,진통,해독,혈액순환 촉진,근골통증,장염으로 인한 복통,인후염,뱀에 물렸을 때,노폐물 배출,항산화작용 사용부위 전초,뿌리 채취 및 조제 늦가을 또는 이른 봄에 굴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잘게 썰어서 사용 성분 ♣영양성분
2021. 3. 28.
[기관지염]족도리풀
족도리풀(細辛)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쥐방울덩굴과 별명 화세신(華細辛),少辛(소신),小辛(소신),細草(세초),細條(세조),綠鬚薑(녹수강) 생약명 세신(細辛)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4월 수확기(결실기) 8~9월 용도 약용 약용 발한,거담,진통,진해,두통,소화불량,해열,감기,치통,기침,기관지염,천식,사지마비,근육통,류머티스성 관절염 사용부위 잎,뿌리 채취 및 조제 초여름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서 사용 성분 뿌리와 줄기에는 아시티닌,세사민,메틸유게놀이란 기름성분 함유 약효 ♣외감성 두통,오한,발열,전신통,눕고 싶은 충동이 심할 때 ♣찬 것이 폐에 정체되어 일어나는 해수,천식,가래가 많고 맑은 증상 ♣중풍으로 인한 인사불성(가루 내어 코에 불어 넣음)♣(뿌리)기침,진통,감기,두통,이뇨 용법 출처 해설 뿌리..
2020. 11. 16.
[보혈/보신]작약
작약(芍藥)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미나리아재비과 별명 적작약(赤芍藥),집함박꽃 생약명 작약(芍藥) (함박꽃 작)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5~6월 수확기(결실기) 여름~가을 용도 약용,원예용,관상용 약용 복통,위통,치통,두통,설사복통,월경불순,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대하증,식은 땀,신체 허약증 사용부위 뿌리 채취 및 조제 가을에 채취하여 외피를 제거한 후 끓는 물에 가볍게 데친 다음 햇볕에 말려서 사용 성분 파에오니플로린,파에오놀,파에오닌,안식향산,지방유,탄난,베타-시타스테롤 등을 함유 약효 진통,해열,진경,이뇨,조혈,지한등의 효능으로 특히 복통,위통,두통 등에 좋으며, 설사복통,월경불순,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대하증,식은 땀 흘리는 증세,신체허약,치통 등의 치료에 사용 용법 ♣말린 뿌리를 감초와 같..
2020. 11. 15.
[감기/몸살] 감국 (甘菊)
감국 (甘菊)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국화과 (달 감, 국화 국) 별명 섬감국,황국(黃菊) 생약명 야국(野菊),야황국(野黃菊),야국화(野菊花) (들 야, 국화 국) 분포지 주로 산에 분포, 전국 꽃피는 시기 9~10월 수확기(결실기) 여름~가을 용도 약용,식용(어린순),관상용 약용 열감기,몸살,폐렴,기관지..
2012. 2. 25.
[감기/몸살] 고본 (藁本)
고본 (藁本)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산형과 별명 괴경,지신,미경 생약명 고본(藁本) (나무 마를 고, 근본 본) 분포지 중북부의 산간 고랭지, 전국 꽃피는 시기 8~9월 수확기(결실기) 여름~가을 용도 약용 약용 감기,몸살,두통,관절통,치통,복통,설사,습진 사용부위 씨앗, 뿌리 채취 및 조..
2012. 2. 23.
[고혈압] 천마(天麻)
천마(天麻)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난초과 별명 수자해좆, 적전(赤箭) 생약명 천마(天麻) 분포지 숲 속 꽃피는 시기 5~6월 수확기(결실기) 7~8월 용도 식용,약용(땅속줄기) 약용 고혈압,뇌졸중,불면증,백혈병,간경화증,암,두통,강장,진정 사용부위 뿌리줄기(천마), 술 담글 때는 전초까지도 사용..
2011.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