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애기똥풀(백굴채 白屈菜)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양귀비과(Papaveraceae) 애기똥풀속(Chelidonium) 두해살이풀 유독성식물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 Hara) Ohwi) |
|
별명(이명) | 까치다리,씨아똥,젖풀,아기똥풀,버짐풀,즙채,산황련(山黃連),토황련(土黃連),황장초(黃漿草),산대연(山大烟),웅황초,가황연 |
|
한약명/생약명 | 백굴채(白屈菜) |
|
분포지 | 마을 근처의 길가나 풀밭 | |
꽃피는 시기 | 5~8월(황색, 꽃말-몰래 주는 사랑) | |
수확기(결실기) | 6~9월(삭과-튀는 열매) | |
용도 | 약용(특유한 냄새가 나고 맛은 쓰다) | |
약용 | (효능) 鎭痛(진통), 止咳(지해), 利尿(이뇨), 해독,항종양,항염증,항균,이담,항경련,방사선 방지,방광 거담 및 천식 억제 (적용질환) 진통제(위장염,위궤양 등으로 인한 복부 통증),이질,황달형간염.피부궤양,옴,버짐,습진,사마귀 제거 |
|
사용부위 | 전초,줄기즙(염료재) |
|
채취 및 조제 | 5-7월의 개화기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널어서 말린다. |
|
성분 | sanguinarine, chelidonine, protopine, chelidoniol, sanguinarine 등 |
|
약효 및 용법 | ♣ 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도로는 생잎줄기를 적당히 잘라서 약용 알코올에 담가 두었다가 모기나 벌, 송충이 등에 쏘여서 가려울 때 그 액을 탈지면에 묻혀 바르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 주의사항 신경마비, 구토, 설사를 일으키므로 초식동물도 먹지 않는다. |
|
출처 | ||
해설 | ♣ 애기똥풀은 줄기나 잎을 자르면 노란색의 유액이 나오는데, 이 모양이 마치 아기의 똥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즙은 처음에는 노란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황갈색으로 된다. ~~~~~~~~~~~~~~~~~~~~~~~~~~~~~~~~~~~~~~~~~ ♣ 까치다리, 씨아똥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근처의 길가나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는 곧고 땅 속 깊이 들어가며 귤색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속이 비어 있으며 높이가 30∼80cm이고 분처럼 흰색을 띠며 상처를 내면 노란색의 액즙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1∼2회 깃꼴로 갈라지며 길이가 7∼15cm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와 함께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 있다. 잎 뒷면은 흰색이고 표면은 녹색이다. 꽃은 5∼8월에 황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몇 개가 달린다. 꽃의 지름은 2cm이고, 꽃받침조각은 2개이며 길이 6∼8mm의 타원 모양이고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개이고 길이 12mm의 긴 달걀 모양이며,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약간 굵고 끝이 2개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좁은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가 3∼4cm이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백굴채(白屈菜)라고 하며, 위장염과 위궤양 등으로 인한 복부 통증에 진통제로 쓰고, 이질·황달형간염·피부궤양·결핵·옴·버짐 등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사할린·몽골·시베리아·캄차카반도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네이버-두산백과 두피디아] ~~~~~~~~~~~~~~~~~~~~~~~~~~~~~~~~~~~~~~~~~ ♣ 분포 한국, 동부아시아의 온대, 전국각지에 야생한다. 특징 • 상처를 내면 등황색의 유액이 나오기 때문에 애기똥풀이라고 한다. • 전초를 백굴채(白屈菜)라 한다. • 전체가 분백색을 띠며 흰 깃털이 있다. 크기 높이는 30~80cm 가량된다.