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이(제채 薺菜) 효능
냉이(제채 薺菜)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배추과 (Brassicaceae)|십자화과(Cruciferae) 냉이속(Capsella) 두해살이풀(해넘이 한해살이풀) 학명(Capsella bursa-pastoris (L.) Medik.) 영문명(Naengi (Shepherd’s purse)) 별명(이명) 나생이,나숭게,난생이,나시,나잉개,내이,나상구,나새이,낭낭지갑(娘娘指甲), 양근초(羊筋草), 역생초(譯生草) 한약명/생약명 제채(薺菜)/,계심채(鷄心菜), 향선채(香善菜), 청명초(淸明草) 분포지 전국의 산과 들,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 4~6월(흰색,총상꽃차례), 꽃말(봄색시,당신께 나의 모든 것을 드립니다.) 수확기(결실기) 6~7월(각과-짧은 뿔열매) 용도 식용,약용(맛은 달고 평하다, 간,심,폐경에 ..
2023. 2. 21.
구기자나무(구기자 枸杞子) 효능
구기자나무(구기자 枸杞子)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가지과 (Solanaceae) 구기자나무속(Lycium) 낙엽활엽관목 학명(Lycium chinense Mill.) 영문명(Chinese matrimony vine) 별명(이명) 긴잎구기자나무,첨채자(甛菜子), 서구기(西枸杞), 구기자(苟杞子), 구기(枸杞), 구계(枸?), 구극(枸棘), 고기(苦杞), 천정(天精), 지골(地骨), 지보(地輔), 지선(地仙), 각서(却暑), 양유(羊乳), 선인장(仙人杖), 서왕모장(西王母杖),개고추,구내자,기초 한약명/생약명 구기자(枸杞子)/, 지골자(地骨子),지골피(地骨皮) 분포지 전국 각지 마을 근처의 둑이나 냇가 꽃피는 시기 6~9월(연한 보라색) 수확기(결실기) 9~10월(장과-물 열매,붉은색) 용도 약용(열매와 껍질..
2023. 2. 18.
화살나무(귀전우 鬼箭羽) 효능
화살나무(귀전우 鬼箭羽)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화살나무속(Euonymus) 낙엽활엽관목 학명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영문명(Burning bush spindletree) 별명(이명) 참빗나무,홑잎나무,홋잎나무,위모,귀우전,귀견우 한약명/생약명 귀전우(鬼箭羽)/, 위모(衛矛), 신전(神箭) 분포지 전국의 산야 산기슭 양지의 떨기나무 숲,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 5~6월(녹색,취산꽃차례), 꽃말(위험한 장난,냉정) 수확기(결실기) 9~10월(삭과-튀는 열매, 익으면 껍질이 벌어져 주황색 씨 나옴) 용도 약용(약성은 한(寒)하고 고(苦)하다.),식용,관상용 약용 (효능) 항암,破血(파혈),通經(통경),거담,구충(열매),구어혈,진정,..
2023. 2. 17.
쇠뜨기(문형 問荊) 효능
쇠뜨기(문형 問荊)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속새과 (Equisetaceae) 속새속(Equisetum) 여러해살이풀 학명(Equisetum arvense L.) 영문명(Field horsetail) 별명(이명) 즌솔,뱀밥,쇠띠기,속뜨기,토필(土筆),필두엽(筆頭葉),즌솔, 뱀밥, 토끼과자 한약명/생약명 문형(問荊) (광대싸리 형)/ 절절초(節節草), 누접초, 필두채(筆頭菜) 분포지 전국 풀밭 꽃피는 시기 3~5월(포자기, 황색(포자낭의 색깔))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약용( 영양줄기,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식용( 생식줄기) 약용 (효능) 이뇨,청열,지혈,해수,천식,혈압강하,명목(明目) (적용질환) 고혈압,장염,눈병,기관지병,변비 사용부위 지상부 채취 및 조제 봄부터 가을까지 필요한 시기에 채취하여 그늘..
2023. 1. 21.
