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솔(와송 瓦松) 효능
바위솔(와송 瓦松)구분설명참고과명돌나물과 (Crassulaceae) 바위솔속(Orostachys) 여러해살이풀(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죽는다.)학명(Orostachys japonica (Maxim.) A.Berger) 영문명(Rock pine),爪蓮華,晚红瓦松 별명(이명)지붕지기,넓은잎지붕지기,와연화, 일본와송, 와농,돌나물(石菜, 석채),작엽하초9(昨葉荷草),옥상무근초(屋上無根草) 한약명/생약명와송(瓦松) (기와 와, 소나무 송), 암송(岩松), 옥송(屋松), 탑송(塔松), 와상(瓦霜), 석탑화(石塔花)분포지전국 산지 및 기와집 지붕,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9월(백색,총상꽃차례), 고산지 및 지리산 개화기(10월) 수확기(결실기)가을,10월(골돌-쪽 꼬투리 열매) 용도약용(맛은 시고 쓰며 성질은..
2025. 2. 21.
들메나무(수곡유피 水曲柳皮) 효능
들메나무(수곡유피 水曲柳皮)구분설명참고과명물푸레나무과(Oleaceae) 물푸레나무속(Fraxinus) 낙엽 활엽 교목 (암수딴그루)학명(Fraxinus mandshurica Rupr.) 영문명(Manchurian ash) 별명(이명)떡물푸레 한약명/생약명수곡유피(水曲柳皮)분포지전국(충청도를 제외한 깊은산 골짜기, 국내 자생종) 꽃피는 시기5월(노란색,복총상꽃차례,단성화) 수확기(결실기)9~10월(시과) 용도약용,식용(어린순),밀원용,목재(건축재,기구재,가구재,선박재),조림수 약용(효능,적용질환) 해열,해독,천식,장염,간염,관절통,입덧,통풍,설사,구충,학질 사용부위줄기껍질,뿌리껍질(수곡유피,水曲柳皮) 채취 및 조제줄기껍질:봄과 가을에뿌리껍질:수시로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성분트리테르패노이드 saponi..
2025. 2. 19.
봄맞이(후롱초 喉嚨草) 효능
봄맞이(후롱초 喉嚨草)구분설명참고과명앵초과 (Primulaceae) 봄맞이꽃속(Androsace) 일년생 또는 두해살이풀학명(Androsace umbellata (Lour.) Merr.) 영문명(Umbelled rockjasmine) 별명(이명)봄맞이꽃, 후선초, 동전초, 보춘화, 점지매 한약명/생약명후롱초(喉嚨草)분포지전역(산,들녘 등 약간 습한 곳) 꽃피는 시기4~5월(백색,산형꽃차례), 꽃말(봄의 속삭임) 수확기(결실기)5~6월(삭과(튀는열매)-익으면 과피가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여러 개의 씨방으로 된 열매) 용도약용,식용(어린순),관상용 약용(효능) 거풍, 청열, 소종, 해독(적용질환) 咽喉腫痛(인후종통), 口瘡(구창), 赤眼(적안), (목예), 正·偏頭痛(정·편두통), 齒痛(치통), 류..
2025. 2. 19.
일엽초(와위 瓦韋) 효능
일엽초(와위 瓦韋)구분설명참고과명고란초과 (Polypodiaceae) 일엽초속((Lepisorus)) 상록다년초,양치식물학명(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영문명(Weeping fern) 별명(이명) 한약명/생약명와위(瓦韋)/ 칠성초(七星草), 골비초(骨脾草)분포지중부 이남, 바위 겉과 늙은나무의 나무껍질, 원산지(한국) 포자기7~9월, 꽃말(즐거운 추억) 수확기(결실기)월(포자낭군 둥글며, 황색) 용도약용(지상부: 이뇨, 민간에서 항암제), 관상용 약용(효능) 이뇨, 지혈, 항암(적용질환) 임병(淋病), 이질(痢疾), 해수토혈(咳嗽吐血), 아감(牙疳, 타박상,기침,관절염 사용부위전초 채취 및 조제5-8월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성분약효 및 용법♣ ..
2025. 2. 14.
