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동맥경화21

올리브나무(목서람 木犀欖) 효능 올리브나무(목서람 木犀欖)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물푸레나무과(Oleaceae) 올리브나무속(Olea) 상록의 교목 또는 관목 학명(Olea europaea L.) 영문명() 별명(이명) 한약명/생약명 올리브유 분포지 원산지(지중해) 꽃피는 시기 4~5월(백색) 수확기(결실기) 월(핵과) 용도 약용,식용 약용 (효능) 항산화,혈압강하,항고지혈증,혈압강하,항균,항종양,항바이러스,항궤양,항염증 (적용질환) 긴장항진, 동맥 경화, 관상 동맥 질환, 류마티즘, 통풍, 발열, 담관염, 담낭염, 황달, 복부팽만, 변비, 로엠헬드증후군, 위궤양, 건선, 습진, 뜨거운 물김에 데인 상처 및 화상 사용부위 열매,잎,나무,수지,올리브유 채취 및 조제 성분 지방산, 스테롤, 세코이드리드 글루코시드, 페닐에틸알코올 글리코시드 .. 2024. 3. 19.
다릅나무(조선괴 朝鮮槐) 효능 다릅나무(조선괴 朝鮮槐)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콩과(Fabaceae) 다릅나무속(Maackia) 낙엽 활엽 교목 학명(Maackia amurensis Rupr.) 영문명(Amur maackia) 별명(이명) 개물푸레나무,다릅,소터래나무,쇠코뜨래나무,포화목,당양과 한약명/생약명 조선괴(朝鮮槐) 분포지 산지(산중턱·산기슭·골짜기 등 흙이 깊은 곳),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 7월(흰색,양성화, 총상꽃차례 또는 원추꽃차례) 수확기(결실기) 9월(협과) 용도 약용 약용 (효능,적용질환) 동맥경화, 위궤양, 갑상선 질환, 관절염, 진통제(껍질), 궤양약, 임파결핵, 특발성 괴저(단목근피) 사용부위 줄기껍질,가지,뿌리 채취 및 조제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봄부터 가을 사이에 줄기의 겉껍질을 벗겨 버.. 2024. 1. 7.
화살나무(귀전우 鬼箭羽) 효능 화살나무(귀전우 鬼箭羽)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화살나무속(Euonymus) 낙엽활엽관목 학명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영문명(Burning bush spindletree) 별명(이명) 참빗나무,홑잎나무,홋잎나무,위모,귀우전,귀견우 한약명/생약명 귀전우(鬼箭羽)/, 위모(衛矛), 신전(神箭) 분포지 전국의 산야 산기슭 양지의 떨기나무 숲,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 5~6월(녹색,취산꽃차례), 꽃말(위험한 장난,냉정) 수확기(결실기) 9~10월(삭과-튀는 열매, 익으면 껍질이 벌어져 주황색 씨 나옴) 용도 약용(약성은 한(寒)하고 고(苦)하다.),식용,관상용 약용 (효능) 항암,破血(파혈),通經(통경),거담,구충(열매),구어혈,진정,.. 2023. 2. 17.
석잠풀(초석잠 草石蠶) 효능 석잠풀(초석잠 草石蠶)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꿀풀과(Lamiaceae) 석잠풀속(Stachys)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학명(Stachys riederi Cham. var. japonica (Miq.) H.Hara) 영문명(Hairless woundwort) 별명(이명) 민석잠풀,불방아 한약명/생약명 초석잠(草石蠶)/ 개조, 향소(香蘇), 야지잠(野地蠶) 분포지 산과 들의 습지 꽃피는 시기 6~9월(연한 홍색) 수확기(결실기) 9~10월(수과) 용도 약용(맛은 달고 쓰며, 약성은 서늘하다.),식용,관상용 약용 (효능) 소변불리,부종,淸熱(청열), 化痰(화담), 抗菌(항균), 消腫(소종),지혈,발한·이기(理氣),뇌기능 활성,치매 예방,동맥경화,혈액순환 (적용질환) 風熱咳嗽(풍열해수), 咽喉腫痛(인후종통), 百.. 2023. 2. 1.
