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야초·독초 자료/★산야초 참고글

가죽나무(저백피 樗白皮) 효능

by 고산마루(다올) 2023. 2. 16.
SMALL
가죽나무(저백피 樗白皮)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소태나무과 (Simaroubaceae) 가죽나무속(Ailanthus) 낙엽활엽교목
학명(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영문명(Varnish tree)
 
별명(이명) 가중나무,저, 저목, 청수화, 력수, 가둑나무, 저피, 저근백피, 춘근피, 풍안초
 
한약명/생약명 저백피(樗白皮)/, 춘피(椿皮)

분포지 야생 또는 식재, 원산지(중국)  
꽃피는 시기 6~8월(녹색,원뿔모양꽃차례, 자웅이가화)  
수확기(결실기) 9~10월(시과-날개 열매, 연한 적갈색)  
용도 약용(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며 조금 독이 있다. 위경(胃經),대장경(大腸經),간경(肝經)에 작용),관상용  
약용 (효능) 淸熱(청열), 燥濕(조습), 澁腸(삽장), 止血(지혈), 살충(거미,벼룩,옴),항종양, 항결핵,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항말라리아
(적용질환) 이질(적리),치질,위궤양,慢性下痢(만성하리), 腸風便血(장풍변혈), 崩漏(붕루), 帶下(대하), 遺精(유정), 白濁(백탁), 회충병,水疱疹(수포진)
 
사용부위 뿌리나 수피껍질내피,잎,열매

 
채취 및 조제 봄과 가을에 뿌리 껍질을 채취하여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서 사용

성분


약효 및 용법

 
     
출처
 
해설 가죽나무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참죽나무가 아니고, 먹을 수 없는 가짜 참죽나무라는 뜻에서 가죽나무라고 하며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

♣ 중국 원산으로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가죽나무는 가짜 죽나무란 뜻이며, 학교나 공원 등지에 심지만, 각지에 야생하기도 한다. 성장이 빠르며 줄기 지름 50 cm, 높이 20~25m에 이르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길이 45∼80cm이다. 작은잎은 13∼25개로 길이 7~12cm, 나비 2~5cm이다. 넓은 바소꼴로 위로 올라갈수록 뾰족해지고 털이 난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꽃은 잡성화로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6~7월에 녹색이 도는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열매는 시과로 긴 타원형이며 길이 3~5cm, 나비 8~12mm이다. 프로펠러처럼 생긴 날개 가운데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목재를 가구재·기구재·농기구재로 쓰고, 잎은 가죽나무누에의 사료로 쓴다.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봄과 가을에 뿌리의 껍질을 채취하여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서 이질(적리)·치질·장풍 치료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이질·혈변·위궤양에 뿌리를 진하게 달여 먹는다.

한국·일본·중국·사할린·몽골·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유사종으로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회색이며, 열매가 붉은빛이 도는 붉은가죽나무(for. erythrocarpa)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죽나무 [Tree of Heaven, 假僧木]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분포
전국 각지에 분포

특징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 참죽나무가 아니고, 먹을 수 없는 가짜 참죽나무라는 뜻에서 가죽나무라고 하며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목재의 변재는 담황색, 심재는 담황갈색으로 심·변재 구분이 불분명하나 나이테는 뚜렷하고 환공재로 나무갗은 거칠고 도관이 큰 특징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홀수깃모양겹잎으로 길이 60~80cm이며 소엽은 13~25개이고 넓은 피침상 달걀모양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13cm, 폭 5cm로서 연모가 있고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원뿔모양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0~30cm이며 꽃은 자웅이가화로서 지름 7~8mm이고 녹색이 도는 백색으로 6~8월에 개화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꽃잎은 끝이 안으로 꼬부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5심피로 된 씨방의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시과는 3~5개씩 달리고 연한 적갈색이며 얇고 피침형이며 길이 3~4cm, 폭 1cm로서 날개 가운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9~10월에 성숙하고 봄까지 달려 있다.

줄기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간이 통직하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일년생가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없어지는 것도 있다.

생육환경
전국의 도로변이나 황폐된 임야의 경계지, 주택 주변에 많이 심고 있으며 특히 황폐하고 상층목이 없을 때 무성하게 자란다. 내한성과 내조성, 내건성이 강하고 해변가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며 대기오염에도 강하지만 미국흰불나방의 피해가 심하다.

번식방법
• 번식은 실생과 삽목으로 한다.
① 실생: 9~10월 종자를 채취하였다가 노천매장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전처리 없이 파종해도 발아가 잘되는 편이다. 순량율 89%, ℓ당 입수 1,041립, 발아율 63% 이다.
② 삽목: 뿌리를 15~20cm로 잘라 삽목하면 발근이 잘 된다. 분주로도 증식이 된다.

