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소종9

까치수염(낭미파화 狼尾巴花) 효능 까치수염(낭미파화 狼尾巴花)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앵초과 (Primulaceae) 까치수염속(Lysimachia) 여러해살이풀 학명(Lysimachia barystachys Bunge) 영문명(Manchurian yellow loosestrife) 별명(이명) 까치수영,꽃꼬리풀,개꼬리풀 한약명/생약명 낭미파화(狼尾巴花) 분포지 전국의 낮은 지대의 약간 습한 풀밭 꽃피는 시기 6~8월(흰색, 산형꽃차례) 수확기(결실기) 9월(삭과,붉은 갈색) 용도 약용,식용,관상용 약용 (효능) 調經(조경), 散瘀血(산어혈), 淸熱(청열), 消腫(소종) (적용질환) 월경불순, 월경통, 感冒風熱(감모풍열), 咽喉腫痛(인후종통), 化膿性 乳腺炎(화농성 유선염), 타박상, 捻挫(염좌),자궁출혈,요통,관절염,골절상,담 사용부위 .. 2023. 2. 9.
가락지나물(사함 蛇含) 효능 가락지나물(사함 蛇含)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장미과(Rosaceae) 양지꽃속(Potentilla) 여러해살이풀 학명(Potentilla anemonifolia Lehm.) 영문명(Anemone cinquefoil) 별명(이명) 소시랑개비,쇠스랑개비,가는잎쇠스랑개비 한약명/생약명 사함(蛇含)/ 위사(威蛇), 지오가(地五加), 오성초(五星草) 분포지 전국 각지 들의 습기 있는 곳,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 5~7월(노란색,취산꽃차례) 수확기(결실기) 월(수과) 용도 약용 약용 (효능) 淸熱(청열),해열,진해,해독,소종 (적용질환) 발열,경기,기침,인후염,종기,습진,뱀이나 벌레 물린데,驚癎高熱(경간고열), 말라리아, 咳嗽(해수), 丹毒(단독), 痒疹(양진) 사용부위 전초,뿌리 딸린 전초 채취 및 조제 여름.. 2023. 2. 8.
며느리배꼽(강판귀 扛板歸) 효능 며느리배꼽(강판귀 扛板歸)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마디풀과 (Polygonaceae) 여뀌속(Persicaria) 덩굴성 한해살이풀 학명(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영문명(Asian tearthumb) 별명(이명) 며누리배꼽,사광이풀,참가시덩굴여뀌 한약명/생약명 강판귀(扛板歸)/ 자리두(刺梨頭),호설초(虎舌草),용선초(龍仙草),자산장(刺酸漿) 분포지 전국 각지 산야진 길가의 빈터 부근 꽃피는 시기 7~9월(녹색:엷은 녹백색,수상꽃차례), 지리산 개화기(8~10월) 수확기(결실기) 10월(수과,흑색) 용도 약용,식용 약용 (효능) 利水(이수), 消腫(소종), 淸熱(청열), 活血(활혈), 해독,이뇨 (적용질환) 피부병,옴,양모,水腫(수종), 황달, 下痢(하리), 말라리아,.. 2023. 1. 28.
며느리밑씻개(자삼 刺蔘) 효능 며느리밑씻개(자삼 刺蔘)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마디풀과 (Polygonaceae) 여뀌속(Persicaria) 덩굴성 한해살이풀 학명(Persicaria senticosa (Meisn.) H.Gross) 영문명(Prickled-vine smartweed) 별명(이명) 사광이아재비,가시덩굴여뀌,가시메밀,자료 한약명/생약명 자삼(刺蔘)/ 廊茵(낭인) 분포지 한반도 전역의 도시와 농촌 주변의 황무지, 밭 언저리, 습지 주변 등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 7~8월(연한 분홍색, 양성화), 지리산 개화기(8~9월) 수확기(결실기) 8~9월(소견과, 검은색) 용도 약용,식용 약용 (효능) 行血散瘀(행혈산어), 消腫解毒(소종해독) (적용질환) 蛇頭瘡(사두창), 癰癤(옹절), 영아의 태독, 子宮下垂(자궁하수), 위통,.. 2023. 1. 28.