돌콩 효능 돌콩()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콩과(Fabaceae) 콩속(Glycine) 덩굴성 한해살이풀 학명(Glycine max (L.) Merr. subsp. soja (Siebold & Zucc.) H.Ohashi) 영문명(Wild soybean) 별명(이명) 들콩, 갱미두, 녹곽 한약명/생약명 野大豆藤(야대두등)/ 야두등(野豆藤), 야황두(野黃豆), 야모두(野毛豆), 씨 : 야료두(野料豆) 분포지 전국 각지 주로 재배, 원산지(한국 등) 꽃피는 시기 7~8월(자주색) 수확기(결실기) 9~10월(협과) 용도 약용,식용 약용 (효능,적용질환) 시력,산후회복,신장허로 허리 아플 때, 근육과 뼈 통증,현기증,자양, 강장, 고혈압(고지혈,동맥경화), 당뇨, 빈혈, 골다공증, 거담제,노화예방 사용부위 잎,줄기,씨 채취.. 2023. 1. 14.
마늘(대산 大蒜) 효능 마늘(대산 大蒜)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백합과(Liliaceae) 부추속(Allium) 여러해살이풀 (Allium scorodoprasm Linne) 별명(이명) 산(蒜),맹랄(猛辣, 몹시 매운맛) 한약명/생약명 대산(大蒜) 분포지 전국(재배), 원산지:중앙아시아 꽃피는 시기 7월(연한 자주색, 꽃말:용기와 힘) 수확기(결실기) 월, 제철(3~5월) 용도 약용 약용 (효능) 살균,항암,항균,빈혈완화,저혈압 개선,강장제,면역력향상,당뇨,혈액순환,이뇨,항종양,항고지혈증,항죽상동맥경화,항혈전,위장관에 영향,간보호,항알러지,항돌연변이 (적용질환) 동맥경화증,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백일해, 기관지염, 감기, 열, 소화불량, 장 내 가스, 위통, 이질, 종기, 피부못(corns), 무사마귀, 뱀이나 벌레 물린.. 2022. 10. 11.
송이(松栮) 효능 송이(松栮)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송이과(Tricholomataceae) 송이속(Tricholoma) (Tricholoma matsutake (S. Ito & S. Imai) Singer) 별명 송심(松蕈) 한약명/생약명 분포지 (20~60년생 적송림 내의 땅 위에 발생) 발생(생장)시기 여름(장마철)~가을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약용,식용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약용 항종양,항산화,소화,이뇨,콜레스테롤 저하,동맥경화,심장병,당뇨병,고지혈증,항암,다이어트 사용부위 전체 채취 및 조제 여름과 가을에 버섯을 따서 햇볕이나 건조기에서 말린다. 성분 수분 89.9, 단백질 2.0, 지방 0.5, 섬유 0.7, 회분 0.8%, 에르고스테롤 0.25%(건조물 중). 향기 성분으로서 60~80%의 마추타케올(.. 2022. 8. 30.
표고버섯 효능 표고버섯()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절편버섯과() 표고버섯속() (Lentinula edodes (Berk.) 별명 참나무버섯(북한명) 한약명/생약명 분포지 (참나무, 졸참나무, 서어나무 등의 활엽수의 죽은 줄기, 그루터기 위에 홀로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발생) 발생(생장)시기 봄~가을(주로 가을에 집중)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약용,식용 약용 항종양,항산화,항바이러스,혈관기능 개선,면역력 향상,변비예방,콜레스테롤 감소,고혈압,동맥경화,감기예방,골격강화(골다공증),철분섭취,여성냉증,미용,성인병 사용부위 전체 채취 및 조제 성분 단백질은 알부민, 글루텔린, 프롤라민의 3종류의 비율이 100, 63, 2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맛 성분으로 주로 아데닌, 그외 구아닌, 크산틴, 히포크산틴 등을 포함한다. 표.. 2022. 8. 30.