속단(續斷) 효능
속단(續斷)구분설명참고과명꿀풀과 (Lamiaceae) 속단속(Phlomis) 여러해살이풀학명(Phlomis umbrosa Turcz.) 영문명(Shady jerusalem sage) 별명(이명)용두(龍豆) · 속절(屬折) · 접골(接骨) 한약명/생약명조소(糙蘇)/토속단(土續斷), 산소자(山蘇子)분포지전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산의 양지쪽 풀밭에 난다.,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7월(붉은빛, 윤산화서) 수확기(결실기)월(수과,광란형) 용도약용(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없다.),식용(어린순) 약용(효능) 해열,淸熱(청열), 消腫(소종),보간신(補肝腎), 활혈(活血). 안태(安胎), 속근골(續筋骨),두통(적용질환) 금창(金瘡),瘡癰腫毒(창옹종독),감기, 중풍, 부인병(자궁질환), 외상출..
2025. 2. 12.
솔체꽃
솔체꽃()구분설명참고과명산토끼꽃과 (Dipsacaceae) 체꽃속(Scabiosa) 두해살이풀학명(Scabiosa comosa Fisch. ex Roem. & Schult.) 영문명(Northeastern scabious) 별명(이명)산라복, 체꽃, 솔체 한약명/생약명분포지산마루, 산기슭, 골짜기 석회암지대 양지, 한국,중국 꽃피는 시기7~9월(푸른색,하늘색,자주색,머리모양꽃차례), 지리산 개화기(9~10월) 수확기(결실기)9~10월(수과-여윈 열매,선형) 용도식용(어린잎),관상용 약용(효능) (적용질환) 사용부위전초 채취 및 조제성분약효 및 용법♣ 출처 해설♣ 솔체꽃은 ~~~~~~~~~~~~~~~~~~~~~~~~~~~~~~~~~~~~~~~~~♣ 심산지역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추 서서 높이 50..
2025. 2. 12.
산토끼꽃(속단 續斷) 효능
산토끼꽃(속단 續斷)구분설명참고과명산토끼꽃과 (Dipsacaceae) 산토끼꽃속(Dipsacus) 두해살이풀학명(Dipsacus japonicus Miq.) 영문명(East Asian teasel) 별명(이명)(천속단 川續斷) 한약명/생약명속단(續斷)분포지산지의 볕이 잘 드는 곳 꽃피는 시기8월(홍자색,붉은색,자주색, 타원형 두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9~10월(수과) 용도약용(약간 향기로운 냄새가 있으며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苦辛微溫]),식용 약용(효능) 補肝腎(보간신), 續筋骨(속근골), 通血脈(통혈맥),항노화,항염(적용질환) 腰·背中(요·배중)의 酸痛(산통), 足膝(족슬)의 脫力感(탈력감), 胎漏(태루), 崩漏(붕루), 帶下(대하), 遺精(유정), 타박상, 金瘡(금창), 痔漏(치..
2025. 2. 12.
순비기나무(만형자 蔓荊子) 효능
순비기나무(만형자 蔓荊子)구분설명참고과명마편초과 (Verbenaceae) 순비기나무속(Vitex) 낙엽 활엽 관목학명(Vitex rotundifolia L.f.) 영문명(Beach vitex) 별명(이명)만형(蔓荊),단엽만형(單葉蔓荊)·만형자나무·풍나무,대형자, 단엽만청, 만형자, 승범실 한약명/생약명만형자(蔓荊子)/ 형자(荊子), 황형(黃荊), 만청자(蔓靑子)분포지바닷가에서 자란다. 바닷물에 닿아도 죽지 않는 내염성 수목이며 내한성이 강하다. 꽃피는 시기7~9월(자주색,수성 원추형꽃차례) 수확기(결실기)9~10월(핵과-굳은씨열매,검은 자주색) 용도약용(특아헌 방향이 있고 맛은 쓰고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목욕탕향료,관상용,밀원자원 약용(효능) 해열,진정,진통,소염,머리를 맑게,눈을 利(이)(적..
2025. 2. 10.
