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도움 되는 약초/감기·몸살

좁쌀냉이(한채) 효능

by 고산마루(다올) 2022. 3. 10.
SMALL

좁쌀냉이(한채)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십자화과 개갓냉이속 한해살이 또는 해넘이한해살이,(여러해살이풀)
(Rorippa indica (L.) Hiern)
 
별명 졸속속이풀,황새나생이,들갓,줄속속이풀(북한명)
 
한약명/생약명 한채/ 야개채(野芥菜), 산개채(山芥菜), 날미채(辣米菜)

분포지 전국 각지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 5~6월(노란색,총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 7월 (종자:황색)  
용도 식용,약용(매운 맛)  
약용 효능: 청열,이뇨,활혈,통경,진해,해독
적용질환: 감기,기침,인후염,기관지염,간염,황달,수종,각기,타박상,종기,무월경,살갗에 물집이 돋는 증세

 
사용부위 꽃을 포함한 전초

 
채취 및 조제 꽃이 필 때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후 잘게 썰어서 사용

성분


약효 및 용법 약효
해열, 진해, 해독, 이뇨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혈액의 순환을 돕는다. 적용질환은 감기, 기침, 기관지염, 인후염, 간염, 황달, 각기 등이다. 또한 월경이 나오지 않는 증세나 살갗에 물집이 돋는 증세(水腫)를 치료하기 위해서도 쓴다. 타박상이나 피부의 지방분비선이나 땀구멍으로 화농균이 침입하여 생겨나는 부스럼 등 외과 질환의 치료약으로도 사용된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6~10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타박상이나 부스럼에는 생풀을 짓찧어서 붙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갓냉이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

 
     
출처
 
해설 개갓냉이는 냉이 종류인데, 갓처럼 매운맛이 나서 개갓냉이다.
~~~~~~~~~~~~~~~~~~~~~~~~~~~~~~~~~~~~~~~~~
♣ 졸속속이풀이라고도 한다. 낮은 지대의 밭이나 들에서 자란다. 높이 20∼50cm이다. 풀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뭉쳐 나고 잎자루가 있다. 길이 1.5cm 정도이며 깃꼴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갈라지지 않는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없다.

5∼6월에 작은 노란색 꽃이 가지 끝과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핀다. 꽃받침은 긴 타원형이고, 꽃잎은 주걱처럼 생겼으며 6개의 수술 중 4개가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7월에 맺으며 길이 1.5∼2.2cm이다. 안으로 굽은 좁은 줄 모양이며 종자는 노란색이다.

4월에 어린 순을 나물로 먹거나 김치로 담가 먹는다. 한방에서는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간염, 황달, 수종, 각기, 타박상, 종기 등에 처방한다. 민간요법으로 풀 전체를 짓찧어서 상처에 붙이기도 한다. 한국(중부 이남)·일본·중국·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갓냉이 (두산백과)
~~~~~~~~~~~~~~~~~~~~~~~~~~~~~~~~~~~~~~~~~

형태분류
줄기: 한해살이(때로는 해넘이살이)로 전체에 털이 없고,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 부분이 꺾이면서 직립한다.

: 잎자루가 있는 로제트 잎이 땅바닥에 누워서 자라고, 줄기에서 난 잎(莖生葉)은 어긋나며(互生), 폭이 넓은 타원형이고, 거친 톱니(鋸齒)가 있다. 어린잎이나 싹을 씹으면 매운 맛이 약간 난다.(비교: 속속이풀의 줄기에서 난 잎은 폭이 좁고 긴 타원형이다.)

: 4~6월에 황색으로 줄기 끝부분에서 송이모양꽃차례(總狀花序)로 핀다. 암술대(花柱)가 굵고 짧다.(비교: 속속이풀은 암술대가 길고 가늘다.)

열매: 뿔열매(角果)로 긴 원주형이며, 길이가 11~21mm이다.(속속이풀은 7mm 이하다.)

염색체수: 2n=24, 32, 48

생태분류
서식처: 농촌 들녘, 길 언저리, 정원, 휴경논, 하천변, 습지 언저리 등, 양지, 적습(適濕)~약습(弱濕)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구릉지대 이하
식생지리: 난온대~냉온대, 중국, 대만, 일본,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북미와 남미에 귀화)
식생형: 농지식생(휴경지 1년생잡초군락), 터주식생(농촌형)
종보존등급: [V] 비감시대상종

개갓냉이는 이른 봄, 습한 밭이나 논에서 흔하게 눈에 띄는 여름형 한해살이인데,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을 경험하는 해넘이살이로 살아간다. 연중 습윤한 환경조건이라면 여러해살이로 사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생명 길이는 1년이 넘지 않는 한해살이다. 어린잎이나 싹을 씹으면 약간 매운 맛이 나지만, 그리 자극적이지는 않다.

개갓냉이는 속속이풀과 많이 닮았지만, 키가 작고 줄기의 갈라짐(分枝)도 적으며, 긴 뿔열매(長角果)는 좁은 선형이고, 암술대(花柱)가 굵고 짧아서 구분된다. 줄기의 마디 부분이 굽어서 줄기가 전반적으로 굴곡져 있고, 세로로 줄이 나 있기 때문에 만지면 심한 각이 느껴지는 것이 개갓냉이다. 그래서 북한에서는 줄속속이풀이라는 명칭을 쓴다. 개갓냉이는 누기(漏氣)가 있는 길가나 논밭 언저리에 주로 산다면, 속속이풀은 하천변이나 물기가 마르지 않는 논바닥에 주로 산다.