연기싸리버섯(보라싸리버섯) 효능 연기싸리버섯(보라싸리버섯)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나팔버섯과(Gomphaceae) 싸리버섯속(Ramaria) (Ramaria fumigata (Peck) Corner) 별명 보라싸리버섯 한약명/생약명 분포지 (활엽수림, 혼합림 내의 땅 위에 무리를 이루어 난다. 균환을 만들기도 한다.) 발생(생장)시기 여름부터 가을까지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식용,약용 약용 동맥경화,다이어트,항종양,항균,뼈건강 사용부위 전체 채취 및 조제 채취하여 이물질을 어느 정도 제거하고, 끓는 물에 소금을 조금 넣고 데친 후(데치면 잘 부스러지지 않음) 찬물에 2~3일 우려내고(물을 자주 갈아 줌) 먹는 것이 좋다. 성분 약효 및 용법 ♣ 음식궁합: 쇠고기,돼지고기♧ 장기간 보관방법 깨끗이 씻은 후 건조시키면 장기간 보관 가능, .. 2022. 8. 28.
멸치 효능 멸치()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멸치과 멸치속 수명은 1년 반 정도 (Engraulis japonius TEMMINCK et SCHLEGEL) 별명 멸아(鱴兒),멸어(鱴魚,蔑魚),추어(鰍魚),,몃,멸이,멸 제주도(행어:行魚),전라도(멜,멸어치,며루치) 큰 멸치(앵메리,순동이,정어리-여수지역), 작은 멸치(잔사리,지리멜,가이리), 드붕다리멸치, 중다리, 눈퉁이, 국수멸 종류(세멸,자멸,소멸,중멸,대멸) 한약명/생약명 분포지 사할린섬 남부, 일본, 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산란시시 봄,가을 2차례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식용(젓갈,국물내기,볶음),약용 약용 골다공증 예방,태아의 뼈 형성,어린이 성장발육,산모의 뼈 성분 보충,콜레스테롤 감소, 혈압 정상적 유지, 심장병,동맥경화,어린이 지능발달,항암작용 사용.. 2022. 2. 22.
불로초(不老草, 영지(靈芝)) 불로초(不老草, 영지(靈芝))구분설명참고과명불로초과 불로초속 한해살이 (Ganoderma Iucidum (Curt.) P. Karst) 별명영지초(靈芝草) 한약명/생약명영지(靈芝) 분포지전국 (활엽수의 밑동.그루터기에 홀로 나거나 무리를 이루어 남) 꽃피는 시기월 수확기(결실기)8~9월 용도약용(맛은 쓰고 달며 따뜻한 성질로 심,비경에 들어간다,) 약용항암(소화기암),강장제,불면증(신경쇠약으로 인한),고혈압,저혈압증,동맥경화,기관지염,천식(오래된 기침),간염,항종양,면역력증가.항산화,항염증,성인병(치매,골다공증,고지혈증,면역결핍),고산병,만성간염,뇌세포발육부전증,백혈구감소증,퇴행성영양불량,위축성근육강직증,골절증식,알레르기성 질환,어지러움증,항균,진통제 사용부위전체 채취 및 조제8~9월경 잘 자란 것을 잘.. 2021. 7. 23.
겨우살이 효능 겨우살이(상기생,桑寄生,mistletoe)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겨우살이과 겨우살이속 암수딴그루 별명 동청(凍靑),기생목(寄生木),우목(寓木),기동(寄童),겨우사리,기생수,기생자,기생,북기생 생약명 상기생(桑寄生),곡기생(槲寄生),기생초(寄生草) 분포지 남부 지방에 주로 분포, 높은산 나무 위 (한국 원산지) 꽃피는 시기 2~4월 수확기(결실기) 10~12월 용도 약용 약용 고혈압,동맥경화,산후요통,신경통,항암제,자통(刺痛),요통,부인 산후 제증,동상,당뇨,중풍,심장병,강장,진통,안태(安胎),관절통 사용부위 전초(가지와 잎) 채취 및 조제 줄기와 잎을 봄과 겨울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 성분 루페올,아세틸콜린,올레아놀릭산 등이 함유 약효 ♣전초를 상기생(桑寄生)이라 하여 특히 고혈압과 동맥경화,암의.. 2021. 1. 19.