나팔꽃(견우자 牽牛子) 효능
나팔꽃(견우자 牽牛子)구분설명참고과명메꽃과 (Convolvulaceae) 나팔꽃속(Pharbitis) 덩굴성 한해살이풀학명(Ipomoea nil (L.) Roth) 영문명(Lobedleaf pharbitis) 별명(이명)견우화, 라팔화, 조양화, 조안,털잎나팔꽃 한약명/생약명견우자(牽牛子)/흑축(黑丑)-푸르거나 붉은 나팔꽃 종자, 백축(白丑)-흰나팔꽃 종자분포지길가나 빈터, 원산지(인도,아메리카) 꽃피는 시기7~8월(푸른색,홍자색,백색,적색 등), 꽃말(기쁜 소식,결속,허무한 사랑) 수확기(결실기)9~10월(삭과,둥근형) 용도약용,관상용 약용(효능) 사하(瀉下), 降氣(강기), 살충, 지사, 이뇨, 항종양, 콜레스테롤 강하(적용질환) 설사유도, 부종,적취(積聚:오랜 체증으로 말미암아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
2025. 2. 9.
갯메꽃(효선초근 孝扇草根, 노편초근 老扁草根) 효능
갯메꽃(효선초근 孝扇草根, 노편초근 老扁草根)구분설명참고과명메꽃과 (Convolvulaceae) 메꽃속(Calystegia) 덩굴성 여러해살이풀학명(Calystegia soldanella (L.) R.Br.) 영문명(Beach morning glory) 별명(이명)메꽃,산엽타완화,개메꽃, 신엽천교 한약명/생약명孝扇草根(효선초근),노편초근(老扁草根),신천검(腎天劍), 사마등(沙馬藤)분포지독도를 포함한 전국 바닷가에 분포한다. 아시아, 유럽 온대에서 열대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과 모든 섬에 분포한다. 꽃피는 시기5~6월(연한 홍색,주황색) 수확기(결실기)6~9월(삭과-튀는 열매,구형,검은색) 용도약용 약용(효능) 鎭痛(진통), 利尿(이뇨), 消腫(소종)(적용질환) 류머티性(성) 관절염, 小便不利(소변불리), ..
2025. 2. 9.
메꽃(선화 旋花, 구구앙 狗狗秧) 효능
메꽃(선화 旋花, 구구앙 狗狗秧)구분설명참고과명메꽃과 (Convolvulaceae) 메꽃속(Calystegia) 덩굴성 여러해살이풀학명(Calystegia pubescens Lindl.) 영문명(Short-hairy morning glory) 별명(이명)메,미초(美草),근근화(筋根花),일본타완화, 주안, 일본천검 한약명/생약명구구앙(狗狗秧)/선화(旋花),고자화(鼓子花)분포지전국 각지의 들녘 길가 둑이나 저수지 제방 꽃피는 시기6~8월(엷은 홍색-주황색) 수확기(결실기)6~9월(삭과-튀는 열매,구형, 열매는 잘 맺지 않는다.) 용도약용(약성은 온(溫)하고 감(甘)하다.),식용(땅속 줄기,어린순) 약용(효능) 이뇨,강장,피로회복,강음,혈당강하(적용질환) 고혈압,당뇨병,방광염,타박상,중풍,천식,건위,단독,열독..
2025. 2. 9.
호장근(虎杖根) 효능
호장근(虎杖根)구분설명참고과명마디풀과 (Polygonaceae) 닭의덩굴속(Fallopia) 여러해살이풀 암수딴그루학명(Reynoutria japonica Houtt.) 영문명(Asian knotweed) 별명(이명)감제풀 한약명/생약명호장근(虎杖根), 호장, 반홍근, 범승아, 감제풀, 범싱아, 산장(酸杖), 고장(苦杖), 반장(斑杖), 대충장(大蟲杖)분포지산지,들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6~8월(백색 또는 붉은색, 복총상꽃차례,이가화), 꽃말(영원히 당신의 것) 수확기(결실기)9~10월(수과-여윈 열매,세모 난 넓은 달걀모양 흑갈색) 용도약용(약성: 평(平),고(苦)),식용(어린줄기) 약용(효능) 완화,이뇨,통경,진정,거풍,소종,구어혈,보간이담,항바이러스,콜레스테롤 조절,죽상동맥경화 억제,항염,여성호..
