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방아풀(연명초 延命草)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꿀풀과(Lamiaceae) 산박하속(Isodon) 여러해살이풀 (Isodon japonicus (Burm.f.) H.Hara) |
|
별명(이명) | 회채화 |
|
한약명/생약명 | 연명초(延命草) |
|
분포지 | 전국 산과들 (원산지:한국) | |
꽃피는 시기 | 8~9월(자주색, 원추꽃차례) | |
수확기(결실기) | 10월(분열과) | |
용도 | 약용,식용 | |
약용 | (효능) 건위,지통,양혈,해독,소종,항암,항진균 (적용질환) 소화불량,식욕부진,복통,설사,질타박상,옹종,암종,사교상,간염 |
|
사용부위 | 꽃을 포함한 지상부 전체 |
|
채취 및 조제 | 꽃이 피고 있을 때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
|
성분 | pectranthin, emmein 등 |
|
약효 및 용법 | ♣ |
|
출처 | ||
해설 | ♣ 방아풀은 죽어가는 환자를 살리는 기사 회생의 효과가 있다 해서 연명초(延命草)라는 이름이 붙었다. 경상도 지방에서 추어탕에 넣어 먹는 배초향(방아)과 다르다. 방아풀은 산과 들에서 절로 자라는 풀이고, 배초향보다 잎이 크며 향도 다르다. 가지를 많이 치고, 잎과 꽃줄기가 마주난다. 어린순을 데쳐서 우려낸 다음 무치거나, 된장국을 끓인다. 꽃이 핀 줄기를 잘라 복통이나 소화 불량에 약으로 쓴다. - 나물 할 때 : 봄 - 나물 하는 방법 : 어린순을 뜯는다. - 추천 음식 : 데쳐서 무침, 된장국 [출처:네이버-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 ♣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땅속줄기가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털이 나며 가지를 많이 낸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6∼15cm, 나비 3.5∼8cm이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이 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의 날개가 된다. 빛깔은 녹색이며 맥 위에 잔털이 난다. 꽃은 8∼9월에 연한 자줏빛으로 피고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그 조각은 삼각형이다. 화관(花冠)은 입술 모양이고 길이 5∼7mm이다. 윗입술꽃잎은 4갈래로 갈라지고 아랫입술꽃잎은 밋밋하다. 수술과 암술이 화관 밖으로 나온다. 열매는 분열과로서 납작한 타원형이며 윗부분에 선점(腺點)이 있고 10월에 익는다. 어린순은 나물로 하고 성숙한 것은 포기 전체를 약용한다. 일본에서는 건위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에 분포한다. [출처:네이버-두산백과 두피디아] ~~~~~~~~~~~~~~~~~~~~~~~~~~~~~~~~~~~~~~~~~ ♣ 분포 전국 각지와 일본에 분포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생육환경 우리 나라 각지의 산과 들에 자생하므로 전국 각처에 재배 할 수 있다. 토질은 비옥한 진참흙에 잘 되나 적당한 습기만 있으면 모든 곳이 좋다. 크기 높이 50~100cm이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로서 엽병의 윗부분으로 흘러 좁은 날개로 되고 길이 6-15cm, 나비 3.5-7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색이고 맥 위에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꽃은 8~9월에 피고 취산꽃차례는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마주나기하여 화수(花穗)를 형성하며 전체가 원뿔모양꽃차례로 된다. 꽃받침은 길이 3-4mm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꽃부리는 통상 순형(筒狀脣形)이며 길이 5-7mm이고 연한 자주색이며 2강수술이 있다. 열매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윗부분에 점같은 선이 있다. 줄기 높이 50-100cm이고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번식방법 씨로 번식한다. 한번 파종하면 여러 해 자생하므로 재배상 크게 어려운 점은 없다. 포기나누기와 꺾꽂이로도 번식한다. 재배특성 씨로 번식한다. 한번 파종하면 여러 해 자생하므로 재배상 크게 어려운 점은 없다. 밭에는 두엄, 용과린 등을 주고 흙덩이를 잘게 부수어서 충분히 땅을 고른다음 파종한다. 씨가 잘므로 모래와 혼합해서 뿌린후 0.9cm정도 흙을 덮는다. 싹튼 후 묽은 액비를 덧거름으로 주고 적당히 풀뽑기를 해 주면 당년에 결실한다. 또 포기나누기와 싹꽂이로도 번식하는데, 이 때는 적당한 습기가 있는 장소를 택하여 1㎡당 100g의 석회를 사용하고 모를 심고 6~7월에 덧거름으로 복합비료를 준다. 늦가을에 포기를 수확하여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건조시킨다. 유사종 오리방아풀, 자주방아풀 등이 있다. 