당근 효능 당근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산형과 두해살이풀 별명 홍당무 생약명 호라복(胡蘿蔔),호라복자(胡蘿蔔子) (수염,오랑캐 호, 쑥,소나무겨우살이 라, 무 복)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7~8월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식용,약용 약용 항산화효과,면역력향상,노화방지,암예방,시력향상,고혈압,동맥경화,이질,백일해,해수,복부팽만,구충제 사용부위 뿌리 채취 및 조제 성분 베타카로틴,루테인,리코펜,아스코르비나아제 ♣베타카로틴: 체내 흡수되면 비타민 A로 전환되는데 이는 특히 눈 건강에 좋다. ♣당근에는 비타민 C를 산화시키는 아스코르비나아제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비타민 C가 풍부한 다른 채소와 함께 섭취할 경우 흡수를 저해알 수 있다. 단, 아스코르비나아제는 열과 산성에 약하기 때문에 식초를 첨가하거나 가열 조리를 하면 .. 2020. 12. 21.
콩 효능 콩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콩과 한해살이풀 별명 대두(大豆) 생약명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7~8월 수확기(결실기) 월 용도 식용,약용,사료용 약용 골밀도 증강(골다공증),유방암 발병율 감소,혈관 보호 효과,함암 효과,콜레스테롤 개선,동맥경화,체중 감량,당뇨병,치매 방지,울화증 사용부위 열매(씨앗) 채취 및 조제 성분 수분(8.6%),단백질(40%),지방(18%),섬유질(3.5%),회분(4.6%),펜토산(4.4%),당분(7%) 등이 함유 콩나물로 재배할 때 비타민 C가 풍부해짐 ♣영양성분 영양성분 : 391kcal/100g 기준 [네이버 지식백과] 콩 (쿡쿡TV) ♣두부의 영양성분, 음식궁합(김치) 영양성분 : 84kcal/100g 기준 [네이버 지식백과] 두부 (쿡쿡TV) 약효 ♣ 용법 ♣콩은 성질이 .. 2020. 12. 17.
귀리(연맥(燕麥)) 효능 귀리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벼과 두해살이풀 별명 메귀리 생약명 연맥(燕麥) (연나라 연, 귀리 맥)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5~6월 수확기(결실기) 7월,11월 (파종은 1년에 2~3월, 7~8월 사이에 두 차례에 걸쳐 파종) 용도 식용,사료용,약용 약용 어린이 성장발육 촉진,콜레스테롤 감소,심혈관 질환예방,동맥경화,성인병예방,숙변 제거,장내 노폐물 배출,다이어트,암세포 증식 억제 사용부위 씨앗 채취 및 조제 성분 ♣단백질은 쌀의 2배, 라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 칼슘은 현미의 4배,수용성 섬유질 풍부, ♣열량 371kca(쌀귀리 생것), 382kcal(오트밀,가공)l/100g ♣음식궁합: 칼로리가 낮아 채소주스와 함께 섭취하면 효과가 좋다. 불려 밥을 할 때 넣어주면 성인병예방,성장기 어린이 발육촉.. 2020. 12. 15.
[자양/강장]큰조롱 큰조롱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박주가리과 별명 백하수오 생약명 백수오(白首烏) 분포지 양지바른 산기슭,바닷가 비탈 꽃피는 시기 7~8월 수확기(결실기) 9월 용도 약용 약용 빈혈,자양,강장,보혈,신경쇠약,변비,불면증,허약체질,동맥경화,이명증,신경통,치질,피로 회복 사용부위 뿌리 채취 및 조제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서 말려서 사용 성분 시낸콜(cynanchol) 함유 약효 빈혈,자양,강장,머리카락을 검게 하며,신경쇠약,변비,불면증,허약체질,동맥경화,이명증,무릎이 아프고 힘이 없을 때,치질,연주창,피로회복 용법 ♣뿌리줄기 10g에 물 700ml를 넣고 중불에서 반으로 달여서 조석으로 식후 약 2주 정도 복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재배수확조제) 수확 시 약뿌리가 굵은 것은 수확하고, 작은 뿌리는 다.. 2020. 11. 15.