2025. 2. 5.
현호색(玄胡索) 효능
현호색(玄胡索)구분설명참고과명현호색과 (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여러해살이풀 유독식물학명(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영문명(Common corydalis) 별명(이명)치판현호색, 락작화, 람황채,연호삭, 현호삭, 치판연호삭, 연황삭, 남작화, 남화채 한약명/생약명현호색(玄胡索), 연호색(延胡索), 현호(玄胡), 연호(延胡), 원호(元胡)분포지전국 각처의 산지 습기가 있는 곳 꽃피는 시기4월(붉은색,자주색,백색,홍자색,총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5~6월(삭과,긴 타원형) 용도약용(무독, 온溫, 소음인),관상용 유독식물(나물X, 덩이줄기 약용○) 약용(효능) 진통, 진정, 진경,혈액순환,항궤양,자궁수축, 散瘀(산어), 理氣(이기)(적용질환) 두통..
2025. 2. 3.
자주괴불주머니(자화어등초 紫花漁燈草) 효능
자주괴불주머니(자화어등초 紫花漁燈草)구분설명참고과명현호색과 (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두해살이풀 관화식물 유독식물학명(Corydalis incisa (Thunb.) Pers.) 영문명(Incised corydalis) 별명(이명)자근,각엽자근, 자주뿔꽃 한약명/생약명자화어등초(紫花漁燈草)/자근초(紫菫草), 단장초(斷腸草)분포지산기슭의 음지, 심산지역의 음습지 꽃피는 시기5월(홍자색-자주색,붉은색,총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6월(삭과-튀는 열매,타원형) 용도약용,관상용 유독식물 약용(효능) 살균, 살충, 해독(적용질환) 옴, 완선(피부병의 하나로서 헌 데가 둥글고 불그스름하며 가려운 증세), 종기,악창 사용부위뿌리,전초 채취 및 조제5~6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적당한 크..
2025. 2. 2.
산괴불주머니(황근 黃菫) 효능
산괴불주머니(황근 黃菫)구분설명참고과명현호색과 (Fumariaceae) 현호색속(Corydalis) 두해살이풀 관화식물 유독식물학명(Corydalis speciosa Maxim.) 영문명(Beautiful corydalis) 별명(이명)뱀풀,암괴불주머니,조선괴불주머니,산불꽃,산뿔꽃(북한명),마씨자근,면래초(眠來草, 어린 새싹을 데쳐 먹으면 잠이 온다고 하여) 한약명/생약명황근(黃菫)분포지전국 각지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 꽃피는 시기4~6월(노란색,총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7~8월(삭과, 줄 모양) 용도약용,관상용 유독식물 약용(효능,적용질환) 진경(鎭痙,위궤양),조경(調經,월경 이상),진통,타박상,옴,종기,이질,복통,해독작용 사용부위전초 채취 및 조제성분protopine, tetrahydropalmit..
2025. 2. 2.
박새(여로 藜蘆) 효능
박새(여로 藜蘆)구분설명참고과명백합과 (Liliaceae) 여로속(Veratrum) 여러해살이풀학명(Veratrum oxysepalum Turcz.) 영문명(East Asian white false-hellebore) 별명(이명) 한약명/생약명여로(藜蘆), 산총, 총염분포지깊은 산 습지, 한국, 중국 동북부, 동부 시베리아, 일본 꽃피는 시기6~7월(황백색, 원뿔모양꽃차례) 수확기(결실기)월(삭과,타원형) 용도약용,관상용 유독식물특유한 자극성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쓰며, 분말은 강한 재채기를 일으킨다. 약용(효능) 최토(催吐),살충, 風痰(풍담)을 토하게 하며 蟲毒(충독)을 제거(적용질환) 가래가 목구멍에 막히는 증세, 간질병, 오래된 학질, 황달, 이질, 악성종양, 옴, 中風痰湧(중풍담용), 風癎癲疾..
2025. 2. 2.