백합(百合) 효능
백합(百合)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백합과 (Liliaceae) 백합속(Lilium)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학명(Lilium longiflorum Thunb.) 영문명(Trumpet Lily, White Trumpet Lily) 별명(이명) 철포백합, 도선, 천향, 백합꽃 한약명/생약명 백합(百合) 분포지 햇볕이 직접 쬐지 않는 숲이나 수목의 그늘 또는 북향의 서늘한 곳, 원예재배농가 원산지(지중해 동부) 꽃피는 시기 5~7월(흰색) 꽃말(순결,변함 없는 사랑) 수확기(결실기) 8~9월(삭과-튀는 열매) 용도 약용,관상용,절화용 약용 (효능) 지해(止咳), 거담(去痰), 진정(鎭靜), 최면(催眠), 항피로, 산소결핍 내성, 노화억제, 항산화, 항종양, 면역력 증강, 혈당강하 (적용질환) 폐농양, 폐결핵, 기..
2023. 1. 19.
헛개나무(지구자 枳椇子) 효능
헛개나무(지구자 枳椇子)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갈매나무과(Rhamnaceae) 헛개나무속(Hovenia) 낙엽 활엽 교목 (Hovenia dulcis Thunb.) 별명(이명) 호리깨나무,볼게나무,지구자나무,목밀,현포리,백석목 한약명/생약명 지구자(枳椇子) 분포지 전국, 고지(50~800m)의 산중턱 이하의 자갈이 많은 곳이나 계곡가 양지쪽 꽃피는 시기 6~7월(취산화서, 녹색, 양성화) 수확기(결실기) 9~10월(핵과) 용도 식용,약용(심경(心經),비경(脾經)에 작용, 냄새가 조금 있고 맛은 쓰면서 떫다) 약용 숙취,술해독,간 보호,간질환,항산화,혈당강하,항종양,적응력 강화,혈압강하,식욕억제,체중감소,위궤양,이뇨,항돌연변이,풍습성 류머티즘,소화불량,구토,딸꾹질,배뇨 장애,관절염,소화불량,구토,대소변불리..
2022. 7. 7.
천궁(川芎) 효능
천궁(川芎)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산형과 천궁속 여러해살이풀 (Ligusticum officinale (Makino) Kitag.) 별명(이명) 芎藭(궁궁), 臺芎(대궁), 撫芎(무궁), 山鞠窮(산국궁), 西芎(서궁), 雀腦芎(작뇌궁), 香果(향과), 胡藭(호궁),京芎(경궁) 한약명/생약명 천궁(川芎) 분포지 재배, 원산지(중국) 꽃피는 시기 8~9월(흰색)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식용,약용(맛은 쓰고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귀경:간,담) 약용 진정,진통,강장,두통,빈혈증,부인병,혈액순환,간장+신장기능 활성화,혈압강하,자궁수축작용,옹종,타박상,기억력 감퇴,다이어트,항궤양,항균 사용부위 뿌리줄기 채취 및 조제 9~11월에 근경을 캐어 잎과 줄기,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후 사용 성분 방향성 정유 ..
2022. 3. 30.
고구마(번서 番薯) 효능
고구마(번서 番薯)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메꽃과 미국나팔꽃속 여러해살이풀 (Ipomoea batatas (L.) Lam.) 별명 감서,단고구마,감저(甘藷),조저(趙藷),남감저(南甘藷) 한약명/생약명 번서(番薯) 분포지 따뜻한 기후를 좋아함. 통기성이 좋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재배, 원산지(중,남아메리카), 도입(조선영조 40년,1764, 일본에서 도입) 꽃피는 시기 7~8월(자주색,붉은색) 수확기(결실기) 8~10월 용도 식용,약용 약용 항산화,다이어트,변비예방,피로해소,스트레스 완화,성인병 예방,혈압강하,혈관 개선 사용부위 덩이뿌리,잎자루 채취 및 조제 겨울에 덩이뿌리를 파내서 진흙과 흙을 털어낸다. 성분 ♣ 고구마의 성분은 수분 68.5%, 조단백(粗蛋白) 1.8%, 조지방 0.6%, 조섬유 1...
2022. 1. 11.
(소나무)잔나비버섯 효능
잔나비버섯(소나무잔나비버섯)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담자균문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잔나비버섯속 다년생 (Fomitopsis pinicola (Sw.) P.Karst) 별명 소나무잔나비버섯,전나무떡따리버섯(북한명) 한약명/생약명 분포지 소나무 및 각종 침엽수의 죽은 나무, 쓰러진 나무, 살아 있는 나무의 줄기나 상처 부위, 때로는 활엽수의 그루터기 등에 발생(갈색부패를 일으킨다.) 생장시기 여름,가을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약용 약용 (한방) 해열,심장병,폐암 (약성) 항종양,항산화,항염증,혈당강하,지방 감소작용, 당뇨 합병증 예방효과, 췌장세포 손상 억제효과, 당뇨로 인한 활성산소 억제효과 사용부위 전체 채취 및 조제 연중 채취하여 잘 씻어서 말린 후 잘게 잘라서 사용 성분 약효 및 용법..