[방광/요도염]양파 양파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백합과 별명 옥총,주먹파 생약명 양총(洋蔥)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9월 수확기(결실기) 6~7월 용도 식용,약용 약용 당뇨병,이뇨,거담,장염,살균,창상,궤양,동맥경화,고혈압,트리코모나스 질염,방광염 사용부위 비늘줄기 채취 및 조제 6~7월에 잎이 쓰러지고 약간 녹색을 띨 때 채취하여 사용 성분 티올,디메틸 디설화이드,티오설핀,카페인산,페룰린산 등이 함유 약효 ♣비늘줄기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는 생리적으로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고 흥분,발한,이뇨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동맥경화나 고혈압을 예방하고 피로를 회복시키는 작용도 밝혀진 바가 있다. ♣양파의 특이한 방향으로 소화액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돕고 흥분,발한,이뇨의 효과가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당뇨병의 혈당.. 2020. 11. 15.
[기관지염/천식] 은행나무 (백과(白果)) 은행나무 (백과(白果)) 구분 설명 참고 과명 은행나무과 별명 행자목,공손수,백과수,입각수,백과목,은행목 생약명 백과(白果) (흰 백, 열매 과)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5월 수확기(결실기) 연중 가능, 은행은 가을에 수확 용도 약용,가로수,방화수,정자목,식용,관상용 약용 천식,동맥경화,.. 2012. 3. 3.
[동맥경화] 돈나무(칠리향(七里香)) 돈나무(칠리향(七里香)) 구분 설명 참고 과명 돈나무과 별명 섬음나무,갯똥나무 생약명 칠리향(七里香) 분포지 경남,전남,전북 꽃피는 시기 5~6월 수확기(결실기) 10월 용도 관상용,약용 약용 동맥경화,고혈압,골절통,습진,종독,소종,활혈 사용부위 잎,나무껍질,줄기 채취 및 조제 가을에 채.. 2011. 12. 15.
[동맥경화] 해바라기 (향일규(向日葵)) 해바라기(향일규(向日葵))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국화과 별명 향일화,규화,산자연,조일화(朝日花) 생약명 향일규(向日葵),향일규자(向日葵子) 분포지 전국 꽃피는 시기 8~9월 수확기(결실기) 10월 용도 약용,식용,관상용 약용 동맥경화,타박상,소화불량,월경통,창종,소변불리 사용부위 종자,.. 2011. 12. 14.
[고혈압] 겨우살이(상기생(桑寄生),곡기생(槲寄生),기생초(寄生草)) 겨우살이(상기생(桑寄生),곡기생(槲寄生)) 구분 설명 참고 과명 겨우살이과 암수딴그루 별명 동청(凍靑) 생약명 상기생(桑寄生),곡기생(槲寄生),기생초(寄生草) 분포지 남부 지방에 주로 분포, 높은산 나무 위 꽃피는 시기 2~3월 수확기(결실기) 10월 용도 약용(전초) 약용 고혈압,동맥경화,산후요통,신경통,항암제 사용부위 가지와 잎을 사용 채취 및 조제 줄기와 잎을 봄과 겨울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 성분 루페올,아세틸콜린,올레아놀릭산 등이 함유 약효 전초를 상기생(桑寄生)이라 하여 특히 고혈압과 동맥경화,암의 치료에 사용하고 신경통,부인병,치통의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용법 하루에 전초 30~40g을 물에 달여 차 대신 마시면 좋고, 겨우살이 전체를 독한 술에 담가 1년간 두었다가 하루에 조금씩 마.. 2011. 12. 13.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