이용방안 • 어린 순을 나물로 하고 성숙한 것은 약용으로 한다. • 방아풀/오리방풀의 지상부 全草(전초)를 延命草(연명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 개화기에 채취하여 햇볕이나 그늘에서 건조한다. ② 성분: 연명초에는 diterpene의 苦味質(고미질)로서 enmein, dihydroenmein, enmein-3-acetate, isodocarpin, nodosin, isodotricin, oridonin, ponicidin, epinodosinol, sodoponin, isodoacetal, nodosinin, odonicin이 함유되어 있다. Enmein, oridonin에는 抗腫瘍作用(항종양작용), 그램陽性菌(양성균)에 대한 抗菌作用(항균작용)이 있다. 이 고미질은 알칼리성으로 쉽게 분해되므로 制酸劑(제산제)로서는 탄산수소나트륨을 加한 胃腸藥(위장약) 등에는 배합할 수 없다. ③ 약효: 健胃(건위), 止痛(지통), 凉血(양혈),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소화불량, 식욕부진, 腹痛(복통), 跌打撲傷(질타박상), 癰腫(옹종), 癌腫(암종), 蛇咬傷(사교상)을 치료한다. 苦味健胃藥(고미건위약)이다. ④ 용법/용량: 12-24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특징 죽어가는 환자를 살리는 기사 회생의 효과가 있다 해서 연명초(延命草)라는 이름이 붙었다. [출처:네이버-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 1.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모가 진 줄기는 곧게 서서 1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잎은 넓은 계란 꼴로 마디마다 2장이 마주 자리하고 있으며 기다란 잎자루를 가진다. 잎의 밑동은 둥그스름하고 끝은 꼬리 모양으로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치아와 같은 생김새의 톱니를 가지고 있다. 줄기의 끝과 잎겨드랑이로부터 자란 꽃대에 작은 꽃이 원뿌리 꼴로 모여 피어난다. 꽃은 대롱 모양이고 끝이 입술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윗입술은 네 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위로 제쳐져 있다. 꽃의 길이는 6~7mm이고 빛깔은 연한 보랏빛이다. 2. 분포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산과 들판의 양지바른 풀밭에 난다. 3. 약용법 생약명 연명초(延命草) 사용부위 꽃을 포함한 지상부 모두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꽃이 피고 있을 때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성분 잎과 줄기에 플렉토란틴(Plectoranth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건위, 진통, 해독, 소종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복통이나 소화불량을 다스리는 약으로 쓰인다. 그밖에 해독, 소종의 효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기의 치료와 뱀이나 벌레에 물렸을 때의 해독약으로도 사용된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4~8g씩 200ml의 물로 뭉근하게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서 복용한다. 때로는 생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종기와 뱀이나 벌레에 물렸을 때에는 생풀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4. 식용법 어린순을 나물로 무쳐 먹는다. 쓴맛을 지니고 있으므로 데친 뒤에 찬물로 여러 차례 우려낸 다음 조리할 필요가 있다. 너무 많이 우려내면 본래 지닌 향취가 모두 사라져버려 싱거워진다. [출처:네이버-몸에 좋은 산야초] ~~~~~~~~~~~~~~~~~~~~~~~~~~~~~~~~~~~~~~~~~ ♣ 생물학적특징 다년생 초본, 높이는 50-100㎝, 줄기는 네모짐, 털이 있음 잎은 대생, 난형, 길이 6~15㎝, 폭 3.5~8㎝, 첨두, 원저, 예거치연 취산화서, 꽃은 8~9월 자주색 개화, 꽃받침은 5열편, 열편은 삼각형, 꽃잎은 순형화관, 5~7㎜, 수술은 2강웅예 열매는 분열과, 9~10월 성숙, 황갈색. 용도 약용(지상부) 항균, 항암작용 등이 있다. [출처:네이버-생물자원정보-민속특산식물] ~~~~~~~~~~~~~~~~~~~~~~~~~~~~~~~~~~~~~~~~~ ♣ 줄기는 사각형으로 곧으며 높이는 약 1 미터이다. 아래로 향한 털이 빽빽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달걀 모양으로 길이 5~10 센티미터 정도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기부는 자루로 이어진다. 9월부터 10월에 걸쳐 줄기 끝이나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큰 원추꽃차례를 내며 작고 많은 엷은 보라색의 입술 모양의 꽃이 드물게 핀다. 윗입술은 4갈래로 갈라지며 보라색점이 있고, 아랫입술은 배 모양으로 돌출한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로 2개는 길며 꽃밖으로 나온다. 암술은 1개이다. [출처:네이버-위키백과] |
|
