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박새(여로 藜蘆) | ||
구분 | 설명 | 참고 |
과명 | 백합과 (Liliaceae) 여로속(Veratrum) 여러해살이풀 학명(Veratrum oxysepalum Turcz.) 영문명(East Asian white false-hellebore) |
|
별명(이명) | ||
한약명/생약명 | 여로(藜蘆), 산총, 총염 |
|
분포지 | 깊은 산 습지, 한국, 중국 동북부, 동부 시베리아, 일본 | |
꽃피는 시기 | 6~7월(황백색, 원뿔모양꽃차례) | |
수확기(결실기) | 월(삭과,타원형) | |
용도 | 약용,관상용 유독식물 특유한 자극성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쓰며, 분말은 강한 재채기를 일으킨다. |
|
약용 | (효능) 최토(催吐),살충, 風痰(풍담)을 토하게 하며 蟲毒(충독)을 제거 (적용질환) 가래가 목구멍에 막히는 증세, 간질병, 오래된 학질, 황달, 이질, 악성종양, 옴, 中風痰湧(중풍담용), 風癎癲疾(풍간전질), 久虐(구학), 泄痢(설리), 두통, 喉痺(후비-후두염, 편도선염 등), 비식, 疥癬(개선), 惡瘡(악창) |
|
사용부위 | 뿌리,뿌리줄기 |
|
채취 및 조제 | 꽃대가 자라나기 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쓰기 전에 잘게 썬다. |
|
성분 | 독성이 강한 풀로 뿌리줄기와 뿌리에 제르빈(Jervin), 루비제르빈(Rubijervin), 프세우도제르빈(Pseudojervin), 프로토베라트린(Protoveratrin), 베라트린(Veratrin) 등의 알칼로이드를 함유 |
|
약효 및 용법 | ♣ |
|
출처 | ||
해설 | ♣ 박새는 ~~~~~~~~~~~~~~~~~~~~~~~~~~~~~~~~~~~~~~~~~ ♣ 깊은 산 습지에서 무리를 지어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굵은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원줄기는 곧게 1.5m 정도 자라며 원뿔형으로 속이 비어 있다. 줄기 밑부분에 묵은 비늘조각잎의 평행맥이 흰색 또는 연한 갈색의 섬유로 남아 있다. 잎은 어긋나고 밑에서는 잎집만이 원줄기를 둘러싸며 중앙의 것은 타원형으로 세로주름이 진다. 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노란빛을 띤 흰색이며 지름 25mm 내외로 단성화이고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차례에는 꼬불꼬불한 털이 빽빽이 나며 작은꽃자루는 길이 2∼7mm이고 포는 달걀 모양이다.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길이 2cm 정도이며 3개로 갈라진다. 식물체에 강한 독성이 있으며 뿌리는 최토(催吐)·살충제로 사용한다. 한국, 중국 동북부, 동부 시베리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새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한다. 전국에 분포한다. 생육환경 깊은 산 습지에서 군락을 지어 자란다. 생육형 여러해살이풀 크기 높이 1.5m.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의 것은 엽초만으로써 원줄기를 둘러싸고 중앙부의 것은 넓은 타원형으로서 세로로 주름이 지며 큰 것은 길이 30cm, 폭 20cm이상 자라고 나란히맥이 있으며 뒷면에 짧은 털이 난다. 꽃 꽃은 엷은 황백색으로 6-7월에 피고 지름 25mm이며 원줄기끝의 원뿔모양꽃차례에 밀생하고 꽃차례에 양털같은 털이 밀생한다. 수술과 암꽃이 있으며 6개씩의 화피열편(花被裂片)과 수술이 있다. 씨방에 털이 있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 삭과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2cm정도이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진다. 줄기 원줄기는 곧게 1.5m정도 자라며 속이 비어있고 원주형이다. 뿌리 근경은 짧고 굵으며 밑에서 굵고 긴 수염뿌리를 많이 낸다. 근경을 여로라 한다.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유사종 ▶여로(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참여로(C. nignum var. ussuriensis) [출처: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식물] ~~~~~~~~~~~~~~~~~~~~~~~~~~~~~~~~~~~~~~~~~ ♣ 독이 강해 어린잎이라도 나물 해 먹으면 안 된다. 깊은 산 나무 그늘 아래 기름진 곳이나 습지에 무리지어 자란다. 커다란 타원형 잎은 세로로 주름이 많으며, 밑 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언뜻 보면 잎이 여로와 비슷하다. 독이 강해 뿌리를 농약 재료로 쓰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새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2010. 3. 1., 이영득) ~~~~~~~~~~~~~~~~~~~~~~~~~~~~~~~~~~~~~~~~~ ♣ 1.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짧고 굵은 뿌리줄기와 거친 뿌리를 많이 가지고 있다. 굵고 살찐 줄기는 속이 비어 있으며 1.5m 정도의 높이로 곧게 자란다. 가지를 전혀 치지 않는다. 넓은 타원 모양의 큰 잎은 좁은 간격으로 서로 어긋나게 자리한다. 