재배특성
생장속도는 빠르다.

이용방안
• 주요 조림수종: 조경수종, 내공해수종
• 도시의 가로수, 공원수로 식재하고 반드시 수나무를 선발하여 심는 것이 좋다.
• 목재는 기구(농기구)재, 차량재, 무늬목 단판으로 사용된다.
근(根) 또는 수간(樹幹)의 내피(內皮)는 樗根白皮(저근백피), 엽(葉)은 樗葉(저엽), 시과는 鳳眼草(봉안초)라 하며 약용한다.

(1) 樗根白皮(저근백피)

① 성분: 근피에는 mersosin, tannin, phlobaphe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나무껍질에는 ailanthone, amarolide, acetylamarolide, quassin, nigakihemiacetal B 등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유(油) 약 35% 및 2,6-dimethoxy-p-benzoquinone, ailanthone, ailantholide, chaparrinone, quass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quercitrin,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 약효: 淸熱(청열), 燥濕(조습), 澁腸(삽장), 止血(지혈), 살충의 효능이 있다. 慢性下痢(만성하리), 腸風便血(장풍변혈), 崩漏(붕루), 帶下(대하), 遺精(유정), 白濁(백탁), 회충병을 치료한다.
③ 용법/용량: 6~12g을 달여서 마시거나 散劑(산제), 丸劑(환제)로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세척하거나 졸여서 膏劑(고제)로 붙인다.

(2) 樗葉(저엽)
- 瘡疥(창개), 風疽(풍저-관절의 굴곡면에 생기는 水疱疹(수포진))을 치료하며 잎을 삶은 즙으로 씻는다.

(3) 鳳眼草(봉안초)
- 이질, 腸風(장풍)에 의한 血便(혈변), 血尿(혈뇨), 崩漏(붕루-자궁이상출혈), 白帶下(백대하)를 치료한다. 3~9g을 달여서 마시거나 粉末(분말)로 하여 복용한다.

유사종
붉은가죽나무 : 잎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회색이며 열매가 붉은빛이 돈다.

병충해 및 방제방법
병충해

병해: 흰가루병, 겹둥근무늬병, 갈색무늬병, 가지마름병.
충해: 미국흰불나방, 가죽나무산누에나방.

방제방법
미국흰불나방: 유충가해기에 슈리사이드 1000배액, 디프50% 유제, 80% 수용제 1000배액을 수관에 살포한다
갈색무늬병, 겹둥근무늬병: 7월 상순부터 2주간격으로 4-4식보르도액을 뿌린다.
흰가루병: 한 여름에 다이센, 카라센, 보르도액(4-4식), 톱신 등을 뿌린다.
가지마름병: 방제법으로는 6~9월 사이에 포리옥신 수화제 또는 베노밀수화제를 수회 살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죽나무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개요
가죽나무속(Ailanthus)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0종이 있으며 주로 아시아에서 오세아니아의 북부에 걸쳐 분포한다. 중국에서 약 5종과 2변종이 발견되며 중국의 남서부, 서부, 남동부, 중부, 북부에 걸쳐 분포한다. 이 속에서 1종, 1변종이 약으로 사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가죽나무속 식물의 잎은 고대 인도 의서인 차라카(Charaka)에 약용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춘피는 중국 고대 본초 도감인 약성론(藥性論)에 “춘백피(椿白皮)”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록되었다. 이 종은 춘피(Ailanthi Cortex)의 공식적인 기원식물 내원종으로 중국약전(2015)에 규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저백피”를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Swingle(소태나무과 Simarubaceae)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 또는 근피”로 등재하고 있다. 이 약재는 주로 중국의 절강성, 하북성, 강소성, 텐진 및 베이징에서 생산되며, 절강성과 하북성에서 많은 양이 생산된다. 또한 광동성, 산서성, 복건성 및 협서성에서도 생산된다.

가죽나무의 주요 활성성분은 쿠아씨노이드와 알칼로이드, 쿠마린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다. 중국약전에서는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형태학적, 해부학적인 분석과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줄기와 뿌리의 껍질은 항종양, 항결핵,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말라리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민간요법에 의하면 가죽나무는 생리통, 설사, 이질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청열(淸熱), 조습(燥濕), 삽장(澁腸), 지혈(止血), 살충의 효과에 사용한다.