일본명 이누카라시(犬芥子, 견개자)는 채소 갓(芥子, 개자)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나름의 나물(菜, 채)이라는 의미에서 견(犬) 자가 붙은 것이다. 카라시(芥子, 개자)의 카라(芥, 개)는 우리말 갓에 잇닿아 있다. 채소 菜(채) 자를 일본어로 ‘나’ 또는 ‘나시’로 읽으며, 이것 또한 우리말 나물에 잇닿아 있다(냉이 참조). 개갓냉이라는 한글명은 일본명 이누카라시(犬芥子)를 번역한 명칭일 것이나, 이누카라시의 이름 유래를 따지면 이것 또한 우리말에서 비롯된다.

개갓냉이는 최초 한글명으로 ‘황?내?이’ 즉 황새나생이로, 오늘날 황새냉이(Cardamine flexuosa)라고 부르는 이름은 ‘황?엉이’로 기재된 바 있다. 그 후로 들갓이라는 이름으로도 기재된 바 있다. 개갓냉이는 꽃이 필 때쯤에 식물체 전체를 음지에서 말려서 따뜻한 물로 차처럼 우려 마시던 생활 속의 들풀 자원이었다고 한다. 들갓이란 이름이 와 닿는다. 그런데 일본명 이누가라시(犬芥子, 견개자)로부터 개갓냉이란 이름이 생겨나면서 황새나생이와 들갓이란 이름이 사라지고 말았다.

개갓냉이가 사는 서식처는 황새가 먹이를 찾는 누기(漏氣)진 들판이다. 들풀 이름이 사라진다는 것은 이처럼 황새, 나생이, 들, 갓, 이 말 속에 들어 있는 생명성과 정신성도 함께 사라지는 것이어서 안타깝다. 인간은 어떠한 생명성도 정신성도 요구받지 않는 오직 훈련된 세뇌 프로그램으로 사는 개(犬)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속명 로리파(Rorippa)는 독일 작센(Saxonia) 지방에서 부르는 고명(古名, rorippen)이며, 종소명 인디카(indica)는 인도를 의미한다. 영국 식물학자(W.P. Hiern, 1839~1925)가 1896년에 인도에서 채집한 표본으로 명명한 것에서 유래한다.

영어명은 개갓냉이의 변화무쌍한 잎 모양을 표현하는 것이며, 실제로 개갓냉이는 뿌리에서 난 잎과 줄기에서 난 잎, 그리고 아래 잎과 위의 잎, 모두가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갓냉이 [Variable leaf yellowcress, イヌガラシ]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김종원)
~~~~~~~~~~~~~~~~~~~~~~~~~~~~~~~~~~~~~~~~~

분포
전국 각지에 분포

특징
좀개갓냉이와 함께 자라며 속속이풀과 좀개갓냉이에 비해 길고 가느다랗다.


근생엽은 한군데서 모여나며퍼지고 길이 5~10cm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으로서 갈라지지 않으며 톱니가 있고 양끝이 좁으며 엽병이 없다.


꽃은 5~6월에 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작은 십자모양꽃부리가 총상으로 달리고 꽃받침조각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mm 정도로서 털이 약간 있고 꽃잎은 황색이며 주걱모양 비슷하고 꽃받침보다 약간 길며 넷긴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
열매는 장각과 좁은 선형이며 길이 1.5~2.2cm, 폭 1.2mm이고 약간 안으로 굽으며 약간 옆으로 뻗는 길이 5~8mm의 대 위에 달리고 끝에 굵고 짧은 암술대가 있으며 종자는 황색이다.

줄기
높이 20~5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건강한 식물이다.

생육환경
경작지나 도랑가 등에 잡초로서 자란다.

이용방안
•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 화(花) 또는 전초(全草)를 한채라 하며 약용한다.
① 6~7월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전초에는 rorifone이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淸熱(청열), 利尿(이뇨), 活血(활혈), 通經(통경)의 효능이 있다. 감기, 熱咳(열해), 咽痛(인통), 痲疹不易透發(마진불역투발-發疹不完全(발진불완전)의 홍역), 류머티성 관절염, 황달, 水腫(수종), 정창, 타박상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15~30g(신선한 것은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갓냉이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종류 및 유사종)
개갓냉이(Rorippa indica (L.) Hiern): 개갓냉이 열매는 속속이풀 열매에 비해 가늘고 길다.
▶속속이풀
(): 뿌리잎의 잎몸이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좀개갓냉이에 비해 보다 짧고 통통하다.
▶좀개갓냉이
(): 가지가 벌어지지 않고, 열매가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달리며 열매자루가 없다.


 

 

LIST

'건강에 도움 되는 약초 > 감기·몸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 효능  (0) 2020.12.18
[감기/몸살] 유자 (柚子)  (0) 2012.02.28
[감기/몸살] 감국 (甘菊)  (0) 2012.02.25
[감기/몸살] 고본 (藁本)  (0) 2012.02.23
[감기/몸살] 고비 (자기)  (0) 201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