곰취(호로칠 葫盧七) 효능
곰취(호로칠 葫盧七)구분설명참고과명국화과 (Asteraceae) 곰취속(Ligularia)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관화식물학명(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 영문명(Fischer’s ragwort) 별명(이명)웅소(熊蔬),북탁오, 마제자원, 자원, 왕곰취 한약명/생약명호로칠(葫蘆七), 산자완, 대구가(大救駕)분포지고원이나 깊은 산의 습지 꽃피는 시기7~9월(황색,총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8~10월(수과-여윈 열매) 용도약용,식용 약용(효능) 진해,거담(祛痰),진통,理氣(이기), 活血(활혈), 止痛(지통), 止咳(지해),암 예방,항산화,항노화(적용질환) 해수,백일해,천식,요통,관절통,타박상,肺癰喀血(폐옹객혈),황달, 성홍열, 류마티즘성 관절염, 간질환,단독, 고름집, 고혈..
2025. 2. 1.
박주가리(라마 蘿摩) 효능
박주가리(라마 蘿摩)구분설명참고과명협죽도과 (Apocynaceae) 박주가리속(Metaplexis) 덩굴성 여러해살이풀학명(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영문명(Rough potato) 별명(이명)새박덩굴,노아등,롸과표,합라표,라마자 한약명/생약명라마(蘿藦)/나마, 양각채(羊角菜), 백환등(白環藤), 작표(雀瓢)소나무겨우살이 라, 갈 마분포지들판의 풀밭, 마을 근처 개울가 언덕, 길가 빈터 양지 꽃피는 시기7~8월(엷은 자색 또는 흰색, 총상꽃차례) 수확기(결실기)9~10월(골돌과,짐승 뿔모양, 포과-주머니 모양 열매) 용도약용,식용(어린 순, 열매), 유독성 식물 약용(효능) 강장,강정,해독,지혈,淸肺(청폐), 化痰(화담),통유(通乳)(적용질환) 虛損勞傷(허손노상-폐..
2025. 1. 30.
망고 효능
망고()구분설명참고과명옻나무과(Anacardiaceae) 속() 상록교목 암수딴그루학명(Mangifera indica L.) 영문명(Mango) 별명(이명) 한약명/생약명망과(杧果) - 망고(杧果, Mangifera indica L.)의 잎을 말린 것 : 망과엽(杧果葉)분포지아프리카·브라질·멕시코·플로리다·캘리포니아·하와이 등 열대와 아열대지방원산지(말레이반도,미얀마,인도 북부) 꽃피는 시기1~4월(붉은 빛을 띤 흰색,원추꽃차례), 암수딴그루 수확기(결실기)5~10월(핵과,넓은 달걀 모양) 용도약용,식용 약용(효능) 진해, 거담, 항산화, 항종양, 해열, 항염, 항스트레스, 혈당강하, 간 보호. 한의학에서 망고 잎은 선폐지해(宣肺止咳), 거담소체(祛痰疏滯), 지양(止痒)의 효능망고: 익위(益胃), 생진(..
2025. 1. 30.
수정난풀 효능
수정난풀()구분설명참고과명노루발과(Pyrolaceae) 수정난풀속(Monotropa) 여러해살이 부생식물학명(Monotropa uniflora L.) 영문명(Indian pipe) 별명(이명)수정초,수정란풀,석장초 한약명/생약명분포지전국, 한국,일본,사할린섬 꽃피는 시기7월(은백색) 수확기(결실기)8~9월(장과,난상 구형) 용도약용,식용(부드러울 때) 약용(효능, 적용질환) 허증으로 나는 기침,허약자의 보신약, 이뇨제,익정(益精),해수 사용부위전초 채취 및 조제성분약효 및 용법♣ 출처 해설♣ 수정난풀은 세계에 3~4종, 우리나라에는 2종이 분포한다. 썩은 나무에 붙어 살고,엽록소가 없는 식물이다. 몸이 수정 같다 하여 수정란(水晶蘭)이라고 하던 것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2025. 1. 27.