함유성분
뿌리껍질과 줄기껍질에는 쿠아씨노이드 성분으로 ailanthone, ailanthinone, chaparrin, glaucarubol, glaucarubin, glaucarubinone, shinjudilactone, quassine, neoquassine, shinjulactones A, B, C, D, E, F, G, H, I, J, K, L, M, N, ailantinols A, B, C, D, E, F, G, quassinoid I, shinjuglycosides E, F, 1α11αepoxy-2β11β12β20-tetrahydroxypicrasa-3,13-(21)-dien-16-one, 1α11αepoxy-2β11β12α20-tetrahydroxypicrasa-3,13-(21)-dien-16-one이 함유되어 있고,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canthin-6-one, 1-methoxycanthin-6-one, 1-hydroxycanthin-6-one, canthin-6-one-3N-oxide, 5-hydroxymethylcanthin-6-one, 1-(1,2-dihydroxyethyl)-4-methoxy-βcarboline, βcarboline-1-propionic acid, 1-carbamoyl-βcarboline, 1-carbomethoxy-βcarboline, 쿠마린 성분으로 scopoletin, isofraxidin, altissimacoumarins A, B가 함유되어 있다.

목부에는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canthin-6-one, 1-methoxycanthin-6-one, canthin-6-one-3N-oxide가 함유되어 있다.

씨에는 쿠아씨노이드 성분으로 shinjuglycosides A, B, C, D, 스테롤 성분으로 ailanthusterols A, B가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canthin-6-one, 1-methoxycanthin-6-one, 4-methoxy-1-vinyl-βcarboline, 1-methoxycarbonyl-βcarbol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apigenin, kaempferol, quercetin, isoquercetin, rutin, luteolin 7-O-β(6’(’galloyl glucopyranoside))가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항종양
가죽나무 열수 추출물은 in vitro에서 p21 의존 신호경로를 통해 주르카트 T-급성림프구성 백혈병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주르카트 세포의 세포 주기의 방해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뿌리의 클로로포름 추출물은 자궁경부암, 골육종, 신경교종, 단구성 백혈병 세포들에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다[참고문헌:32]. 1-메톡시-칸틴-6-온은 항종양성 화합물 중 하나이다. 나무껍질의 열수 추출물을 복강 내 투여하면 마우스에 전이된 S180과 H22 종양에 대한 억제효과를 가진다.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쿠아시노이드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초기 항원의 활성을 억제한다.

2. 항박테리아
나무껍질의 에탄올 추출물, 화서의 열수 추출물, 잎의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을 억제한다.

3. 항바이러스

가죽나무의 메탄올 추출물은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의 바이러스와 세포간 결합을 저해한다. in vitro에서 베타카로틴 알칼로이드는 단순포진바이러스를 억제한다.

4. 항말라리아 작용
아일란톤을 함유하는 쿠아씨노이드는 in vitro에서 퀴놀린 유도체 중 하나인 클로로퀸에 저항성 및 감수성을 가진 모든 말라리아(Plasmodium falciparum) 균주에 대해서 항말라리아 효과를 보였다. 마우스에서 쿠아씨노이드를 경구 투여하면 말라리아 균주(Plasmodium berghei)를 억제했다.

5. 항염증
난알부민에 의해 폐렴을 유발한 마우스에 잎과 가지의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 공기 중으로 유입한 호산구 침윤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에오탁신, IL-4, IL-13 mRNA 발현 수준을 감소시킨다.

6. 기타
가죽나무는 항결핵 활성, 장혈류 증가, 고리형 아데노신1인산(cAMP)의 분해효소인 PDE의 활성을 억제한다.

용도
1. 기생체 감염, 옴, 백선
2. 혈변, 기능성 자궁출혈, 치질출혈, 대하
3. 설사, 이질
4. 임질
5. 말라리아

해설
가죽나무의 뿌리와 줄기의 껍질, 열매 및 잎을 약으로 사용한다. 중국 생약명은 각각 풍양초(楓楊草, Ailanthi Fructus)와 저엽(楮葉, Ailanthi Folium)으로 불리며, 춘피와 유사한 효능을 가진다.