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있고 1-2회 넓게 우상전열(羽狀全裂) 또는 깊게 갈라지며 길이7-15cm, 나비5-10cm로서 끝이 둥글고 뒷면은 백색이며 털이 약간 남아 있기도 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와 결각이 있다. 열편은 도란상의 긴타원모양이다. 꽃 5-8월에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우상모양꽃차례가 발달하고 황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조각은 2개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6-8mm이고 일찍 떨어지며 겉에 잔털이 있다. 꽃잎은 4개이고 장란형이며 길이 12mm 가량이다. 많은 수술이 있고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약간 굵고 끝이 2개로 얕게 갈라진다. 씨방은 선형이다. 열매 삭과는 좁은 원주형이고 길이 3-4cm, 지름 2mm 정도로서 양끝이 좁고 같은 길이의 대가 있다. 줄기 원줄기는 높이 30-80cm로서 잎과 더불어 분을 칠한 듯한 흰빛이 돌고 다세포로 된 곱슬털이 있으나 나중에 거의 없어지며 상처를 내면 등황색의 유액이 나온다. 뿌리 원뿌리는 땅속 깊이 들어가고 등황색이다. 생육환경 • 부락 근처의 양지 또는 숲가장자리에서 흔히 자란다. • 양지 또는 반그늘에서 재배하고 가급적으로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번식방법 씨는 산모래 묘상에 뿌린다. 재배특성 두해살이풀이므로 매년 종자를 뿌려서 묘를 만든다. 1년째는 근생엽대로 넘기므로 본엽이 3-4매 나왔을 때에 산모래에 부엽토를 섞은 배양토에 정식한다. 이용방안 •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지상부만을 잘게 썰어 끓여서 염액을 내었는데 매염제를 쓰지 않고도 짙은 색이 나왔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은 그다지 좋지 않다. • 지상부(地上部) 전초(全草)는 白屈菜(백굴채), 근(根)은 白屈菜根(백굴채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1) 白屈菜(백굴채) ① 5-7월의 개화기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널어서 말린다. ② 성분: 신선한 줄기에는 진한 등황색의 乳液(유액)이 있고 유액 중에는 다종류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함유량은 0.7%, 혹은 0.97-1.87%이다. 그 중에서 chelidonine 41%, protopine 22%, stylopine 17%, allocryptopine 9%, berberine 5%, chelerythrine 3%, sanguinarine 1.5%, sparteine 0.1%가 함유되어 있고 또 hydroxychelidonine 즉 oxychelidonine, methoxychelidonine, cryptopine, chelilutine, chelidamine, homochelidonine, hydroxysanguinarine, oxysanguinarine이 함유되어 있고 alkaloid 외에도 chelidon산(酸), 사과산, 구연산, 호박산, choline, methylamine, histamine, tyramine, saponin, flavonol, 또 强心配糖體(강심배당체)도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개화기에 함유량이 최고로 된다. 뿌리의 alkaloid는 1.33% 또는 1.90-4.14%로 일부 alkaloid는 본식물의 지상부에 함유된 것과 같다. 잎에는 flavonoid 1.43%가 함유되어 있고 다량의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는데 개화기에 최고가 되어 834mg%에 달하며 과실에는 다량의 choline, chelidonine, trtrahydrocoptisine이 함유디어 있다. ③ 약효: 鎭痛(진통), 止咳(지해), 利尿(이뇨), 해독의 효능이 있다. 위장의 疼痛(동통), 황달, 水腫(수종), 疥癬瘡腫(개선창종), 蛇,蟲咬傷(사,충교상) 등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1.5-6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바른다. (2) 白屈菜根(백굴채근) ① 여름에 채취하여 陰乾(음건)한다. ② 약효: 破瘀(파어), 消腫(소종), 止血(지혈),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勞傷瘀血(노상어혈), 월경불순, 월경통, 소화성 궤양병, 蛇咬傷(사교상) 등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출처:네이버-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식물] ~~~~~~~~~~~~~~~~~~~~~~~~~~~~~~~~~~~~~~~~~ ♣ 이른 봄에 잎은 옆으로 퍼지며 자라다가 비스듬이 퍼진다. 