2021. 12. 14.
두견주(杜鵑酒) 효능
두견주(杜鵑酒)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가향주(청주淸酒에 진달래꽃을 침지하여 빚는 술) 별명 되강주 한약명/생약명 분포지 꽃피는 시기 월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약용,음료 약용 요통,진통,해열,각연증(脚軟症:다리의 힘이 없어 보행이 곤란한 증세),류머티즘,혈액순환 개선,혈압강하,피로회복,천식,여성 허리냉증 사용부위 꽃잎 채취 및 조제 가능한 만개한 꽃을 선택하도록 하여 꽃술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물에 깨끗이 헹궈내고 그늘에서 건조시켜서 사용해야 한다. 성분 약효 및 용법 ♣두견주(규합총서)• 술재료밑술 : 멥쌀 2말, 누룩가루 1되 3홉, 밀가루 3홉, 끓는 물 2말덧술 : 멥쌀 3말, 찹쌀 3말, 두견화 1말, 물 6말• 술 빚는 법밑술1. 멥쌀 2말을 깨끗이 씻고 곱게 빻아 끓는 물 1말과 함께 섞..
2021. 3. 23.
진달래 효능
진달래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진달래과 진달래속 낙엽관목 별명 참꽃,진달래나무 한약명/생약명 영산홍(迎山紅)/만산홍(萬山紅),두견화(杜鵑花)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4~5월{꽃말:사랑의 기쁨) 수확기(결실기) 10월 용도 약용,식용(술,화전),관상용 약용 해수,고혈압,혈압강하.관절염,기관지염,감기로 인한 두통,이뇨,월경불순,타박상,어혈,토혈,코피,천식,폐경,요통,해열,류머티즘,신경통,담 결리는데 사용부위 꽃,잎,뿌리,줄기 채취 및 조제 꽃과 잎은 봄에 채취하여 생것을 쓰거나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잠시 말려서 쓰고, 뿌리는 가을~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성분 약효 및 용법 ♣ 꽃을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눈이 침침해질 수 있으며 꽃술에 약간 독성이 있으므로 떼어내고 사용한다. 꽃 · 잎 · 뿌..
2021. 3. 23.
[무좀]잔대
잔대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초롱꽃과 별명 딱주 생약명 사삼(沙蔘) 분포지 전국 산야 꽃피는 시기 7~8월 수확기(결실기) 9~10월 용도 약용,식용,관상용 약용 진해거담,혈압강하,강심,무좀,습진 사용부위 뿌리 채취 및 조제 가을철에 채취하여 줄기나 잎,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말린 후 잘게 썰어 사용 성분 뿌리에는 트리터페노이드 사포닌과 전분이 함유 칼슘,비타민 A,C가 풍부 약효 진해거담,혈압강하,강심,즙진,무좀, 특히 사삼의 뿌리 엑기스가 약리학적 실험결과 곰팡이균,무좀균,피부진균에 대해서 생활력 억제작용이 밝혀짐으로써 각종 무좀 치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용법 (민간요법) 옛날에 습진이나 부스럼에 잔대의 뿌리를 짓찧어 즙을 바르거나 환부에 붙여 치료를 했다. 출처 질병으로 분류한 약초백..
2020. 11. 13.
[부인병] 모란 (목단피(牧丹皮))
모란 (목단피(牧丹皮))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작약과 별명 목단,목작약,부귀화 생약명 목단피(牧丹皮 (칠 목, 붉을 단, 가죽 피),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5월 수확기(결실기) 봄 또는가을 용도 약용,관산용 약용 치아질환,열병,어린이들의 간질병,월경불순,진정,최면,진통,혈압강하,항균,타..
2014. 2. 28.
[당뇨병] 주목(朱木)
주목(朱木)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주목과 별명 적백송,경목,노가리나무 생약명 주목(朱木),자삼(紫杉) 분포지 전국 고산지대 꽃피는 시기 4~5월 수확기(결실기) 9~10월 용도 관상용,약용,식용,공업용 약용 당뇨병,이뇨,통경,혈압강하,난소암,자궁암 사용부위 잎,종자,가지 채취 및 조제..
2011.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