최근에 쿠아씨노이드와 알칼로이드 성분은 자궁암과 결장암에 효과적인 항암약으로 사용한다. 뿌리의 물 추출물은 타감작용을 하여 잡초의 성장을 억제한다. 아일란톤과 같은 쿠아씨노이드 성분이 주요 활성성분이다[참고문헌:46].
[네이버 지식백과] 가죽나무 [臭椿, Tree of Heaven]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3, 2019.06.25,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신용욱, 성락선)
~~~~~~~~~~~~~~~~~~~~~~~~~~~~~~~~~~~~~~~~~

 
정의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내용
가중나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가승목(假僧木)·저수(樗樹)·산춘수(山椿樹)라고 한다. 학명은 Ailanthus altissima SWINGLE.이다. 중국 원산으로 높이가 20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기수일회우상복엽(奇數一回羽狀複葉)으로 길이가 60∼80㎝이다. 작은 잎은 13∼25개의 넓은 피침상난형(披針狀卵形)으로 길이 7∼13㎝, 넓이 5㎝이며 차례로 붙어 있고, 작은 잎 아래쪽에는 큰 톱니가 3, 4개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털이 없다.

꽃은 암수가 따로 있는 자웅이가화(雌雄二家花)
로 지름이 7, 8㎜이며, 초록빛이 도는 흰색으로 6월에 핀다. 원추화서(圓錐花序)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가 10∼30㎝로서 털이 없다. 열매는 시과(翅果)로 적갈색이고 얇으며, 피침형(披針形)으로 길이 3∼4㎝, 넓이 1㎝로 9월에 성숙하고 봄까지 달려 있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노천매장했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해도 되고, 뿌리를 15∼20㎝로 잘라서 삽목하여도 된다. 내한성·내건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서나 잘 자라며, 특히 황폐한 곳에서 무성하게 자란다.

내조성(耐潮性)이 강하여 해변가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며 대기오염에도 강하나, 미국흰불나방의 피해가 심하다. 절에 많이 심는데, 잎을 먹을 수 있는 참중나무와 닮았으나, 잎을 먹지 못하는 데다 용재로서의 가치조차 없어 가승목(가짜중나무)이라고 하여 외면되어왔다.

그러나 근래에 가공기술이 발달되면서 쓸모없던 가중나무의 무늬가 아름답다는 것을 알게 되어 가구재 등 치장무늬목으로 널리 각광받게 되었다. 합판·가구용재뿐만 아니라 펄프재로도 양호하며 농기구나 건축의 잡용재로 이용된다.

재질은 나이테가 명료하여 무늬가 아름다우며 재색(材色)은 황백색 또는 연한 황갈색으로, 팽나무 등과 함께 양가구재(洋家具材)·합판재의 적재로 손꼽힌다. 이 나무의 뿌리 내피는 민간약용으로 이질·설사 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잎과 뿌리를 삶은 물은 피부병 치료에 쓰인다.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고 여러 가지 입지에 잘 적응하므로 도시의 가로수와 공원수로 좋으나 반드시 우수한 나무를 선발하여 심는 것이 좋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죽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형태분류
줄기: 낙엽성 교목으로 수피는 회백색이다. 녹색 어린 가지에 갈색 피목(皮目)과 짧은 털(短毛)이 산생(散生)한다.

: 어긋나며(互生), 홀수깃모양겹잎(奇數羽狀複葉)으로 잎자루 기부가 도톰하게 굵어진다. 잎몸(葉身) 잎바닥(葉底)에는 굵은 톱니(鋸齒)가 있고, 뒷면에 선점(腺点)이 있다.(비교: 참죽나무도 깃모양겹잎이지만, 짝수의 겹잎으로 정생 소엽이 없다.)

: 6~7월에 가지 끝부분에서 황색의 고깔꽃차례(圓錐花序)가 핀다. 암수딴그루(雌雄異株)이며, 암꽃은 우뚝 솟은 암술머리가 있고, 끝은 5갈래로 갈라졌다. 수꽃은 수술이 10개 정도 있는 것으로 구분되고, 수술 기부에 흰 털이 밀생한다.

열매: 날개열매(翅果)로 좁고 긴 장타원형 갈색 열매 속에 종자가 들어 있다.

염색체수: 2n=64, 80

생태분류
서식처: 길가, 하식애(河蝕崖), 숲정이, 도시림, 주로 세립질(細粒質) 암석 지역, 양지~반음지, 약습(弱濕)~약건(弱乾)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구릉지대 이하
식생지리: 난온대~냉온대, 중국(만주 제외), 세계 온대지역(식재 또는 귀화)
식생형: 숲정이 삼림식생, 하식애 삼림식생, 임연식생(도시형 망토식물군락)
종보존등급: [IV] 일반감시대상종

한글명 가중나무는 본래 가쥭나무 개듁나무, 가죽나무, 갈구나무 등으로 기록된 바 있다. 어떤 까닭인지, 가짜 중나무(假僧木, 가승목)란 의미로 가중나무란 명칭과 이에 대응하는 진짜 중나무란 의미의 참중나무(眞僧木, 진승목)란 명칭이 느닷없이 나타난다. 하지만 중(僧)과 전혀 관련이 없다. 1517년 『사성통해(四聲通解)』에 참죽나무 椿(춘)자에 대해 튱나모라고 번역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중나무라고 하는 명칭은 춘나무, 츈나무, imagefont나무, 죽나무 등과 함께 모두 튱나무에서 기원한다. 한자 椿(춘) 자로부터 유래하는 명칭이지, 중(僧)과 관련이 없다.

가중나무란 이름은 참중나무의 대응으로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만들지 않아도 되는 이름이다. 16세기 초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 개듕나무 樗(뎌)를 ‘냄새나는 튱나무’라고 해서 臭椿(취춘)으로 설명했다. 참죽나무는 죽(튱)나무, 가중나무는 개죽(듕)나무가 올바른 이름이다.