줄기에 잎은 어긋나고 잎은 1~2회 갈라지며 길이 7~15 cm, 폭 5~10 cm 정도이다.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희며 털이 있다. 꽃줄기와 어린 꽃봉오리는 흰털로 덥힌다. 꽃은 늦은 봄부터 여름까지 가지 끝에 산형꽃차례로 핀다. 꽃받침은 2장으로 잔털이 있고 길이 6~10 mm 정도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주로 4개이나 5~6개인 경우도 있다. 꽃잎 길이는 12 mm 내외. 암술은 1개로 수술보다 약간 길다, 수술은 여러 개로 수술자루는 황색이다. 콩 꼬투리 모양의 열매는 삭과로 길이 3~4 cm 정도, 지름 2 mm 정도이다.3) 종자는 흑색이며 엘라이오좀(elaiosome), 지방산, 아미노산, 포도당 등으로 만들어진 종침이 붙어 있어 개미들이 먹이로 물어다가 개미집으로 운반하면 그곳서 발아하여 번식한다. 가지 끝에 여러 개의 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출처:네이버-식물학백과] ~~~~~~~~~~~~~~~~~~~~~~~~~~~~~~~~~~~~~~~~~ ♣ 1. 특징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두해살이풀이다. 온몸에 길고 부드러운 털이 나 있는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기는 하나 꺾어지기 쉬우며 50cm 정도의 높이로 자라 여러 개의 가지를 친다.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여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길쭉한 타원 꼴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무딘 톱니가 생겨나 있고 표면은 초록빛이지만 뒷면은 가루를 쓴 것처럼 희게 보인다. 잎과 줄기를 자르면 주황색의 즙이 흘러 애기똥풀이라고 부른다. 잎겨드랑이로부터 자라난 꽃대에 몇 송이의 꽃이 핀다. 4장의 꽃잎과 많은 수술을 가지고 있으며 지름은 2mm 안팎이고 빛깔은 노랗다. 2. 분포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인가와 가까운 양지바른 곳 또는 약간 그늘지는 자리에 난다. 3. 약용법 생약명 백굴채(白屈菜) 사용부위 꽃을 포함한 줄기와 잎을 모두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꽃이 피고 있을 때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말린 것은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병에 따라서는 생풀을 쓰기도 한다. 성분 진통작용을 하는 켈리도닌(Chelidonine)을 비롯하여 켈레리스린(Chelerythrine), 프로토핀(Protopine), 말릭산(Malic acid), 산구이나린(Sanguinarin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진통, 진해, 이뇨, 해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은 기침, 백일해, 기관지염, 위장통증, 간염, 황달, 위궤양 등이다. 그밖에 옴, 종기,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의 치료에도 쓴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1~2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옴, 종기,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에는 생풀을 찧어 즙을 내어 바른다. 4. 식용법 어린순을 나물로 해먹는 고장이 있다. 그러나 유독성분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출처:네이버-몸에 좋은 산야초] ~~~~~~~~~~~~~~~~~~~~~~~~~~~~~~~~~~~~~~~~~ |
|
