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야초·독초 자료/★산야초 참고글

박쥐나물(각향 角香) 효능

by 고산마루(다올) 2025. 2. 2.
SMALL

 
박쥐나물(각향 角香)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국화과 (Asteraceae) 박쥐나물속(Parasenecio) 여러해살이풀
학명(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matsumurana (Nakai) M.Kim)
영문명(Mountain Indian plantain)
 
별명(이명) 민박쥐나물
 
한약명/생약명 각향(角香)

분포지 깊은 산의 초원, 한국(전역)·일본·만주  
꽃피는 시기 7~9월(백색,원뿔모양꽃차례:총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 월(수과,선형,백색 또는 오백색)  
용도 약용  
약용 (효능,적용질환) 종기,옴,버짐,살충 효과
 
사용부위 지상부

 
채취 및 조제

성분


약효 및 용법 ♣ 참박쥐나물: 봄에 어린 잎을 따다가 데쳐서 우려낸 다음 나물로 먹거나 쌈을 싸서 먹는다. 때로는 데친 것을 말려서 갈무리해 두었다가 수시로 나물로 무쳐 먹기도 한다.
♣ 민박쥐나물: 어린잎을 따다가 데쳐서 찬물을 바꾸어가며 잘 우려낸 다음 나물로 해서 먹는다. 취나물과 함께 높이 평가되는 산채로 말려서 갈무리해 두었다가 수시로 조리하기도 한다.

 
     
출처
 
해설 박쥐나물
잎이 박쥐가 날개를 펼친 모습 같다고 박쥐나물이다.
~~~~~~~~~~~~~~~~~~~~~~~~~~~~~~~~~~~~~~~~~

산귀박쥐나물이라고도 한다.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높이 60~120cm이다.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엉킨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7~17cm의 콩팥 모양이다. 끝은 짧게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 위에 짧은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4.5~9cm이며 밑부분이 별로 넓지 않다.

꽃은 8~9월에 자주색의 두상화(頭狀花)가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두상화 속에 3~6개의 작은 꽃이 피며, 화관(花冠)은 길이 8.5cm이다. 총포(總苞)는 길이 8~10mm의 좁은 통 모양이며 털이 없고 5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길이 4~5mm의 수과로 원기둥 모양이며 털이 없다. 관모(冠毛)는 길이 5mm이며 흰색이다. 어린 잎은 나물로 한다. 전체적인 모양은 나래박쥐나물과 비슷하나 나래박쥐나물에 비해 잎자루 밑부분이 귓불처럼 넓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한국(전역)·일본·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쥐나물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분포
한국, 일본, 만주, 캄차카

특징

잎은 어긋나기하고 근엽은 화시에 마르며 중부의 잎은 3각상 창모양 또는 3각상 콩팥모양으로 길이 25-35cm, 나비 30-40cm이고 끝은 짧게 뾰족하며 밑은 심형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양면, 특히 뒷면에 짧은 털이 있고 잎은 길이 9-13cm로 보통 날개가 있다.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많은 머리모양꽃차례가 원뿔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총포는 길이 10-12mm, 나비 5mm이고 포편은 5-8개이고 끝이 둔하다. 낱꽃은 6-9개이고 꽃부리는 길이 8-9mm이다.

열매
수과는 선형으로 길이 5-6mm이고 종선이 있으며 관모는 길이 7mm로 백색 또는 오백색이다.

생육환경
깊은 산의 초원

이용방안
어린잎은 식용
[네이버 지식백과] 박쥐나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 잎이 박쥐가 날개를 펼친 모습 같다고 박쥐나물이다. 어린순을 쌈으로 먹거나, 데쳐서 무치거나, 묵나물로 먹는다. 잎자루에 날개가 있고 잎 아래가 귓불같이 늘어지는 나래박쥐나물, 잎 아래가 귓불같이 늘어지지 않는 박쥐나물, 잎이 다섯 갈래로 뚜렷하게 갈라진 귀박쥐나물 모두 같은 방법으로 먹는다.

- 나물 할 때 : 봄
- 나물 하는 방법 : 부드러운 순을 뜯는다.
- 추천 음식 : 쌈, 데쳐서 무침, 묵나물볶음
[네이버 지식백과] 박쥐나물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010. 3. 1., 이영득)
~~~~~~~~~~~~~~~~~~~~~~~~~~~~~~~~~~~~~~~~~