참중나무(이하 죽나무)는 중국에서 도입된 멀구슬나무과의 종이고, 가중나무(이하 개죽나무)는 소태나무과로서 꽃, 열매, 잎 모양까지 분류학적 형태학적 특징이 크게 다르다. 개죽나무는 한반도에 자생하지만, 죽나무는 자생하지 않고, 사람에게 유용한 자원식물로서 의도적으로 심어 키운 중국 식물이다. 그래서 개죽나무는 야생하는 죽(튱)나무로 인식했고 그런 이름도 생겨난 것이다. 개죽나무가 속하는 소태나무과의 종은 수피를 씹으면 쓴 맛이 나기 때문에 쉽게 구분할 수 있고, 뿌리나 껍질을 살충제로도 이용했다.

개죽나무는 중국 북중부가 원산지라 하고, 어떤 자료에서는 중국과 타이완이 원산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할만한 근거를 제시하는 문헌은 없다. 개죽나무의 현존 분포에 관련한 서식처 생태를 고려한다면, 그 원산지는 오히려 동북아지역에서도 자연환경조건이 ‘한반도적(韓半島的)’이라 할 수 있는 환황해(環黃海) 지역으로 규정하는 것이 옳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대륙성기후지역에서 선구식물로 자생한다.

특히 퇴적암 층을 통과하는 하천의 침식작용과 빙하기 동안의 빙식(氷蝕)작용에 의해 형성된 하식애(河蝕崖) 급경사 입지에서 선구적으로 자생한다. 뿌리를 이용한 모듈 번식전략은 그러한 서식처에 사는 최적의 생태형질이다. 초기 생장시기에는 다른 선구식물과 마찬가지로 늘 무리를 이루어 살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죽나무와 전혀 다른 개죽나무의 생태특성으로 뿌리로부터의 게릴라번식 전략 때문이다.

개죽나무는 중국 북경-만리장성으로부터 산뚱(山東)반도에 이르기까지 환동해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이곳은 한반도와 동일한 동아시아-식물지리구계에 포함된다. 비록 개죽나무를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종으로 취급하더라도, 엄격하게 그것은 반고유종으로 분류된다. 귀화식물이 아니라는 의미다.14) 국가와 국토 범위라는 것은 인간의 역사에서만 의미가 있을 뿐, 식물의 자연적 분포 경계와는 전혀 상관없다. 때문에 식물의 분포기원은 자연적 요소를 기준으로 한다.

오늘날에는 타국 땅이라 할지라도 내일의 역사 속에서 우리 땅이 될 수 있는 국가 개념으로 식물의 분포기원을 따지는 것은 난센스다. 일본에서는 메이지(明治)시대 1877년에 도입된 종이며, 오늘날에는 식재로부터 기원하는 개체들이 매우 드물게 야생한다. 개죽나무와 우리의 깊은 관계와 다르게, 일본에서는 그리 주목받는 종이 아니다. 가까운 나라지만, 생물기후학적으로 대륙과 전혀 다른 해양성기후지역이기 때문이다.

개죽나무의 속명 아일란투스(Ailanthus)는 인도네시아 몰루쿠(moluku) 섬지역의 토속 명칭 에이란토(aylanto)에서 유래하며, 그 의미는 천상의 나무다. 종소명 알티시마(altissima)는 키가 가장 크다는 의미의 라틴어다. 이런 속명과 종소명은 개죽나무가 무척 빠르게 성장해 엄청나게 큰 나무가 되어서 하늘에 닿을 것 같은 형상과 관련 있다.

개죽나무는 속성수이면서 선구적인 특성이 있어 대기오염과 건조에 의한 수분스트레스에도 잘 견디는 편이다. 도시 근교의 도로와 인접한 잡목림 가장자리에서 자주 관찰되는 이유다. 도시림을 대표하는 식물사회가 아까시나무-닭의장풀군집의 개죽나무아군집(가중나무아군집)이다.

개죽나무는 아까시나무와 닮은 데가 너무 많다. 평균 수명이 50여 년 정도로 단명하는 편이고, 종자번식과 뿌리로부터 영양번식에 능하고, 맹아(萌芽)도 아주 잘 만든다. 단지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는 종이 아니라는 점이 다르다. 그러므로 토양 박테리아가 살지 못하는 도시의 오염된 땅에서도 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도 근권(根圈)에 효과적인 물 저장 능력이 있기 때문에 아까시나무보다 개죽나무가 더욱 유리하게 살아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아까시나무처럼 자연적으로 숲 지붕을 형성하는 우점림을 만드는 경우는 없다. 단지 서식처가 지속적으로 교란되는 상황이거나 사람에 의해 관리되는 숲이면 그런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자연적으로 천이되어야 할 환경조건이라면 역할을 마치고 그 자리를 비켜주는 점잖은 종이다.

개죽나무는 1740년대에 중부유럽에 도입되었고, 1784년에는 미국에도 도입되었다. 지금은 도시와 자연지역 모두에서 침입종(invasive species)으로 지목되어 골칫거리 식물로 평가된다. 북미에서는 도입된 후, 원시 노령림(老齡林)의 숲 틈을 복원하는 데에 개죽나무 도입을 연구하기도 했다. 하지만 자연림을 복원하는 데에는 잡초 같은 외래 수목종(weed tree)보다는 모름지기 그 지역의 고유수종을 이용하는 장기적인 접근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자연림에서 아직 개죽나무나 아까시나무가 침입했다는 정보가 없다. 이들 두 종은 특히 어릴 때에 숲 그늘을 견디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연림이란 역사와 전통이 오래된 숲이며, 한반도 자연환경조건이 그들을 통제하기에 충분한 것도 한 몫 한다. 오늘날 진행되는 지구 기후변화가 이들 외래 수목에게 약이 될지 독이 될지, 두고 볼 일이다. 최근 들어 과수농가에 피해를 입히고 있는 중국에서 유입된 꽃매미가 개죽나무를 기주식물로 삼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개죽나무 [Tree-of-heaven, ニワウルシ, シンジュ]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 12. 30., 김종원)
~~~~~~~~~~~~~~~~~~~~~~~~~~~~~~~~~~~~~~~~~