풀솜대(녹약 鹿藥) 효능 풀솜대(녹약 鹿藥)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백합과(Liliaceae) 솜대속(Smilacina) 여러해살이풀 학명(Maianthemum japonicum (A.Gray) LaFrankie) 영문명(Snowy false lily of the valley) 별명(이명) 솜때, 털솜대, 지장나물,지장보살, 솜대(북한명),솜죽대 한약명/생약명 녹약(鹿藥) 분포지 산지의 숲속 꽃피는 시기 5~7월(흰색, 복총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 월(장과, 붉은색) 용도 약용,식용,관상용 약용 (효능) 補氣(보기), 益腎(익신), 祛風(거풍), 除濕(제습), 活血(활혈), 調經(조경),소종 (적용질환) 사지마비,생리불순,종기,타박상,노상, 偏(편),正頭痛(정두통), 風濕(풍습)에 의한 疼痛(동통), 乳癰(유옹-화농성 유선염),.. 2023. 1. 17.
주엽나무(조각자 皂角刺) 효능 주엽나무(조각자 皂角刺)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콩과(Leguminosae) 주엽나무속(Gleditsia) 낙엽활엽교목, 암수한그루 학명(Gleditsia japonica Miq.) 영문명(East Asian honey locust) 별명(이명) 쥐엽나무,주염나무,쥐엄나무 한약명/생약명 (가시)조각자(皂角刺)/ (열매)조협자(皁莢子) 분포지 전국 산골짜기나 냇가 (원산지:한국특산식물) 꽃피는 시기 5~7월(녹색) 수확기(결실기) 월(협과) 용도 약용(냄새는 없고 맛은 맵고 따뜻하다, 귀경은 간,위), 식용(연한잎, 열매 과즙),가구재 약용 (효능) ( 가시)소종(소염),배농 ( 열매)거풍,거담 ( 열매껍질)비누 대용 (적용질환) ( 열매)천식,객담 ( 열매껍질)가래제거,치질 ( 가시)종기,치풍,살충제 ( .. 2023. 1. 14.
금낭화(錦囊花) 효능 금낭화(錦囊花)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양귀비과(Papaveraceae) 금낭화속(Dicentra) 여러해살이풀 학명(Dicentra spectabilis (L.) Lem.) 영문명(Bleeding heart) 별명(이명) 하포목단,며느리주머니,며눌취,며늘치,등모란,덩굴모란,밥풀꽃 한약명/생약명 하포목단근(荷包牧丹根)/ 금낭근(錦囊根), 토당귀(土當歸) 분포지 산지의 돌무덤,계곡 원산지(한국,중국) 꽃피는 시기 5~6월(백색,붉은색,담홍색, 꽃말:당신을 따르겠습니다) 수확기(결실기) 6~7월(긴 타원형의 삭과-튀는 열매:익으면 과피가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여러 개의 씨방으로 된 열매) 용도 약용,식용(어린잎, 줄기, 독을 빼내고 먹는다),관상용 약용 (효능) 피 맑게,소종,거풍(祛風),화혈산혈(和.. 2023. 1. 9.
소리쟁이 효능 소리쟁이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여러해살이풀 별명 소루쟁이 한약명/생약명 우이대황(牛耳大黃) /양제(羊蹄), 야대황(野大黃), 독채(禿菜), 우설근(牛舌根)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5~6월(담록색) 수확기(결실기) 7~8월 용도 약용(맛은 차고 쓰다),식용(어린 잎) 약용 건위제,지혈제,설사,해열,피부병,통변(通便).이수(利水).소종(消腫).변비,장염,소화불량,간염,황달,빈혈,자궁출혈,항암,항균 사용부위 뿌리,잎 채취 및 조제 4~5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전초를 가을에 채쥐 성분 뿌리줄기에 안트라퀴논(Anthraquinon) 유도체인 크리소파놀(Chrysophanol)과 에모딘(Emodin)이 함유 약효 및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4~6g씩 200ml의 물로 달여서 복용.. 2021. 3. 28.
속속이풀(풍화채 風花菜) 효능 속속이풀(풍화채 風花菜)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십자화과 개갓냉이속 두해살이풀(해넘이한해살이풀) 별명 속속냉이 한약명/생약명 풍화채(風花菜)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5~6월(노란색) 수확기(결실기) 6~7월 용도 식용,약용(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 약용 청열이뇨,해독소종,혈액순환 촉진,급성전염성간염으로 황달이 있을 때,청혈,괴혈병 치료,간담도질병 치료,콩팥질병,폐결핵,수종,인후통,복수,임질,관절염,무명종독,골수염,복수과다,선모충증,전신부종,소변불리,종기,탕화상 (출처:http://www.jdm0777.com/a-yakchotxt/soksokipul.htm) 사용부위 전초 채취 및 조제 7~8월에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잘게 썰어서 쓴다. 성분 약효 및 용법 ♣이용방안 ▶어린순을 나물로 .. 2021. 3. 18.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