♣ 형태분류 줄기: 한해살이지만 서식조건에 따라 11월에 발아해 로제트로 겨울을 나는 해넘이살이를 한다. 보통 이듬해 9월까지 생육한다. 속이 비어 있고(中空), 분백색을 띤다. 식물체에 상처를 내면 황색 즙액이 나온다. 잎: 어긋나며(互生), 2~4갈래로 갈라지는 겹잎(複葉)이고, 표면이 밝은 녹색을 띠며, 꼬부라진 연약한 털이 많다. 꽃: 5~10월에 황색으로 피고, 위쪽의 잎겨드랑이(葉腋)나 잎과 마주나는 우산모양꽃차례(傘形花序)다. 열매: 여윈열매(蒴果)로 긴 뿔처럼 생긴 열매는 위로 서고,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염색체수: 2n=10, 12 생태분류 서식처: 밭두렁, 산간과 농촌의 철로변과 길가, 하천변, 고수부지 등, 양지~반음지, 적습(適濕)~약습(弱濕)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구릉지대 이하 식생지리: 냉온대~난온대, 중국, 만주, 연해주, 일본 등 식생형: 터주식생(농촌형 > 도시형), 임연식생(소매식물군락) 종보존등급: [V] 비감시대상종 식물체에 상처가 나면, 이름대로 애기 똥 같은 노란 유액이 나와 애기똥풀이란 이름을 얻었다. 일본명 쿠사노오(草の黄)는 황색 유액을 내는 풀에서 비롯된 이름이며, ‘욕창(瘡, 창, 쿠사)과 같은 피부병을 치료하는 약이 되는 풀이라고 해서 그렇게 부른다’는 설도 있다. 애기똥풀은 구토, 설사, 신경마비 따위를 일으키는 이차대사물질(isoquinoline alkaloid chelidonine)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식동물들이 싫어한다. 특히 뿌리는 독성이 강해, 예전 이름에는 ‘독한소민째리’ 또는 까치다리’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 화학물질의 이름이나 영어명(celandine)도 애기똥풀의 속명에서 유래한다. 속명 켈리도니움(Chelidonium)은 희랍어로 제비를 뜻한다. 유럽이 원산이고 미국에까지 귀화해 살고 있는 유럽애기똥풀(Chelidonium majus)은 여름철새 제비가 오는 시기에 꽃이 피기 시작해 제비가 떠날 때쯤에 꽃이 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로 애기똥풀은 한해살이풀 가운데 6개월 이상 오랜 기간 동안 계속해서 꽃이 피는 종류다. 열매 꼬투리 속에는 작은 흑색 씨가 들어 있으며, 달콤한 종침(種枕, elaiosome, 엘라이오좀: 지방산, 아미노산, 포도당 등으로 만들어진 화학물질)이 붙어 있다. 개미는 이 종침을 좋아하기 때문에 열매를 물어다가 집으로 운반하고, 거기에서 애기똥풀은 발아 기회를 얻는다. 다져진 땅보다는 흙 속이 느슨한 곳, 금방 흙을 쌓아 놓은 듯한 땅, 새로운 흙으로 된 서식처는 애기똥풀이 정착하기 좋은 기회의 땅이다. [출처:네이버-한국식물생태보감 1] ~~~~~~~~~~~~~~~~~~~~~~~~~~~~~~~~~~~~~~~~~ ♣ 전해지는 이야기 ‘애기똥풀’에도 전설이 있는데 눈을 뜨지 못해 볼 수 없는 아기 제비가 있었는데 엄마 제비는 안타까운 마음에 약초를 찾아 나섰고 애기똥풀의 즙을 눈에 발라주면 눈이 낫는다는 말을 듣고 어렵게 찾아냈지만 꽃을 지키는 뱀과 싸우다 엄마 제비는 죽고 말았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엄마의 지극한 사랑 혹은 몰래주는 사랑이라 꽃말이 붙었다고 한다. 물론 다른 꽃말은 어렵게 구해다 아기 제비의 눈을 낫게 했다는 말도 있다. 둘 다 엄마의 지극한 사랑인 몰래주는 사랑이란 꽃말과는 어울리는 것 같다. [출처:네이버-국립중앙과학관-우리나라 야생화] ~~~~~~~~~~~~~~~~~~~~~~~~~~~~~~~~~~~~~~~~~ ♣ 개요 애기똥풀속(Chelidonium) 식물은 전 세계에 오직 1종이 있고, 약으로 사용된다. 유럽, 한반도, 러시아 및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한다. 백굴채(白屈菜)는 《구황본초 (救荒本草)》에서 약으로 처음 기술된 이래 대부분의 고대 한의서에 기록되어 있으며, 약용으로 사용되는 종은 고대부터 현재까지 동일하게 전해져 오고 있다. 이 종은 백굴채(白屈菜)의 기원식물로 유럽약전(5개정판)과 영국약전(2002)에 등재되어 있다. 이 약재는 주로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생산된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백굴채”를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Linné var. asiaticum Ohwi(양귀비과 Papaveraceae)의 지상부”로 등재하고 있다. 백굴채는 주로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총 알칼로이드 함량으로 품질을 관리한다. 유럽약전과 영국약전에서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자외선가시광선분광광도법으로 측량할 때 켈리도우닌으로 환산된 총 알칼로이드의 함량이 0.60%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백굴채는 진통작용, 진해작용, 거담작용, 항천식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 및 이담작용을 나타낸다. 민간요법에 의하면 백굴채는 진통작용이 있으며 간과 담낭의 질병을 치료한다. 