주요성상 및 특징
유묘의 전체적 성상 : 쌍자엽

: 호생하고 기수 1회우상복엽으로서 길이 60∼80cm이며 소엽은 13∼25개이고 넓은 피심상 난형이며 점첨두이고 예저 또는 원저이며 길이 7∼13cm, 나비 5cm로서 연모가 있고 하반부에 2∼4개의 톱니와 선점이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털이 없다.

줄기 :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樹皮)는 회갈색이며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고 소지(小枝)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며 털이 있으나 없어지는 것도 있다.

: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고 길이 10∼30cm이며 꽃은 2가화로서 지름 7∼8mm이고 녹색이며 도는 백색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꽃잎은 끝이 안으로 꼬부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5심피로 된 자방의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

열매 : 시과(翅果)는 3∼5개씩 달리고 연한 적갈색이며 얇고 피침형이며 길이 3∼4cm, 나비 1cm로서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죽나무 [tree of heaven] (생물자원정보 - 자생식물종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가죽나무(학명: Ailanthus altissima, tree of heaven)는 무환자나무목의 낙엽 활엽교목이다.

이름과 어원

가중나무라고도 한다. 19세기 김병연의 시 중에서는 ‘가승목(假僧木)’으로 차자 표기한 것도 보인다.

한국어 ‘가죽나무’의 옛 형태 중 가장 오래된 문헌 기록은 《훈몽자회》(1527)의 ‘개듀ᇰ나모’이다. 이것이 여러 차례의 발음 변화를 거쳐 ‘가죽나무’가 되었다.

어린 잎순을 먹을 수 있는 참죽나무와 구분하기 위해 ‘가짜 대나무’란 뜻으로 가죽나무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참죽나무’의 고유어 표기가 남아있는 18세기 이전 문헌이 없고 현대에도 참죽나무를 ‘가죽나무’라 부르는 지방이 있어 이 설을 확인하기 어렵다.

분포
한국, 몽골, 중국, 일본, 유럽 등지에 분포하며, 다른 나무가 잘 자라지 못하는 도시나 척박한 땅에서도 잘 크는 튼튼한 교목이다. 매끄러운 회갈색 껍질을 가지며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한국과 다른 나라에 도입되었다.