잎의 밑동은 줄기를 감싸고 있고 평행인 수많은 잎맥에 따라 주름이 잡힌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잔털이 나 있다. 꽃은 줄기 끝에 원뿌리 모양으로 모여 피는데 6장의 꽃잎과 6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다. 꽃의 지름은 2.5cm 안팎이고 넓은 깔때기 꼴을 이루며 노란빛을 띤 흰색이다. 2. 분포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깊은 산 속 양지바른 풀밭에 난다. 3. 약용법 생약명 여로(藜蘆). 산총, 총염이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뿌리줄기와 뿌리를 함께 약재로 쓰는데, 흰여로(Veratrum versicolor form. albidum NAKAI), 여로(V. japonicum LOESN.), 참여로(V. nigrum L.), 파란여로(V. maximowiczii BAKER), 큰박새(V. maakii REGEL)의 뿌리줄기와 뿌리도 함께 쓰이고 있다. 채취와 조제 꽃대가 자라나기 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쓰기 전에 잘게 썬다. 성분 독성이 강한 풀로 뿌리줄기와 뿌리에 제르빈(Jervin), 루비제르빈(Rubijervin), 프세우도제르빈(Pseudojervin), 프로토베라트린(Protoveratrin), 베라트린(Veratrin) 등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다. 약효 최토(催吐)와 살충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은 가래가 목구멍에 막히는 증세, 간질병, 오래된 학질, 황달, 이질, 악성종양, 옴 등이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0.1~0.2g씩 곱게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하루의 용량은 0.3~0.6g으로 절대로 과용해서는 안 된다. 피부질환에는 가루로 빻은 것을 기름에 개어 환부에 바른다. 참고 일본에서는 농업용 살충제로 쓰고 있으며 약재로는 쓰지 않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새 (몸에 좋은 산야초, 2009. 11. 15., 장준근) ~~~~~~~~~~~~~~~~~~~~~~~~~~~~~~~~~~~~~~~~~ ♣ 생육특성 박새는 우리나라 각처의 깊은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이 지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약 1.5m가량이며, 잎은 어긋나는데 타원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많이 나 있고, 세로로 주름이 지는데 큰 것은 길이 30㎝, 폭 20㎝ 이상 자란다. 잎맥이 많으며 주름이 져 있고, 뒷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지름이 2.5㎝ 정도되며 안쪽은 연한 황백색, 뒤쪽은 황록색이다. 열매는 9~10월경에 달리고 타원형이며 길이는 2㎝ 정도이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진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가을이나 봄에 포기나누기를 하고, 9~10월에 결실되는 종자를 바로 화분이나 화단에 뿌리거나 이듬해 봄에 뿌린다. 관리법 : 화단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는 1m 이상 자란다. 물은 1~2일 간격으로 충분하게 준다. 이 식물을 키우려면 주변습도가 높아야 하기 때문에 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습지 혹은 반그늘인 곳에 심고 가능하면 화단의 제일 위쪽에 심어 관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새 (야생화도감(여름), 2010. 6. 28., 정연옥, 박노복, 곽준수, 정숙진) ~~~~~~~~~~~~~~~~~~~~~~~~~~~~~~~~~~~~~~~~~ |
|
♣ 개요 높은 산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크고 거칠며, 굵은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줄기는 높이 100-150cm로 곧추선다. 잎은 길이 20-30cm, 폭 10-15cm인 넓은 타원형으로 어긋나게 촘촘히 달리며, 밑이 줄기를 감싼다. 잎몸에는 세로로 난 주름이 많다. 꽃은 노란빛이 도는 흰색으로 6-8월에 피고, 줄기 끝에 원추형 겹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의 지름은 1.5-2.5cm이다. 꽃차례 길이는 30-60cm이다. 화피는 6장이고 수술은 6개로 화피 길이의 절반쯤이다. 암술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독성이 있으며 약재로 쓴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사할린, 우수리, 캄차카), 일본, 중국(동북부) 서식지/생육지 높은 산의 숲 속 형태 땅속줄기는 크고 거칠며, 굵은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줄기는 곧추서며, 원주형, 높이 100-150cm이다. 잎은 어긋나게 촘촘히 달리며, 밑이 줄기를 감싸고, 넓은 타원형, 길이 20-30cm, 폭 10-15cm, 세로로 난 주름이 많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은 위로 갈수록 작다. 