♣ 자주방아풀 중약명 계황초(溪黃草) - 자주방아풀(溪黃草, Rabdosia serra (Maxim.) Hara)의 전초를 말린 것 개요 산박하속(Rabdos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50종이 있으며, 남부 아프리카 원산으로, 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는 90종과 21변종이 발견되며, 약 24종이 약재로 사용된다. 자주방아풀속의 대부분의 종들은 중국 서남부에서 발견된다. 이 종은 중국 동북부, 서남부 및 동부와 중국 북부와 북서부 일부 지방에 분포한다. 자주방아풀은 민속약으로 주로 길림성, 요녕성, 산서성, 하남성, 섬서성, 감숙성, 사천성 및 귀주성에서 생산된다. 자주방아풀에는 주로 디테르페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자주방아풀에는 항종양, 항염, 간 보호, 면역억제 및 항균 작용이 있음을 확인했다. 민간 의학에 따르면 계황초는 청열해독(淸熱解毒), 이습퇴황(利濕退黃), 산혈소종(散血消腫)의 효능이 있다. 함유성분 잎과 줄기에는 항암 디테르페노이드 성분으로 rabdoserrins A, B, D, excisanin A, kamebakaurin, 16-hydroxyhorminone, 16-acetoxyhorminone, 16-acetoxy-7-O-acetylhorminone, horminone, ferruginol, 16-acetoxy-7α- ethoxyroyleanone, isodocarpin, nodosin, lasiodin, oridonin, lasiokaurinol, lasiokaurinin, enmein이 함유되어 있고,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으로 2α-hydroxyl-ursolic acid, 스테로이드 성분으로 stigmasterol, 24-methylcholesterol, 3-sitosterol, 정유 성분으로 iso-sylvestrene, 1,8-cineole, α-terpinene, cumin aldehyde, α-humulene, 2E,6E-farnesol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항종양 라브도세린 A, B, D, 엑시사닌 A 및 카메바카우린은 항경련 활성이 있으며, 인간 자궁암 HLa 세포에 대하여 상당한 억제 및 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냈다[참고문헌:2-3]. 전초를 복강 내 투여하면 마우스에 이식된 간암 H22 세포를 유의하게 억제했다. 2. 항염 작용 전초의 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 래트에서 디메틸벤젠으로 유도된 귀의 부기(浮氣)가 억제되었고, 마우스에서 아세트산으로 유도된 경피 모세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항염 효과를 나타냈다. 3. 간 보호 전초의 물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 CCl4에 의해 유발된 급성 간 손상 마우스에서 혈청 글루탐산 피루브산 아미노기전달효소(GPT)의 증가 수준을 크게 감소시켰다[참고문헌:14]. 전초의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 마우스의 CCl4로 유도된 급성 간 손상과 래트의 α-나프틸리소티오시아네이트(ANIT)로 유도된 황달을 억제했다. 간세포 부기(浮氣), 지방 변성, 괴사, 염증 침투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4. 면역억제 전초의 디테르페노이드, 특히 엔메인은 마우스 T-림프계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5. 항균 작용 노도신, 라시오딘 및 오리도닌 같은 디테르페노이드 성분은 in vitro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을 현저하게 억제했다. 용도 1. 간염, 황달, 척수염 2. 설사, 이질 3. 상처, 부기(浮氣), 낙상 및 찰과상 해설 자주방아풀 외에도, Rabdosia lophanthoides (Buch. -Ham. ex D. Don) Hara와 R. inflexus (Thunb.) Kudo와 같은 종도 계황초로 사용된다. 계황초는 간 보호를 위한 좋은 약재일 뿐만 아니라 청열해독(淸熱解毒), 거습(祛濕)의 효능이 있어서 더위를 해소하는 데 다른 어떤 차보다 뛰어난 허브차여서, 개발과 활용가치가 있다. [출처:네이버-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4] |
||
(종류 및 유사종) ▶방아풀(Isodon japonicus (Burm.f.) H.Hara): 방아풀은 산과 들에서 절로 자라는 풀이고, 배초향보다 잎이 크며 향도 다르다. 가지를 많이 치고, 잎과 꽃줄기가 마주난다. ▶오리방아풀(): ▶자주방아풀(Isodon serra (Maxim.) Kudô): ▶배초향(Agastache rugosa (Fisch. & C.A.Mey.) Kuntze): 향기가 다른 향기를 밀쳐낼 만큼 강해 배초향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LIST
'건강에 도움 되는 약초 > 건위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나나 효능 (0) | 2022.11.15 |
---|---|
배초향(排草香, 곽향藿香 ,방아잎) 효능 (1) | 2022.11.14 |
산달래(해백 薤白) 효능(Ⅱ) (1) | 2022.10.27 |
벚잎꽃사과나무(꽃사과) 효능 (0) | 2022.10.23 |
무화과나무(無花果-) 효능 (1) | 2022.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