한의학적으로 백굴채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배뇨를 촉진하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함유성분 전초에는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chelidonine, 6-methoxydihydrochelerythrine, dl-stylopine, 6-methoxydihydrosanguinarine, dihydrosanguinarine, 8-oxocoptisine, l-canadine, protopine, allocryptopine, berberine, coptisine, tetrahydrocoptisine, homochelidonine, oxosanguinarine, magnoflorine, sanguinarine, dihydrochelerythrine, chelamine, chelirubine, macarpine, dihydrochelirubine, corysamine, chelerythrine, chelilutine, sanguilutine, N-methylstylopinium hydroxide, (-)-turkiyenine, (+)-norchelidonine, sparteine, cheliritrine, cryptopine, (-)-stylopine αmethohydroxide, (-)-stylopine βmethohydroxide이 함유되어 있고, 페놀산 성분으로 카페인산, p-coumaric aicd, 페룰산, gentisic acid, p-hydroxybenzoic acid, (-)-2-(E)-caffeoyl-D-glyceric acid, (-)-4-(E)-caffeoyl-L-threonic acid, (-)-2-(E)-caffeoyl-L-threonic acid lactone, (+)-(E)-caffeoyl-L-mal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chelidimerine, corydine, norcorydine이 함유되어 있다. 애기똥풀 함유성분 약리작용 1. 진통 작용 캘리도우닌을 마우스의 위장관 내 투여하면 타르타르산 칼륨 유발 반응의 증상을 줄이고, 열판 검사에서 통증 역치를 높이며, 포름알데히드로 유발된 사지 통증을 완화시켰다. 진통작용은 주로 말초신경에서 나타났다. 2. 방광, 거담 및 천식 억제 작용 전초에서 추출한 총 알칼로이드를 복강 내 투여하면 마우스의 기관지에서 페놀 레드의 분비가 증가하고, 암모니아로 유발된 마우스의 기침 모델과 구연산으로 유발된 기니피그의 기침 모델에서 잠재 기간이 연장되고 기침 빈도가 감소했다. 고양이의 위후두 신경유발 기침에서 역치 전압을 유의하게 높였다. 진해작용은 중추신경계에 의해 매개되었다. 전초로부터 추출된 총 알칼로이드를 기니피그의 위 내에 투여하면 히스타민과 오발부민에 의해 유발된 천식의 지연을 연장시키고 경련 발병을 감소시켰다. in vitro에서 총 알칼로이드가 기니피그에서 적출한 폐의 폐 혈류를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적출한 기관을 이완시키며, 히스타민에 의해 유발된 기관 평활근 수축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였다. 3. 항종양 작용 켈레리트린을 포함한 알칼로이드는 in vitro에서 뮤린 림프종 NK/Ly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세포 DNA의 깨어짐을 유도했다.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MNNG)에 의해 유발된 래트의 위암을 유의하게 억제하고 유두종 및 편평 세포암의 발생을 감소시켰다. 추출물을 경구에 미세 투여하면 마우스에서의 아조 염색 유도 간세포 형성에서 염색체 이상(CA), 소핵성 적혈구(MN) 및 정자머리이상(SHA)의 발생을 감소시켰다. 또한 발암 물질을 투여한 마우스의 간, 신장 및 비장 조직에서 산성 및 알칼리성 인산 가수 분해 효소, 과산화 효소 및 글루탐산염의 피루베이트 트랜스아미나아제(GPT)의 활성을 유리하게 조절했다. 또한, 켈리도닌, 상귀나린 및 베르베린도 in vitro에서 HeLa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냈다. 4. 항염증 작용 스틸로핀은 RAW 264.7에서 염증 유발 유도성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와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리포다당류(LPS) 자극으로 인한 일산화질소와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와 같은 염증 매개체를 억제했다. 5. 항균 작용 알칼로이드는 Streptococcus mutans, 그람 양성균 및 Trichophyton 균주, Microsporum canis 및 Epidermophyton floccosum을 포함한 진균류와 관련된 치아 우식증에 대해 in vitro에서 억제 작용을 나타냈다. 염산상귀나린과 염산켈레리트린은 in vitro에서 파지의 용균 활성에 직접적인 불활화 작용을 보였다. 