꽃은 줄기 끝의 원추형 겹산방꽃차례에 달리며, 노란빛이 도는 흰색, 지름 1.5-2.5cm이다. 꽃차례는 길이 30-60cm이다. 포엽은 긴 타원형, 길이 2-4mm이다. 화피는 6장, 난형 또는 넓은 난형, 폭 6mm쯤이다. 화피 아래쪽에 꿀샘이 있다. 수술은 6개, 화피 길이의 절반쯤이다. 암술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 겉에 털이 난다. 열매는 삭과, 난상 타원형, 길이 2-3cm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8월에 핀다. 해설 긴잎여로(V. maackii Regel)에 속하는 여러 변종들에 비해서 잎은 줄기 중간 이상에 달리고 타원형으로 크기가 보다 크며, 꽃은 흰색이므로 구분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새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 식물) ~~~~~~~~~~~~~~~~~~~~~~~~~~~~~~~~~~~~~~~~~ |
||
♣ 푸른박새 분포 한반도(금강산, 북부지방) 특징 유독식물 잎 잎은 크며 어긋나기하고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싸며 엽초를 형성하고 윗부분이 보통잎처럼 퍼지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중앙부의 잎은 길이 30cm, 폭 12cm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표면에 털이 없으나 많은 잎맥이 있어 주름이 지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뒷면에 짧은 털이 산생한다. 꽃 꽃은 7-8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지름 25mm이며 넓은 깔때기모양이고 원줄기끝에서 큰 원뿔모양꽃차례가 발달한다. 화서지(花序枝)에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대축에 잔털이 있다. 화피는 6장으로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고 화피밑에 V형의 짙은 녹색의 꿀샘이 있으며 화피의 길이는 8-17mm이고 수술은 6개이다. 열매 열매는 삭과로 난상 타원형이며 길이 2cm로서 3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연한 갈색이고 날개가 있으며 반달모양이다. 줄기 높이가 1.5m에 달한다. 뿌리 근경이 굵고 짧다. 생육환경 산의 습지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 근경은 가축을 토하게 할 때 또는 농용살충제로 사용할 수 있으나 독성이 강하다. • 根(근) 및 根莖(근경)을 藜蘆(여로)라 하며 약용한다. ① 5-6월 花莖(화경)이 나오기 전에 캐어 苗葉(묘엽)을 제거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끓는 물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참여로의 근경에는 jervine, pseudojervine, rubijervine, colchicine, germerine, veratroyl-zygadenine 등의 alkaloid 및 β-sito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③ 약효: 風痰(풍담)을 토하게 하며 蟲毒(충독)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中風痰湧(중풍담용), 風癎癲疾(풍간전질), 황달, 久虐(구학), 泄痢(설리), 두통, 喉痺(후비-후두염, 편도선염 등), 비식, 疥癬(개선), 惡瘡(악창)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0.3-0.6g을 가루 내어 복용하거나 丸劑(환제)로 쓴다. <외용>: 분말을 환부에 고루 바른다. [네이버 지식백과] 푸른박새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
||
(종류 및 유사종) ▶관모박새(Veratrum dahuricum (Turcz.) O.Loes.): 함경남도 관모봉(표고 2,400-2,500m)에서 자란다. 겉으로 보기에 박새와 비슷하다. 박새에 비해 잎 뒤 맥 위에 털이 있고 푸른박새 Veratrum dolichopetalum Loesner fil.에 비해 키가 작고 화피편이 황백색을 띠며 난상 장타원형이고 소화경은 길이 1~1.5㎜이다. ▶박새(Veratrum oxysepalum Turcz.): ▶푸른박새(Veratrum dolichopetalum O.Loes.): 유독식물로 금강산 및 북부지방에서 자란다. ▶여로(Veratrum maackii Regel var. japonicum (Baker) Shimizu): 전국적으로 풀밭에 흔히 생육하며 높이 40-60cm 정도로 자란다. 긴잎여로(V. maackii Regel)에 속하는 여러 변종들에 비해서 잎은 줄기 중간 이상에 달리고 타원형으로 크기가 보다 크며, 꽃은 흰색이므로 구분된다. ▶참여로(Veratrum nigrum L. var. ussuriense O.Loes.): |
LIST
'산야초·독초 자료 > ★산야초 참고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괴불주머니(자화어등초 紫花漁燈草) 효능 (2) | 2025.02.02 |
---|---|
산괴불주머니(황근 黃菫) 효능 (3) | 2025.02.02 |
박쥐나물(각향 角香) 효능 (0) | 2025.02.02 |
곰취(호로칠 葫盧七) 효능 (2) | 2025.02.01 |
박주가리(라마 蘿摩) 효능 (2)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