생물학적특징
다년생 초본, 높이는 1-2m

줄기의 상부는 단모

잎은 호생, 근생엽은 개화시에 마름, 3각상 창모양, 길이 25~35㎝, 폭 30~40㎝, 심장저, 잔거치연, 양면은 단모가 있음

꽃은 7~9월 백색 개화, 원추상 두상화서, 총포편은 5~8개, 소화는 6~9개, 관모는 백색

열매는 수과, 선형

용도
약용-(

지상부) 종기, 옴, 버짐의 치료와 살충 효과가 있다.
식용-어린잎을 식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쥐나물 (생물자원정보 - 민속특산식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높이 60~120cm이고 잎은 어긋나며 끝이 뾰족한 삼각형의 창모양으로 밑부분은 심장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잔 거치가 있다. 잎의 뒷면에는 짧은 털이 있으며 날개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흰색의 두상화가 원추화서로 되며 줄기의 끝부분에 달린다. 두상화 속에 3~6개의 작은 꽃이 있으며 총포는 통모양으로 5개로 갈라지며 털이 없다. 열매는 수과로 줄모양이고 털이 없다.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일본, 만주 등에 분포하며 높고 깊은 산에서 서식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쥐나물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신재성, 유난희, 신현탁)
~~~~~~~~~~~~~~~~~~~~~~~~~~~~~~~~~~~~~~~~~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多年生草本)이다. 줄기(높이 40~150cm)는 곧추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잎은 호생하며 엽병(葉柄)이 있는데 엽병에 날개가 있다. 엽신(葉身)은 삼각형의 극형(戟形)이고 밑부분은 쐐기형이며 윗부분은 빠르게 뾰족하고 변두리는 고르지 못한 거치상(鋸齒狀)이다. 꽃은 7~8월에 줄기 윗부분이나 가지 끝에서 여러 개의 두상화서(頭狀花序)가 모여 원추화서상(圓錐花序狀)로 피는데 두상화서는 백색이다. 관상화(管狀花)는 모두 8~15개 정도이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며 가을에 여무는데 백색의 관모(冠毛)가 있다. 식물 전체에 히스타씬을 주성분으로 하는 알칼로이드가 있다. 히스타씬의 함량은 뿌리와 글경에서 0.11%, 잎에서 0.03~0.06%, 줄기에서 0.004~0.006%이다. 타닌질이 잎에 9~10%, 줄기에 2.7% 들어 있다. 뿌리에는 이눌린, 포도주산칼슘 등이, 신선한 잎에는 175~180mg%의 카로틴이 있다. 히스타씬을 분리하여 진정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신선한 전초를 달여 곪은 상처를 씻거나 잎을 고름집, 뾰두라지 등에 붙인다. 어린잎은 산나물로 먹는다. 강남군, 강동군 등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전국 각지의 깊은 산 나무숲 아래에서 자란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러시아(극동)에 분포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쥐나물 (조선향토대백과, 2008., 평화문제연구소)
~~~~~~~~~~~~~~~~~~~~~~~~~~~~~~~~~~~~~~~~~


(종류 및 유사종)
▶가지민박쥐
(Parasenecio hastata var. ramosa (Maxim.) Kizmura): 기본종인 털박쥐나물에 비해 3각상 창모양의 잎 가장자리가 때로 이열하고 총포는 길이 7~8mm이며 총포조각은 6~7개이고 낱꽃은 9~10개이다.
▶개박쥐나물(Parasenecio adenostyloides): 가짜 박쥐나물이라는 뜻의 이름이다.
▶게박쥐나물(Parasenecio adenostyloides (Franch. & Sav. ex Maxim.) H.Koyama): 일본특산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귀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나래박쥐나물(P. auriculatus (DC.) H. Koyama var. kamtschaticus (Maxim.) H. Koyama)에 비해서 잎 밑부분의 귓불 길이 1.5cm미만으로 짧고, 화관의 길이 5-6mm로 짧다.
▶나래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kamtschaticus (Maxim.) H.Koyama): 원변종인 귀박쥐나물(P. auriculatus (DC.) H. Koyama var. auriculatus)에 비해서 잎 밑부분의 귓불 길이가 2cm이상으로 길고, 화관의 길이 8-9mm로 길다.
▶민박쥐나물(Parasenecio hastatus (L.) H.Koyama subsp. orientalis (Kitam.) H.Koyama):

원산지 한국
▶박쥐나물(Parasenecio auriculatus (DC.) J.R.Grant var. matsumurana (Nakai) M.Kim): 포편이 8개이고 낱꽃이 13-19개이며 엽병 기부가 넓지 않고 잎 뒷면에 털이 보다 많다. 잎자루의 밑 부분(엽병 귀부)이 귀처럼 넓어지지 않는다.
▶일월게박쥐나물(Parasenecio pentaphyllaria M.J.Kwon, G.H.Nam & G.Y.Chung): 게박쥐나물[Parasenecio adenostyloides (Franch. & Sav. ex Maxim.) H.Koyama]과 달리 총포편이 5개이다.
▶참나래박쥐(Parasenecio koraiensis (Nakai) K.J.Kim):
▶참박쥐나물(Parasenecio hastatus var. farfaraefolia (Maxim.) Ohwi): 박쥐나물보다 낫다는 뜻의 이름이다. 꽃은 흰빛은 띤 자주색으로 모두 관상화이다.
▶털박쥐나물():


 

박쥐나물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