신갈나무(작수피 柞樹皮) 효능
신갈나무(작수피 柞樹皮)구분설명참고과명참나무과 (Fagaceae) 참나무속(Quercus) 낙엽 활엽 교목 암수한그루학명(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영문명(Mongolian oak) 별명(이명)돌참나무,물가리나무,물갈나무,소엽곡수, 청각력, 청각수, 재라리나무,재자리나무,털물갈나무 한약명/생약명작수피(柞樹皮, 상수리나무와 같은 약재)분포지산지, 원산지(한국,중국,러시아) 꽃피는 시기4~5월(노란빛을 띤 녹색,황녹색), 잡성주,암수한그루 수확기(결실기)9~10월(견과) 용도약용,식용 약용(효능) 澁腸脫固(삽장탈고),수렴,지사,지혈,해독(적용질환) 설사,장출혈,치질로 인한 출혈,탈항,유선염,악창,위장병, 기침, 술독, 아토피 소종,지혈,惡瘡(악창), 나력, 痢疾(이질),..
2025. 1. 17.
떡갈나무(곡실 槲實) 효능
떡갈나무(곡실 槲實)구분설명참고과명참나무과 (Fagaceae) 참나무속(Quercus) 낙엽 활엽 교목 암수한그루학명(Quercus dentata Thunb.) 영문명(Korean oak) 별명(이명)깃떡갈나무,왕떡갈,선떡갈,가랑잎나무,박라수(薄羅樹) 한약명/생약명곡피(槲皮)/곡실(槲實, 상수리와 같은 약재)분포지산지 800m 이하의 양지바른 돌밭,동아시아 지역, 원산지(한국) 꽃피는 시기5월, 암수한그루, 꽃말:공명정대,강건 수확기(결실기)10월(견과) 용도약용,식용 약용(효능) 澁腸脫固(삽장탈고),수렴,지사,지혈(적용질환) 설사,장출혈,치질로 인한 출혈,탈항,유선염,악창,위장병, 기침, 술독, 아토피 소종,지혈,惡瘡(악창), 나력, 痢疾(이질), 腸風下血(장풍하혈-장염에 의한 출혈),吐血(토혈), 鼻..
2025. 1. 17.
졸참나무(포력 枹櫟) 효능
졸참나무(포력 枹櫟)구분설명참고과명참나무과 (Fagaceae) 참나무속(Quercus) 낙엽 활엽 교목 암수한그루학명(Quercus serrata Murray) 영문명(Jolcham oak (Konara oak)) 별명(이명)굴밤나무, 가둑나무, 당재잘나무, 재리알, 재잘나무, 재량나무 한약명/생약명포력(枹櫟, 상수리와 같은 약재)분포지산지, 원산지(한국,일본,중국) 꽃피는 시기4~5월, 암수한그루 또는 잡성주 수확기(결실기)9~10월(견과) 용도약용,식용 약용(효능) 澁腸脫固(삽장탈고),수렴,지사,지혈(적용질환) 설사,장출혈,치질로 인한 출혈,탈항,유선염,악창,위장병, 기침, 술독, 아토피 사용부위열매,열매껍질,줄기껍질 채취 및 조제성분약효 및 용법♣ 출처 해설♣ 졸참나무는 ~~~~~~~~~~~..
2025. 1. 17.
갈참나무(상자 橡子, 해력 檞櫟) 효능
갈참나무(상자 橡子, 해력 檞櫟)구분설명참고과명참나무과 (Fagaceae) 참나무속(Quercus) 낙엽 활엽 교목 암수한그루학명(Quercus aliena Blume) 영문명(Galcham oak (Oriental white oak)) 별명(이명)재잘나무, 톱날갈참나무, 큰갈참나무,도토리나무,참나무 한약명/생약명상자(橡子)/해력(檞櫟, 상수리와 같은 약재)분포지산기슭,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북동부·동남 아시아의 난대·인도 등지원산지(한국,중국,일본,인도 등) 꽃피는 시기5월(단성화, 암수한그루) 수확기(결실기)10월(견과) 용도약용,식용 약용(효능) 澁腸脫固(삽장탈고),수렴,지사,지혈(적용질환) 설사,장출혈,치질로 인한 출혈,탈항,유선염,악창,위장병, 기침, 술독, 아토피 사용부위열매,열매껍질,줄기껍..
2025. 1. 14.