특징
줄기는 밋밋하게 자라고 성장이 바르다. 지름 50cm, 높이 27m 정도이고 나무껍질이 회갈색이다. 잎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털이 없다. 꽃은 단성화로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6월에 백록색의 작은 꽃이 핀다. 열매는 적갈색으로 프로펠러처럼 생긴 날개 가운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이용
목재는 가구재·기구재·농기구재로 쓰고, 잎은 가죽나무누에의 사료가 된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이질·치질 등에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이질·혈변·위궤양에 뿌리를 진하게 달여 먹는다.
[출처:네이버-위키백과]
~~~~~~~~~~~~~~~~~~~~~~~~~~~~~~~~~~~~~~~~~

저백피[樗白皮]

라틴생약명 Ailanthi Cortex (KHP, CP)

가중나무 Ailanthus altissima Swingle (소태나무과 Simaroubaceae)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 또는 근피이다.

뿌리껍질은 춘근피(春根皮) 또는 저근백피(樗根白皮)라고도 한다.

수피 또는 근피로 고르지 않은 모양이고 원통모양~반원통모양이며, 길이 3~10cm, 너비 1~5cm, 두께 0.2~0.5cm이다. 바깥 면은 회백색~연한 갈색으로 엉성하며 때로 코르크층이 떨어져 황백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안쪽은 연한 노란색~연한 갈색으로 매끄럽고 점모양의 혹, 또는 작은 혹이 많이 배열되었고 때로 파열하여 작은 구멍을 이룬 것도 있다. 질은 단단하면서도 연하며, 꺾은면은 매끈하지 않고 섬유상이다. 꺾을 때 특유한 냄새가 강하게 나고 맛은 매우 쓰다.
[네이버 지식백과] 저백피 [樗白皮] (한약재감별도감 - 외부형태, 2014. 2. 28., 김창민, 이영종, 김인락, 신전휘, 김양일)
~~~~~~~~~~~~~~~~~~~~~~~~~~~~~~~~~~~~~~~~~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Ailanthus altissima Swingle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Quassionoid : Ailanthone, Quassi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저백피의 주요 약리성분임.
② Tannins
③ Indole alkaloid(β-carboilc type)
④ Mersosin : 저백피의 뿌리껍질에 존재함.
⑤ Acetilamarolide : 저백피의 뿌리껍질에 존재함.
⑥ 2.6-dimethoxy-p-benzoquinone, ailanholide, chaparinne : 저백피의 종자에 존재함.
⑦ Isoquercitrin : 저백피의 잎에 존재함.

(2) 독성증상


구역질; 현기증; 두통; 전신통증; 설사


(3) 실험 및 사례보고
- Gruenwald J. 1998 : 저백피의 안전성에 대한 정보는 소수이지만 동물실험에서 치명적 독성이 있다고 보고됨. 임신기 및 수유기에는 복용을 금함. 사용가능 부위는 줄기와 나무껍질로, 경구복용 시 오심, 현기증, 두통, 사지통증, 그리고 설사 등이 유발될 수 있음. 평균 복용량은 6-9g임.

(4)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미국) :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로 등재됨.
- 영국(MHRA) List of gerbal ingredients which are prohibited or restricted in medicines :
[네이버 지식백과] 저백피 [樗白皮] (건강기능식품 사용불가원료, 2011.)
~~~~~~~~~~~~~~~~~~~~~~~~~~~~~~~~~~~~~~~~~

저백피[樗白皮]
딴 이름은 저근백피(樗根白皮) · 저피(樗皮) · 취춘피(臭椿皮)이다. 소태나무과 식물인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Swingle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이다. 가죽나무는 각지의 집 둘레나 길 옆에 심는다. 봄에 뿌리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위경(胃經) · 대장경(大腸經) ·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사(濕邪)를 없애며 지사(止瀉)와 지혈(止血) 작용을 한다. 수렴(收斂) 작용, 항균 작용, 소염 작용 등이 실험으로 밝혀졌다. 설사, 이질, 대장염, 장출혈, 위염, 치질, 대하증, 자궁 출혈 등에 쓴다. 하루 6~12g을 산제 · 탕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에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 내서 기초(약)제에 섞어 바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저백피 [樗白皮]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

저백피[樗白皮]
요약 우리나라에서는 소태나무과의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Swingle)의 주피를 제거한 나무껍질 또는 뿌리껍질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춘피(椿皮)라고 하며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어 있지 않다.

향기가 나는 것을 춘(椿:참죽나무)이라고 하며 악취가 나는 것을 저(樗:가죽나무)라고 한다. 참죽나무와 가죽나무는 잘 자라기 때문에 춘저(椿樗)라고 하며 오래 산다는 뜻으로 쓰인다. 어떤 지역에서는 잎이 떨어진 엽흔이 호랑이 눈처럼 생겼기 때문에 호목수(虎目樹) 또는 호안(虎眼)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

이 약은 꺾을 때 강렬한 냄새가 나며 맛은 매우 쓰고 깔깔하며 성질은 차다.[苦澁寒]

저백피는 이질설사 및 혈변, 대하, 살충작용, 피부 창선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급성세균성이질, 아메바성이질, 빈혈, 위십이지장궤양, 자궁경부암 등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고르지 않은 모양으로 관상이며 바깥 면은 황백색을 나타내며 안쪽은 엷은 황색으로 매끄럽고 점 모양의 혹 또는 작은 혹이 많이 배열되어 있고 때로는 파열하여 작은 구멍을 이룬 것도 있다. 질은 단단하면서도 연하며 꺾은 면은 매끈하지 않고 섬유상이다.

다른 이름으로 취춘피(臭椿皮), 저피(樗皮), 저근피(樗根皮), 춘피(椿皮), 호목수(虎目樹), 대안동(大眼桐), 호안(虎眼)이라고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저백피 [樗白皮]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저백피[樗白皮]

출전 동의보감

성질은 서늘하며 맛은 쓰고 조금 독이 있다. 오래된 적리, 백리가 오래되어 멈추지 않는 것 및 치질, 장풍으로 피를 계속 쏟는 것, 입과 코의 감충(疳蟲)을 다스린다. 옴, 익창(imagefont瘡)의 벌레를 죽이며 귀주(鬼疰), 전시(傳尸), 고독(蠱毒)으로 하혈하는 것을 멎게 한다. 그리고 소변 횟수를 줄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저백피 [樗白皮] (한약재감별도감 - 외부형태, 2014. 2. 28., 김창민, 이영종, 김인락, 신전휘, 김양일)
~~~~~~~~~~~~~~~~~~~~~~~~~~~~~~~~~~~~~~~~~