추출물은 in vitro에서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1형(HSV-1)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전초의 총 알칼로이드는 in vitro에서(마우스에 투여)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냈다. 바이러스 감염된 병아리 배아에서의 항바이러스 활성도 나타냈다. 6. 이담 작용 에탄올 용해성, 페놀성 및 알칼로이드성 분획을 함유한 조추출물은 분산된 래트의 적출된 간에서 담즙산의 독립적인 흐름을 증가시킴으로써 담즙분비촉진작용을 유발했다. 기니피그에 투여한 생약 추출물 또한 담즙 분비를 촉진시켰다. 또한 알칼로이드는 담낭 수축을 향상시켰다. 7. 항경련 작용 조 추출물은 래트의 적출 평활근에서 아세틸콜린에 의한 수축을 길항하였다. 알코올 추출물은 기니피그 적출 회장(回腸)에서 카르바콜에 의한 수축을 억제했다. 주요 항경련제 화합물은 프로토파인, 콥티신과 카페오일 말산였다. 8. 방사선 방지 단백 다당류인 CM-AIa를 주입하면 방사선 조사된 마우스에서 골수 세포, 비장 세포, 과립대식세포집락형성단위(GM-CFC) 및 혈소판의 수를 증가시켜 내인성 시토카인 생산을 유도했다 인터루킨 1과 TNF-α를 억제하고, 방사선 조사 후 조혈 세포의 재구성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켰다. 9.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영향 양성 전하를 띤 알칼로이드인 켈레리트린과 상귀나린은 마우스의 간의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을 유의하게 억제했다. 베르베린, 콥티신, 프로토핀 및 알로크립토파인은 submochondrial 입자에서 NADH 탈수소효소를 강력하게 억제했다. 미토콘드리아 DNA에 의해 중재된 켈레리트린과 상귀나린은 칼슘의 흡수와 응집을 억제하고 산화적 인산화를 억제한다. 켈리도닌은 마우스 간의 미토콘드리아의 모노아민 산화효소의 활성을 억제했다. 10. 기타 전초에는 항산화, 항증식성, 항궤양작용, 결핵예방작용, 간질 예방작용이 있었다. 또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에 의한 아세틸티오콜린의 효소 가수분해를 억제하고, 인간 케라티노사이트의 성장을 억제하며, γ-아미노부티르산 타입 A 수용체에 영향을 주고, 아미노 전이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켈레리트린은 PC12 세포에서 아세틸콜린 유도 전류를 빠르게 억제했다. 용도 1. 황달, 복수 2. 위염, 장염, 이질 3. 기관지염, 천식, 백일해, 인두염 4. 식도암, 결절성 피부 5. 물집, 발진, 옴, 사마귀, 피부소양증, 뱀 및 벌레물림 해설 애기똥풀의 뿌리도 약으로 사용된다. 산어지혈(散瘀止血), 통증완화, 뱀독 제거에 사용한다. 사용 증상에는 염좌로 인한 어혈, 월경불순및 뱀에 물린 것이 포함된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췌장암 치료제인 우크라인(Ukrain, celandine 보다 큰 티오인산 알칼로이드 유도체)이 발명되었으며 임상 적용 분야에서 수년간 사용되었다. 우크라인은 결장 직장암과 스폰지 모세포종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암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인간의 피부와 폐 섬유모세포에 방사선 방호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일반적인 항종양 약은 종양 세포를 죽이는 동안 건강한 세포에 손상을 입히지만, 우크라인은 정상 세포를 보호하므로 방사선 화학 요법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우크라인은 래트의 간 미토콘드리아에서 모노아민 산화 효소의 활성을 두드러지게 억제하여 잠재적인 항우울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출처:네이버-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3] ~~~~~~~~~~~~~~~~~~~~~~~~~~~~~~~~~~~~~~~~~ |
||
(종류 및 유사종) ▶(): ▶(): |
LIST
'산야초·독초 자료 > ★산야초 참고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기색만가닥버섯 (0) | 2022.08.24 |
---|---|
독말풀(만다라=만타라 曼陀羅) 효능 (0) | 2022.08.09 |
개머루(사포도,산포도) (0) | 2022.08.01 |
능소화(凌霄花) 효능 (0) | 2022.07.12 |
넉줄고사리(골쇄보 骨碎補) 효능 (0) | 202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