춘피[椿皮]
무독, 한寒, 태음인

다른이름 臭椿皮(취춘피), 樗皮(저피), 樗白皮(저백피), 樗根皮(저근피)
약맛 고(苦)
귀경 간(肝) 위(胃) 대장(大腸)
주치 疳積, 久痢, 久瀉, 夢遺, 便血, 崩漏, 頻作, 濕熱瀉痢, 遺精, 赤白帶下, 精滑, 蛔蟲
약용부위 뿌리껍질, 나무껍질


금기
痢疾이 積滯未盡으로 因한 者는 服用을 忌한다.
脾胃虛寒者, 崩帶가 腎의 眞陰이 虛衰하여 된 경우 服用을 忌한다.


효능
殺蟲, 澁精, 收澁止血, 淸熱燥濕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唐本草(당본초)>: 생식기 부위 피부 조직이 침식되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樗根(저근)이 더욱 좋다.

<陳藏器(진장기)>: 입과 코 주위 조직이 허는 증상을 치료하고 회충과 옴을 없앤다. 사체에서 옮기는 전염병을 치료하고 蠱毒(고독)과 下血(하혈)을 치료하며 오랜 痢疾(이질)을 치료한다.

<蕭炳(소병)>: 地楡(지유)와 함께 사용하면 음부의 피부 조직이 침식되는 증상과 痢疾(이질)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崩漏(붕루)를 그치게 하고 출산 후 출혈이 멎지 않는 증상을 치료하며, 피가 비치는 帶下(대하), 血便(혈변), 출혈을 동반한 설사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을 치료하고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도 치료한다. 꿀로 볶아서 사용한다.

<雷斅(뇌효)>: 소변을 시원하게 한다.

<朱震亨(주진형)>: 여성의 帶下(대하)와 남성의 精液(정액)이 새는 증상을 치료하고 陰部(음부)가 濕(습)한 증상, 痢疾(이질), 남성의 遺精(유정), 早漏(조루), 夢精(몽정)을 치료한다. 또한 肺(폐)와 胃(위)에 쌓인 痰(담)을 제거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향기가 나는 것을 椿(춘)이라고 하고 악취가 나는 것을 樗(저)라고 한다. 山樗(산저)를 栲(고)라고 한다. 이명으로 虎目樹(호목수), 大眼桐(대안동)이 있다.

李時珍(이시진): 椿樗(춘저)는 잘 자라고 壽考(수고, 오래살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椿(춘)과 栲(고)라는 명칭이 생겼다. <莊子(장자)>에서 大椿(대춘)은 8천살을 산다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椿(춘)은 향기가 나고 樗(저)는 악취가 나기 때문에 椿(춘)이라는 글자는 木熏(훈)이라고도 쓰는데, 그 향기 때문이다.

陳藏器(진장기): 일반인들은 椿(춘)을 猪椿(저춘)이라고 하고 북쪽 사람들은 樗(저)를 山椿(산춘)이라고 하고 江凍(강동) 사람들은 虎目樹(호목수)라고 하고 또한 虎眼(호안)이라고도 한다. 잎이 떨어진 상처가 호랑이의 눈처럼 생겼기 때문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춘피 [椿皮]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



(종류 및 유사종)
▶():
▶():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